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조사

긴꼬리붕어 IP : 48f1d0eabeaded8 날짜 : 2007-08-21 22:49 조회 : 6371 본문+댓글추천 : 0

일전에 한번 "조사" 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렸다가 문제가 될것 같아서 자삭한적이 있습니다.
조황을 전하시는 분의 사진을 보고는 맘이 상해
조금 부드럽게 고쳐서 다시 한번 뜻을 전달해 봅니다.
글이 많이 깁니다.
긴글 읽고나셔서 저와 뜻이 다를 수도 있겠습니다.


"釣 士"

요즘 아주 흔히 쓰이고 있는 "조사" 라는 호칭에 대하여
지극히 개인적인 개론을 긁적거려 봅니다.
개인적인 독백글이라 경어체는 생략하오니 글을 읽어주시는 감사한 분들께 양해를 구합니다.

FTV에서 주로 많이 듣게 되는 조사라는 호칭.
그저 물가에서 낚시대만 드리우고 앉아있으면
리포터가 다가가서 조사님 이라고 부른다.

조사란 한문으로 釣 士 라고 쓴다.
낚시 조에 선비 사 이다.

직설하자면 "낚시하는 선비" 라는 의미가 되지만
이보다는 "낚시에 대한 지식이 해박하고 오랜세월 자연을 낚으며
자연적으로 생겨난 낚시철학이 있는 자" 라는 뜻으로 필자는 이해한다.

한문에서 선비 士 는 열십자(十)에 하나일자(一)가 더해진 글자다.
열중에 하나라는 뜻으로써 열명의 민초들을 한명의 학자가 보호하거나
대리한다는 뜻으로 알고 있다.
즉,열명을 대표하는 한명이라 이해하는게 쉽겠다.

이렇듯 깊은 뜻을 알고나면
조사라는 호칭을 아무에게나 붙일 수 있지 않음을 알 수 있게 된다.

개인적인 추측으로 조사라는 단어가 불리게 된것은
아마도 조선시대에 유배갔던 문인들이 낚시로 세월을 보내는 모습을
세인들이 보고는 높임호칭으로 조사라고 칭하지 않았을까 추측한다.
어디까지나 추측임을...

왜 조사라는 호칭가지고 가타부타 하는가 하면
낚시인으로써 기본도 안된 이들에게 조사라 칭하는 세태가 참으로 우습기 때문이다.
아무에게나 붙이기 조심스러운 호칭을 공정성과 신중함을 기해야 할 방송에서 조차도
마구 갖다붙이는 꼴도 우습기는 매 한가지다.

인간의 즐거움을 위해 하루하루 황폐해가는 자연을 보며
나 또한 낚시인이지만 심하다 싶을정도로 아무 생각없이 낚시를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본다.
(자연을 즐기는 일이 낚시만은 아니지만 저도 낚시를 즐기는 낚시인이기에 낚시만을 이야기 합니다)
자연을 아끼는 마음없이 고기를 잡을 욕심뿐이거나
한번오고는 다시는 오지않을것처럼 담배꽁초며 쓰레기를 버리고 가는 인간들을 보며
법이 있기에 참고는 있지만 그 화는 병이 되니 그 꼴을 안보는게 상책인지라...

필자가 사는곳에서 능선하나 넘으면 남양만이다.
아마도 이곳을 가보신분들은 아실것이다.
더러워서 못갈정도로 처참하다.
낚시한 자리엔 어김없이 글루텐봉지와 담배꽁초가 널부러져있고
풀숲사이엔 검정비닐봉지들이 나뒹굴고 부탄가스통,
아무데나 갈겨놓은 인분까지...
이대로 계속 된다면 낚시를 즐기는 나부터 민원을 넣을 것이다.
머지않아 좁은 낚시허용구역 마져도(홍원리낚시하가구역) 남양만에서는 사라질 것이다.
이 절박한 심정을 어느누가 이해하겠는가!

세상 모든것엔 道가 있다.
낚시에도 분명 기본적인 道가 있다.
이 道에는 예(禮)도 포함된다.

아이들을 데려와서 떠들어도 지적을 안하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이
나에겐 아주 이기적으로만 보인다.
자연을 아끼는 사람이라면 필시 타인에 대한 배려도 알것인즉.

특히나 유료터에서는 정말 더욱 메너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시끄러워서 입어료를 지불하고도 그냥 일어선 경험이 많다.
조용히 해달라 청하면 그리 좋은 답이 안나온다.
그러니 싸우기 싫어서 그냥 그곳을 떠난다.
유료터에는 "타인을 배려하는 낚시인이 됩시다" 또는
"타인을 생각하여 한목청씩 내리고 한마디씩만 줄입니다" 라는
푯말정도는 만들어 놓아야 한다고 본다.

낚시의 기본은 정숙인데...요즘은 도통 조용한 곳이 없다.
지방의 무명지나 찾아가야 조용할련지.

고기를 많이 낚고, 대어를 잘낚고, 장비가 고가제품이고, 조력이 상당한것들을 자랑하는 사람보다는
자연을 아끼는 방법을 자랑하고, 낚시인으로써의 기본적인 예를 동반자나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이가
더욱 훌륭해 보인다.

낚시를 즐기는 모든 사람은 자연에 해를 입히고 있는 것이다.
나도 그렇고 여러분도 그렇다.
그렇기에 자연에 최소한의 피해만 입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 노력은 자연을 즐기는 것에 대해 자연에 감사하는마음에서 출발된다.
그 마음하나만 있다면 낚시터에서 道와 禮가 실천되리라 믿는다.
이는 자연에 대한 道와 禮인 것이다.

타인과 자연에 대한 道와 禮를 갖추게 되면 그것이 바로 "조사"다.
모든 낚시인들이 조사가 되는 그날을 상상하며...

-------------------------------------------------------------------------------------

특파원조행기 4976번의 사진들을 보던중 참 씁쓸한 사진이 있더군요.
(사진을 첨부하고 싶지만 특파원께서 찍어 올리신 사진이니 함부로 건드릴 수가 없어서 첨부치 못함을 양해바랍니다)

필히 누구나 가진 마음인데 어찌 저리 욕심만 앞서 자연을 폐하는것일까요?
이한몸 죽어 나지면 나뒹굴 육신을 따스히 받아줄 어미의 품을 왜 그리 파헤치는지요...

심히 개탄스럽고 눈물이 납니다.
너무 감성적이라 욕하시는 분도 계시리라 봅니다.
저는 예술하는 사람입니다.
예술가의 재산이 감성이기에 저만 유난한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낚시중에 하늘을 올려보시어 밝은 하늘에 흘러가는 구름을 본적이 있는분이시라면,
그걸보고 맘이 뭉클해진적이 한번이라도 있으시다면 자연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지 않던가요?

사진찍어 올리신 특파원님께 묻습니다.
생자리를 공략중인 조사님...? 찍어올리신 모습이 진정 조사의 모습인가요?
과연 사진속의 그분이 열명중 대표하는 한명의 모습이 되는지요?

최소한의 해만을 입혀서 찌를 세우는게 낚시인이 아닐까요?
가을이면 어차피 말라비틀어질 수초입니다.
그러나 잡을 욕심이 앞선 행동의 결과이기에 보는이의 눈살이 찌프려지는군요.

다들 아시는 송귀섭 선생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수초낚시를 하되 어쩔 수 없을땐 최소한의 피해만 주라고...
그러나 될 수 있으면 자연상태로 즐기라고...

개벽을 아십니까?
기가 갈라져 하늘과 땅이 되는걸 개벽이라 합니다.
이때 땅에는 새로운게 생기게 됩니다.
낚시세계에도 개벽이 절실한 시기인것 같습니다.
조구사들은 이제그만 소비자들에게 속된말로 눈탱이 그만 쳐야 할 것이며
낚시인들도 우리가 취미를 즐기는 장소에서 예의를 지키고,
즐기는 장소를 깨끗히하는 실천이 필요하겠습니다.
스스로 안되면 강제적인 제도라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바뀌고 있는것 압니다.
그러나 아직은 구만리 입니다.

위에 언급한 조구사에 대한 이야기는 얼마전 낚시대가격문제로 대형낚시점에서
많이 다투다가 놀라운 사실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참...소비자만 불쌍한것도 같고 바보같기도 하고...
여기서 공개적으로는 말하지 못하지만 불만제로같은 프로에서 한번 다뤘으면 합니다.
너무 심하더군요...조구사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뜻이 다르신분은 제게 가르침을 주십시요.
조사가 되기 위한 정보의 학습으로 고히 받아들이겠습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7-08-22 09:15:01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추천 12

1등! chosa 07-08-22 10:08 IP : 317644c01b97830
긴꼬리붕어님
"조사"에대한고견잘읽었고,감히조사의풍모를닮고싶어
아이디를조사라고한제자신에대해깊이성찰해보는계기가되어
감사의말씀드립니다
낚시에대해선문외한이던제가지인들에게
처음부터대물낙시를접하게되었었고
나름대로의예의와자연에겸양스런자세를지니고계신분들인터라
낚시기법을배우기전에타인을배려하는것,자연을훼손하지않는것과자신을다스리는심신수양의
한방법으로배웠기에
저스스로진정한낚시인이아닌가생각해왔는데
이글을읽고나니다시금제자신이하는낚시에대해
많은생각이듭니다
조흥말씀다시한번감사드리고낚시인들이필독해야할글이라생각됩니다
추천 0

2등! 붕어와춤을 07-08-22 13:07 IP : c874898ff5e4582
긴 꼬리붕어님!

이런 잘못 길들여진 습관,버릇들을 바로잡아 나가야할 주체가 월척의 회원님들 아닐까요?

우리스스로 항상 행하다보면 온낚시인들이 동참할거고 그땐 멋진 환경이겠죠

비단 법이 만들어진다 해도 법이 해결 못합니다.

오로지 우리 낚시인들 인식 변화만이 유일한 해결책입니다.
추천 0

3등! 수로사랑 07-08-22 15:26 IP : e482362443e822e
- 구구절절 올은 말씀입니다.
우리들의 낚시문화 문제가 너무나 많습니다.
자연을 버리고 낙시할수 없음을 너무 모르고 있습니다. 아니 알면서 외면하고 있습니다.
조구사의 장비 판매를 위한 과대광고 등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남을 배려할줄모르는 꾼들의 횡포 또한 자연과 우리들의 마음을 병들게 하고있습니다.
언젠가는 낚시라는 취미활동은 없어지리라 생각됩니다 꾼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자리를 잃어버리도록 하고 있으니 누가 우리들의 자리를 보존해 주겠습니까.
감히 조사라는 호칭을 들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10%정도 일까요 그럼 그나머지는 그냥 꾼, 아니면 치 겠지요.
모두가 조사의 호칭을 받을 그날 우리의 낚시는 하나의 도가 되겠지요.
그날이 언제련가..................
추천 0

샛빨간지렁이 07-08-22 16:39 IP : 22c9e0c1d297698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그렇게 깊은 뜻이있다니...

저또한 본받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월척에는 조사님들이 거의 대부분일겁니다 ^___^
추천 0

일체유심조 07-08-23 04:15 IP : b2c522670a60bc2
안녕하세요^^

저 기억 하실지요??
앞전의 선배님과 정말 기분 좋은 거래를 했었습니다.

정말 멋지신 분이십니다.

자연을 아끼는 마음....
낚시라는 행하고 있는 또 시작하려는 분들이 꼭 알고 행해야 할
첫 마음가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늦은시간 일마치고 들어와
참 좋은글 읽고 갑니다.
감사드립니다.
추천 0

긴꼬리붕어 07-08-23 08:47 IP : 48f1d0eabeaded8
윗분들 말씀 감사합니다^^
사실 조금 공격적인 글이라 죄송스럽기도 했는데 너그러이 보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월척회원님들께서는 모두 조사의 자격이 있으십니다.
이곳에서 수많은 정보습득을 하시고 조력이 많으신 분들의 됨됨이도 함께 배우고 계시니
낚시를 행함에 수많은 사람과 어우러져 있어도 낚시를 토론함에 있어서 열중에 한명이 되지 못할 이유없지요^^

일체유심조님 안녕하세요~^^
저도 좋은거래하여 정말 감사했습니다.
지방엘 자주가는데 대구근방으로 가면 연락한번드릴게요,
잠시라도 동반출조 한번 하고 싶습니다~
믿음하나 가지고 거래한 인연인데 고개숙여 인사드리며 손이라도 한번 잡아보아야지요 ㅎㅎ
남은 여름철 건강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시루나박 07-08-23 10:09 IP : 9ec9cbd0648c4be
긴꼬리 붕어님!
그걸 아시는 님은 진정 조사이십니다. "도"와 "예"를 갗춘 낚싯꾼만이,
조사라해도 될것 같군요. 낚시 30년에 많이도 변했군요. 장비도 미끼도 꾼들도????
낚시하기전에 먼저 기초교육부터 받고 낚시하는것이 좋은분들이 많더군요.
주변정리 잘 하는분들은 그날 조황이 좋더군요. 붕들도 아는가 봐요.
우리 다 같이 노력하여 깨끗한 자연을 후손들에게 물려 줘야 하지 않을까요.
님이 있기에...... 즐낚하시고 안출하시고 498하세요
추천 0

정수수초 07-08-28 17:42 IP : 9248c54db6c6ec4
긴꼬리 붕어님 말씀이 백번 지당하십니다.

"조사"라는 단어 뿐만 아니라 "선생" 이라는 단어도 남발되어 정말 필요한 분들에게 쓰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있습니다.

또한 낚시터 쓰레기 이거 정말 문제입니다.

제 자랑이 아니라 전 아예 규격 쓰레기 봉투를 들고 다닙니다. 하루 낚시하여 발생하는 쓰레기는 한 줌정도 발생하더군요.

그걸 안가져가고 버린다니 참 어이가 없습니다. 저의 쓰레기 봉투의 대부분의 쓰레기는 제 낚시자리 근처에 있는 다른 낚시인이 버린 쓰레기 입니다.

한 줌밖에 안되는 쓰레기 좀 가져갔으면 좋겠고 이러한 수준의 우리 낚시인들 조사라는 단어를 쓰기에는 너무 이른것 같습니다.
추천 0

만강 07-12-15 10:00 IP : bb9541780e57d88
늦게라도 잘 읽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글쓰신지는 여름인데 지금은 겨울이네요*^^*

개인적으로 많이 노력한다고 생각하지만 좀더 깨끗하고 좀더 조용한 아름다운 낚시문화가

빨리 정착되기를 기원하며 스스로도 더욱 모범이되는 계기로 삼겠습니다.

추운날 회원님들 감기조심하시고 안출하세요....
추천 0

방랑조사 08-10-11 03:19 IP : 80b7821b9ced318
뒤 늣게 배운 낚시라 잠 들지 못하고 이시간에 글을 읽어 봅니다

또한 낯이 뜨거워 옴을 느낍니다

저의 닉네임이 방랑조사 입니다

님의 글을 읽으면서 과연 나는 조사라는 네임을 쓸쑤있는 자격이 되었는가를 심각하게 생각해 보았습니다

구구절절이 옳으신 말씀 가슴에 세기며 기왕에 지어진 이름 바꿀 생각은 없고 실천하는 조사가 되려 합니다

하오나 불만도 없는것은 아니랍니다 ... 선비사자를 상용했던 조선조 이전의 한문학을 시대의 흐름에 맞지않게

유독 조사라는 명칭에는 옛날의 사농공상 법칙의 틀에 끼워 맞추어야 하는지 의문이 들고 있습니다

스스로 자신들의 취미생활 이지만 지위를 격상하여 거기에 걸맞는 행동들을 유도하시는 아량은 없으신지....

1/10의 선비사자에 우리 낚시인들도 스스로 진입하여 품위를 지킬수 있도록 계몽을 하실 생각은 안해보셨는지

제 스스로도 잠시 저의 뒷모습을 돌아 볼수있는 시간을 만들어 주심에 감사를 드리고여 바라옵건데...................

자아비판 보다는 너무나 훌쩍 비대해져 버린 낚시계를 위한 선도차원의 좋은 글들을 기대해 봅니다 아멘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