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자유게시판] 어느 쪽으로 기울까요?

잉철 IP : 78fc537f60b1ec6 날짜 : 2014-08-24 01:42 조회 : 10879 본문+댓글추천 : 0

비슷한 크기의 탁구공과 쇠구슬 입니다.
어느 쪽으로 기울까요? 이유는 뭘까요?


othersqna_01410665.jpg
추천 0

1등! 기일손 14-08-24 01:58 IP : 7d98c0b5533e51f
왼쪽으로 기울거 같네요
양팔 저울은 상대적 무게를 가늠하니깐
탁구공도 무게로 작용하고
쇠구슬은 무게를 지지대가 지탱하므로
저울에 가해지는 무게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거 같네요 왼쪽은 컵에 탁구공이 더해진 무게
오른쪽은 단순한 컵의 무게
정답은요? ^^
추천 0

2등! 잉철 14-08-24 02:17 IP : 78fc537f60b1ec6
정답, 그림으로 준비중입니다.
추천 0

3등! Gon☆e 14-08-24 04:03 IP : 675638ef97ab789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습니다
추천 0

즐탁동시 14-08-24 07:06 IP : 2e84e4a24eea614
이문제가 낚시하고 상관관계가
있는건가요??
찌??
추천 0

송사리월척 14-08-24 08:33 IP : 6d1daebc3242a95
오른쪽
스텐드의 하중은 물의 부력만큼 줄어들므로, 그 줄어든 하중이 오른쪽 비이커속 물에 더해져서 오른쪽으로 기울것 같네요.
정답이 이렇게 단순하진 않겠죠?ㅋ
추천 0

부처핸섬 14-08-24 09:12 IP : 663d60de850e146
오른쪽으로..
탁구공이뜨면서 수면도같이잡고있는거같네요..
부력과침력..이해하면 쉽나여?^^
추천 0

누산거사 14-08-24 11:40 IP : 0ce01f295e21357
탁구공과 쇠구슬의 부피가 같으므로
증가한 물의 부피도 같다

그러므로, 어느쪽으로도 기울지 않는다 ^^
추천 0

낙수불입 14-08-24 17:12 IP : aa9b6fb74738705
누산거사님 추론이 맞을것 같습니다.
탁구공과 쇠구슬은 각자 비이커 중간에 있으므로 무게로 작용치 않고 결국 부피(용적)만 차지하는 꼴이 되니
비슷한 모양의 물건이 들어있는 양쪽 비이커는 수평을 유지한다.....
추천 0

꽝™ 14-08-24 17:14 IP : 9a7bcfde0371d00
"누산거사" 님 말씀처럼

부피가 같으므로 어느쪽이든 기울지 않는다.에 한표


단 "탁구공과 쇠구슬의 부피가 같다는 전제하에 해당됨"

아들놈 중학교책에서 본것같음.
추천 0

디비자자 14-08-24 20:02 IP : a3e31402ef1428c
물은공기보다 비중이높으므로

탁구공부피만큼 비커를들어 올리는 힘을 가할듯합니다.

왼쪽이 가벼울꺼 같은데요
추천 0

주말노숙 14-08-24 20:20 IP : 2c05234c6b7e52c
3초만에 기권ㅠ
추천 0

잉철 14-08-24 21:15 IP : 78fc537f60b1ec6
주말노숙님, 스트레스를 피할수 없다면, 즐기세요^^
그리고 틀릴것이란것에도 두려움을 갖지 마세요, 우리 모두가 물리학도는 아닙니다.
외국에선 이과생 공식가지 써가며 증명했다가 틀린문제입니다.
편하게 추론을 해보세요. 재미로.
추천 0

ponza 14-08-25 10:43 IP : b4e6a8d10ba65e9
느낌상 쇠구슬쪽일듯...
추천 0

글루텡 14-08-25 12:17 IP : f8a85d69afb97ba
쇠구술 쪽으로 기울지 않을까요
쇠구술은 스텐드에 메달려있으니 비커의 무게는 같고
탁구공은 비커 바닥에 고정되어있으니 탁구공의 부력으로 비커를 들어 올리려는 힘이 작용할것 같습니다
조금이라도 부력이 작용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쇠구술 쪽으로 기울것 같습니다
추천 0

협이다 14-08-25 23:27 IP : f0c50c7646b6d8a
실을 매달지 않고 탁구공이 물 위에 떠있고, 쇠구슬이 물 속에 가라앉으면 당연히 오른쪽으로 기울겠지만
탁구공과 쇠구슬 모두 물 속 한 가운데 있으므로 질량은 관계 없이 늘어난 물의 부피만 작용을 합니다.
고로 같은 부피의 물이 늘어났으므로 저울은 평행을 이루게 됩니다!
추천 0

아해 14-08-26 23:11 IP : 6de18eecdb34779
허허허...
물론 당연히 탁구공쪽으로 기울게 됩니다.
쇠구슬은 줄에 달려 있어 그 질량이 저울에 가해지지 않는반면, 탁구공의 질량은 저울에 더해지게 됩니다.
탁구공의 부력은 물에 상대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실에 묶인 부분이 바닥을 당겨 올리는 것과 같은힘으로 물이 비커 바닥을 눌러 평형을 이룹니다.
체중계 위에 사람과 아령이 올라가 있을때 사람이 아령을 당겨 올려도 체중계 전체 무게는 변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즉 위 그림은 같은 양의 물이 든 비커에 한쪽에만 탁구공을 띄어놓은 것과 같은 상황이 됩니다.
탁구공의 무게를 제로로 전제하지 않는 한 탁구공의 무게 만큼이 더해져 그쪽으로 기울게 됩니다.
뭐 굳이 가정하자면,
탁구공에 대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들어 있어(산소가 들어 있는 풍선 처럼) 탁구공이 공중에 떠있을 수 있다면 저울이 움직이지 않게 할 수도 있겠지만요.
추천 0

누산거사 14-08-28 21:11 IP : 0ce01f295e21357
잠깐! 실수하셨습니다.

산소는 대기보다 무거워용~~~^^
추천 0

잉철 14-09-02 22:33 IP : 78fc537f60b1ec6
정답은 쇠공입니다.

정답 영상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ADBL7_A9qA
추천 0

누산거사 14-09-08 18:21 IP : 0ce01f295e21357
그렇군요... 재미 있었습니다 ^^
추천 0

잉철 14-09-13 08:40 IP : 78fc537f60b1ec6
인터넷 검색하시면 정답들 설명이 잘 되어 있는데요,,,복잡하죠.
간단하게 생각 하세요.
비어있는 비이커였다면 탁구공 쪽으로 기울겠죠.
물이 들어가서 결과가 바뀌었습니다.
줄에 매달려 있어 침력이 상쇄 됐지만, 중력에 의한 떨어지려는 힘은 존재합니다.
중력은 항상 물체에 영향을 끼칩니다. 쇠공을 잡아당기고 있죠.
쇠공이 유체에 잠기며 유체가 쇠공의 침력(무게)를 전달하는 매개체가 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