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양어장 초보를 위한 잉,향어 변칙 내림채비

구수파 IP : 195f65b3b1228da 날짜 : 2007-06-10 00:30 조회 : 11388 본문+댓글추천 : 0

허름한 변칙 채비법을 소개하오니 참고삼아 해 보심이....

요즘 시기에 입질활성도가 시원찮아 똑같은 글이 매번 오르기에 몇 자 올립니다.

잉어가 있다면 어디든 적용되겠으나 양어장으로 제한합시다.

낚수대는 2.4칸위주고요.(무게로 팔이 아프니...길던, 짧던 자유...)

줄은 3~4호며, 길이는 낚시대정도.

채비는 내림 응용이며 ,찌 역시 솔리드 위주의 3~4푼 정도.

찌마춤은 바늘달고 찌톱이 전체가 다 드러나게 합니다.(예로 11목이면 10목정도)

바늘의 채비의 목줄은 PE나 케브러 계통으로 단차없이(2mm까지무방) 8Cm정도(바늘까지길이)

바늘사이즈는 다이찌 이두메나형으로 10호위주.(혹은 강하고 작다 싶은 사이즈로 아무거나 됨)

활성도가 좋을시기는 크도 무방함.

이렇게 해야 함의 주목적은 떡밥배합에 따른 바늘이탈 문제라든가

입질파악의 용이함을 위주로 믿음의 기다림을 보고자 함입니다.

수심체크는 지우개를 1Cm정도의 크기로 짤라 두 바늘에 꼽고 원하는 지점에 넣고

찌톱이 3목정도쯤 나오게 하시든지 시력이 좋으시면 1목만 나와도 됨다.

여기서 굉장히 중요부분은 사선문제 입니다.

찌와 채비의 안착된 지점이 최대한 직각이 되야 겠으며

의심스러우면 안착후에 낚시대를 앞으로 밀어보든가 등등 해서 찌의 변동이 없어야 됨을 꼭

명심 하시길....떡밥이 무거울 수 록 멀리 투척시 사선이 많이 생깁니다.

수심파악후 떡밥을 바늘에 모듬식으로 달고 던지면 됩니다.

여기서 어분계열의 떡밥비중이 무겁기에 찌톱이 완전히 가라앉기에 어느정도의 떡밥

잔량이 남아 있어도 찌가 솟지않으므로 조급한 마음을 갖지 않아도 됩니다.

위채비로 자기가 원하는 시점에 떡밥이 풀리는지 아니면 찰기성의 반죽이면

어느시기에 바늘에서 이탈되어' 툭'떨어지는지가 파악됩니다.

이 같은 채비라도 중요한건 집어와 입질 타이밍의 기다림이기에 '뭐니뭐니 '해도

떡밥의 물 배합술이 전부라 하겠지요.

우선 어분에 물을 충분히 부어(어분위로 물이 보통 3mm정도 올라오게 넉넉히)

숙성시킴(10분정도)

괴기를 모으게 할려면 마른 첨가제를 넣어 가볍게 비비어 바늘에 벽돌식으로 꽉눌러 던지시고

기다리면 다 풀어지면 찌가 몸통까지 솟기에 원하는대로 조절하심되고요.

괴기가 근접시에는 죽처럼 바늘에억지로 달려있겠끔하여 슬쩍 원하는지점에 투척합니다.

떡밥크기는 바늘을 작은 걸로 했기에 완두콩크기면 되겠지요.

지겨우면 반죽성을 좀 덜하여 기다리심 되겠네요.(10분이상 넘기는 점도를 하지말것)

입질의 패턴은 들쑥들쑥거리다 대각으로 쓱하고 끄집고 들어가면 채시면 되겠습니다.

예신없이도 들어갑니다.(급하게 채지않아도 되기에 항상 느긋하게)

올라오는 입질은 채지마시고요 기다리세요. 쓱하고 들어갑니다.

그만 적을께요. 나머지는 나중에 또.....

졸필이나마 누군가가 도움되시면 좋게네요.(즐낚)
추천 4

1등! 막땡기뿌까 07-06-10 11:36 IP : 389cb2dd0c6f2be
구수파 선배님 감사합니다.. ^.,^ 허접후배조사에게 좋은 정보 알려주신것 다시한번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시간이 흘러 기회가 된다면 선배님과 함께 대를 한번 감히 드리우고 싶은 것이 후배의 자그마한 바램입니다.
올한해 안출하시고 항상 건강에 유의하시길....
허접한 후배조사들을 위해 노력해 주신점 다신한번 감사드립니다.
추천 0

2등! 구수파 07-06-10 17:56 IP : 195f65b3b1228da
무슨 황송스런 그런말씀을.....
감사하고요,
즐낚하셔요.^^
추천 0

3등! 붕어와춤을 07-06-11 11:52 IP : 9708e3ba49aeefd
구수파님 반가버요

유익한 정보를 올려 주셨네요. 님의 정성에 초보님들 많이 도움되리라 봅니다.
추천 0

밀짚모자 07-06-11 16:32 IP : 249a24f9770d240
자세한설명,유익한정보, 저 같은 초보한테 딱 맞는 정보네요..
좋은정보 정말 감사합니다..다음주에 꼭 한번 써볼께요..
추천 0

구수파 07-06-12 10:03 IP : 195f65b3b1228da
붕어와춤을님께서 방문 해 주시니 매우반갑구요.
밀짚모자님께서 참고하신다니 더할나위 없군요.^^

혹 참고삼아 추가....
요즘 교배종들의 특수(?)가 토종과는 습성이 차이점을 보이기에
붕어든 잉어든 옛방식의 풀어진떡밥속에 바늘이 얹져있는 방식보단,항시 떡밥이
바늘에 잔량이라도 붙어있게끔 하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딱딱하게 꽉찍어도 사르르 풀림을 얼마든지 조절되고요,(떡밥풀림 찌; 조금씩 변화로 올라옴)
안풀리게 연한껌 처럼 해서 입속에만 들어가면 바로 후킹되도록의 반죽성도 확인이
가능합니다.(찌; 안풀리고 '툭'하고 떨어짐과동시에 전체 올라옴)
그냥 말랑거림정도의 반죽성은 시간이 꽤 걸리므로(한번에 후킹이 안될 수 도있음)
알아서 연구.....
채비를 슬로프식도 얼마든지 가능 합니다.
줄은 필히 모노형이라야 됩니다.
추천 0

막땡기뿌까 07-06-12 13:06 IP : 68d76de8db25bf7
구수파님.....저도 변칙내림채비 완료했습니다.. 이번주말이 기대되는군요.
꼭 대박날것같습니다..ㅋㅋ 잘안되더라도 이것저것 많이 실험삼아 해봐야 겠습니다.
귀한 시간 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추천 0

구수파 07-06-12 21:47 IP : 195f65b3b1228da
만능이 아닌데...부담감이 억눌리는 듯 밀려옴에.......^^
혹시 모를 찌마춤땜에.....
야간 사용시는 필히 케미꽂이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케미를 꼽고 추가적인것들을 다시고
위와같이 다 드러나게 하셔야함은 당근이겠죠????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