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붕어와춤을님...구별법입니다.

영혼의강 IP : c86457e7e5c61ac 날짜 : 2006-11-13 16:11 조회 : 7403 본문+댓글추천 : 0

사진은
일단 토종붕어
autoup_othersqna03571034.jpg

떡붕어입니다


autoup_othersqna03574632.jpg

중국붕어입니다.

autoup_othersqna03580565.jpg

잉붕어 입니다.

autoup_othersqna03582279.jpg

측선구별법입니다.
autoup_othersqna03584929.jpg

토종과 떡붕어
외형상 머리부분(아가미부터~입)
토종은 머리가 작고 입이 도톰하고 떡붕어는 머리가 크고 입이 치켜 올라가 있습니다.
체형
토종은 체고가 낮고 부드러운 반면 떡붕어는 체고가 높다가 꼬리지느러미 쪽으로 급격히 낮아져있습니다.

떡붕어는 중국붕어와 달리 확연히 차이가 있으니 쉽게 구별하실거에요....

토종과 중국붕어
중국붕어-몸체에 비하여 머리가 작고 지느러미와 꼬리도 작은편... 주둥이의 길이가 짧고
전체적인 체형이 둥글다는것이 특징이며 비늘의 색이 다소 검은색을 띠는것도 토종과의 차이점이다.
그러나 중국붕어역시 산지에따라 체색이나 체형이 다르고 국내방류된 개체들중에도 국내 환경에 적응한
개체들이 나타나고 있어 토종붕어와의 구별이 점점 어려워 지고 있습니다.
중국붕어를 가장 쉽게 구분할수 있는 부위는 머리 뒤쪽 비늘의 모양이 토종은 뚜렷한 다이아몬드 형태지만 중국붕어는 아가미 쪽으로 가까워 질수록 급격하게 모양이 뒤틀립니다.
또 중국붕어는 몸체에 비해 머리가 작습니다.

위에 쓰인것처럼 중국붕어는 유료터처럼 자주 방류하는곳은 쉽게 부분이 가능하나
감성지나 부여 반산지처럼 방류하고 3년이상이 지난곳은 토종의 모습을 닮아가 부분이 어렵습니다.
검은색비늘을 위에 썼지만 국내산 역시 검은색 비늘을 띠는곳이 있기에 이것으로 구분하기는 좀 그렇습니다.
모든것을 비교해 보세요... 측선이나 전체적인 생김세 그리고 색상

잉붕어는 측선이 비늘의 앞쪽에 치우쳐저 있어서 구분이 쉽습니다.

사진과 내용중 일부는 붕어대물낚시 저자 차종환 << 이곳에서 발췌된 것이니 참고하세요 <br/>[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6-11-15 13:06:10 기타 Q&A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추천 0

1등! 영혼의강 06-11-13 16:15 IP : c86457e7e5c61ac
질문에 북한산 붕어를 언급하셨는데 처음들어보네요.......
추천 0

2등! 플라톤 06-11-13 17:41 IP : 76b207e9d208d47
중국산붕어와 토종붕어는 같은 종입니다. 그래서 자연상태에서도 번식이 이루어지고있죠...

중국산붕어가 머리모양이 토종과 다른것은 양식으로인함입니다. 이 중국산 붕어도 자연상태에서 키워진다면

아마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체고를 높이는등의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구미근교의 작은 둠벙에서 월척사태가 있은적이 있는데요...

양방에서 짜장붕어를 어느님이 넣었는데

1년쯤 지나니 구분이 안가는거죠...
추천 0

3등! 붕어와춤을 06-11-13 19:11 IP : e58e9c0012828a8
영혼의강님!

별명만큼이나 혼이깃든 답변 감사 또 감사합니다.

찾아보라 하면 될 것을 궂이 발췌해서 수고 해주시니 무어라 할말이없네요

제가 자주가는 곳(창평지)

떡붕어와토종이 섞여 있는데

살림망에 넣어두면 붉은색이 비치는 걸로 확연히 구분이 되는데

당길때 힘차이도 구분이 되고요

그런데 요즘은 체형으로는 구별이 힘들어질만큼 교잡이 진행된것 같네요

그리고 베스,블루길의 출몰로 그많던 납자루도 자취를 감추고(1년만에)


9월초인가요

어떤 조사님이 하빈지에서 잡았다며 43cm붕어을 2박3일만에 잡았다고

보여주었는데 체고가 완전히 혹부리 처럼 생겼더라고요 그님왈 북한산붕어라 하더라고요
추천 0

와호장룡 06-11-13 21:53 IP : 3bde39316f1c642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중국붕어는 두종류이고 그 종류중에 제일 흔한 펑더지 활붕어 (일명짜장붕어)로 떡붕어(헤라)

와 교잡종으로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육하는 어종입니다

그다음에 짜지 활붕어가 있는데 우리 재래종과 아주 흡사하여 성장속도도 느리며 입질시 찌 올림도 점잖아서

수입되는 붕어중 가장 좋은 어종이지만 가격이 조금 비싼게 흠이라 그수가 적다고 합니다

그외 중국업자가 북한산붕어를 압록강에서 양식한것을 국내 유료터 사장이 직접 현지에서 굵은 놈만 골라서

수입해서 본인 유료터에 방류를 했다고 합니다

생긴형태는 측선수나 입모양이나 거의 토종과구분을 못할정도로 같다고 하구요 북한산이라고 못하는것은

중국인의 의해 양식이 됬고 중국에서 들여 왔으니 북한산보다는 중국산이라고 보아야 된다는 것이 겠지요

위에 하빈지에서 잡은 혹부리 사짜는 하빈지에서 나오는 대물급 중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걸로 알고 있읍니다

혹 북한산이라는 것은 아마도 반포붕어를 수입한 유료터가 하빈에서 어느정도 가까운 위치(아마 대구 계명대성서

캠퍼스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가능한 얘기로도 들리나 잡힌 붕어가 혹부리라면 거의 하빈지 토착어종

이라 생각되며 아니면 그곳 유료터에서 잡은 반포붕어가 하빈지에 유입이 되서 올라온다면 맞을 수도 있으리라

생각도 되고 , 북한산 토종이 들어와 있는 것은 분명 합니다

토종의 논란은 언제나 없을런지~~~~ 국산민증 받으면 국내산이 되었다고 다 토종이라고 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
추천 0

영혼의강 06-11-14 11:29 IP : c86457e7e5c61ac
흠.... 북한산 붕어가 그런것이었군요...
언제부터인가 낚은 붕어의 생김새를 관찰하는 버릇이 생기더군요...
어려서 대나무낚시 할적엔 마음이 가벼웠는데... 냇가에 물이 빠지면 수많은 붕어와 뱀장어 메기들...
토종붕어 화이삼!!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