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찌맞춤법]그냥 한번 써봅니다. 아직 잘못된 방법을 많이 쓰시는거 같아서..

곰탕이 IP : 497b68a53d0493c 날짜 : 2007-05-23 10:05 조회 : 10772 본문+댓글추천 : 0

요즈음 낚시를 다니다 보면 잘못된 찌맞춤 채비법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바닥낚시가 먼지부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바닥낚시란 일단 기본적으로 생각하는것이 봉돌이 바닥에 단 상태에서 붕어가 먹이를 흡입하면서
찌를 들어올리게 되는 기법입니다.
봉돌이 바닥에 다았을경우 바늘이 찌에 미치는 잔존부력이 없어지고 긴장감이 없는 상태이므로 붕어가
먹이흡입시 이물감을 최소화 시키는 기법이라고 말할수있습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찌맞춤법을 하실때 바늘을 달고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방법이 잘못되었다는것은 아닙니다만, 바늘을 달고 예민하게 맞추셨을경우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바늘을 달고 캐미꽃이가 다 올라오도록 예민하게 맞추셨다고 하셨을때 봉돌이 바닥에 달려면 어떻게 하여야
할까요? 바늘을 제거하고 봉돌만 달은 상태에서 측정을 하시면 찌가 3-4마디 정도 더 올라오는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물론 바늘크기라던가 찌의 부력에 따라 달라지지만 어느정도 올라온다고 볼수있습니다.
이랬을경우 봉돌이 바닥에 다았다고 확신을 할수있는것은 찌가 올라온 마디수보다 반마디이상 올라와야
봉돌이 바닥에 다았다고 볼수있습니다. 같은마디에 나오면 돼지 않느냐? 라고 생각하시는 분도있겠죠.
하지만 바늘의 잔존부력이 사라지고 봉돌이 떠있을경우에도 찌는 자기 마디수를 그대로 가지고 있게 돼는거죠.
그러므로 반마디이상 올라와야 봉돌이 바닥에 다았다고 볼수있는겁니다.
그렇다면 채비를 제대로 할려면? 물론 바늘없이 봉돌만 달고서 캐미꽃이 바로 밑에까지 측정을 하시면 됩니다.
주의하실점은 채비가 2마디정도 나온상태에서 살짝 슨다음 살짝 내려가다가 멈추고 다시 스르르하고 내려가게 맞추시면 됩니다. 맞추실떄 충분히 시간을 두고 맞추시라는 겁니다. 원줄이 찌에 부하를 주어 내려가는 속도는 느리기 때문이죠. 하지만 너무 신중히 하셨을경우 대류에 영향을 받아 찌가 가라앉는경우를 원줄의 과부하로 내려가는걸로 파악하시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럴때 자주 실수를 하시게 됩니다. 이또한 염두에 두시고 찌를 맞추시기 바랍니다.
그다음에 봉돌을 단상태에서 수심을 측정하고 바늘을 달고 낚시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하셨을경우 바늘이 손상돼었을경우 채비를 다시 할필요없이 그대로 달아서 쓰시면 되구요.
만약 많이들 말하는 얼레벌레식으로 잡고싶으시다면 찌를 수심맞춤선보다 살짝 내린다음 목줄을 긴걸로 갈아서 쓰시면 얼레벌레식낚시가 되는겁니다.얼레벌레식이라는건 내림낚시 기법이랑 똑같다고 보시면 돼구요.
고기가 안나온다면 봉돌이 살짝 떠있는상태에서부터 조금씩 내리다보면 고기가 들어오는타이밍이 있을겁니다.
그렇게 하시면 됩니다.
이해안돼시는것이 있다면 질문바랍니다^^ 태클도 환영입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7-05-23 15:04:34 전통바닥낚시 Q&A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추천 4

1등! 구수파 07-05-23 19:39 IP : 195f65b3b1228da
곰탕이님께서 얼마만큼의 답답했겠으면...하는 심정이 실로 눈에 뵈는듯 합니다.

바닥낚시의 근본 정도가 왜 통일이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언젠가부터 유행어처럼 '낚시에 정답이없다 '란 말이 왜 생겼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고

분명 그특성에 맞는 워낙다양한 노하우의 경험이 수 도 없이 반복되고 시행을 격는지라 근사치인 해법이

분명이 있는데도'걍(?)'몰라서(?)...아님 귀찮아서...그런 말이나왔을까요.??!!

님의 말씀처럼 바닥(올림)만큼은 바늘을 뺀 찌마춤이 되야 겠으며

혹 반문하실 고수들께서도 초보(?)님들께 헷갈리지 않게 했으면합니다.

물론 고수님들은 바늘달고서도 바늘비중의 등등을 충분히 파악하고 원리를 어떻게하면 '똑같다' 하겠지만요

초보님들은....엄청난 시행을 되풀이....

추가로 바늘달고 찌마춤일때 바늘비중이 적게나갈지라도 그만큼 예민한 찌마춤이기에 봉돌이뜨는

폐단결과로 '사각지대가'생깁니다.

바늘빼고 아주예민한 찌마춤일때 바늘달고 그부분에 마추다보면 목줄만 휘어지고 봉돌이 닿지

않는 현상이 발생 되더라도 닿은 걸로 인정하면 되겠고요.

수면의 표면장력은 단점이 아니라 장점이라 여기시어 그지점에 마추시면 더 묘한(?)맛이!!(옛날월간낚시실림)

님의 글이 바닥찌마춤이란 통일을 염원하며......
추천 0

2등! 염라붕어 07-05-24 00:04 IP : f7aa58481f5509d
곰탕이님 정말 좋은 글 올려 주셨군요. 요즘 낚시책에는 님 처럼 그런 설명이 없어 고생 하시는 초보 조사분이 의외로 많은거 같더라구요.님의 설명 강추 입니다.늘 어복이 충만하시구 즐낚 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