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이런붕어???이름이

똥마리오 IP : 2f04ba692cf3082 날짜 : 2011-02-23 21:43 조회 : 12898 본문+댓글추천 : 0

이름이?
_SAM_0014_othersqna09432470.jpg
추천 0

1등! 소쩍새우는밤 11-02-23 21:55 IP : 46e42f8982e56f6
강 지류의 유속이 있는 돌틈 등에 서식하는 붕어들이 검은 반점이 있는데,
"돌붕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진의 붕어는 검은 반점이 많습니다.
더 확실한 답은 기다려 봅니다.
추천 0

2등! 월척남 11-02-23 22:05 IP : 6155d6459a4dfb9
소밤님의 말씀처럼 돌붕어 종자의 붕애인거 같습니다^^
추천 0

3등! bellesy 11-02-23 22:19 IP : bcb8a227516a7fc
돌붕어 수준을 지나서 일명 "깨붕어"라 표현하데요~
여러가지 말이 있더라구요!
돌붕어 또는 강붕어의 경우 물살의 흐름이 거센곳에 서식하는 경우
표피가 많이 거칠어지면서 저러한 현상이 나타난다는 주장이..
실제로 저도 강붕어 중에 그런 경우를 겪어본 적이 있습니다
드물게는 흐르는 물이 아닌 저수지에서 오염에 의한 경우도 있다 들었습니다만
대부분 강붕어중 물살 흐름이 세고 깨끗한 곳에서 저런 유형을 본적이 있습니다
전 보령쪽에서 아홉치정도 돌붕어를 잡아본적이 있고
철원 남대천에서 7치 강붕어가 월척급에 맞먹는 힘을 보여준게 기억이 남습니다
추천 0

눈의여왕 11-02-23 23:35 IP : e1d8607e6db88bd
철갑붕어? 점박이붕어?
흔히 돌붕어를 철갑붕어, 혹은 점박이붕어라고 부른다. 그러나 철갑붕어와 점박이붕어는 서로 다른 붕어다. 철갑붕어란 비늘이 오돌토돌하고 강해서 마치 철갑을 두른 듯 잘 벗겨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돌붕어의 특징을 제대로 표현한 별명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점박이붕어는 몸체와 지느러미에 마치 사람 얼굴의 주근깨처럼 까만 점들이 박혀 있는 모습을 표현한 말이다. 그런데 많은 꾼들이 ‘점박이 붕어=돌붕어’라고 알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강붕어 중엔 점박이 붕어가 많다. 워낙 점박이붕어가 강에 많다보니 ‘점박이=강붕어=돌붕어’ 라는 등식이 생겨난 것이다.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점박이붕어는 강붕어에 많기는 하되, 돌붕어는 아니다. 오히려 점박이는 장흡충의 원인균인 메타고니무스(metagonimus)에 의한 흑점병을 앓고 있는 환자 붕어다.
흑점병은 어류 피부병에 기생하는 유충의 배설물이 점으로 나타난 것이다. 강붕어 중에 흑점병이 많은 것은 강에 많은 다슬기 때문이다. 다슬기는 디스토마의 중간숙주로 알려져 있지만, 흑점병의 중간숙주이기도 하다. 참고로 일부 물이 맑은 계곡지에서도 흑점병을 앓고 있는 붕어가 발견되는 것은 저수지나 혹은 인근 계곡과 하천의 다슬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쨌든 점박이붕어는 돌붕어의 특징이 아니라, 균에 의한 일종의 병이라고 보면 되겠다.

■돌붕어의 힘은 어디서?
돌붕어의 또 다른 별명은 ‘천하장사’다. 그만큼 힘이 좋다는 증거다. 돌붕어의 힘은 어디서 나올까? 돌붕어의 체형을 보자. 저수지나 수로 붕어에 비해 몸이 길쭉하다. 강계의 돌붕어치고 ‘몸꽝’ 붕어는 찾아보기 힘들다. 돌붕어는 모두 ‘몸짱’ 붕어다. 그렇다고 갸날픈 것은 아니다. 오히려 군살이 없다고 표현하는 게 정확할 것이다.
중국에 가보면 지나다니는 여성들의 쭉쭉 뻗은 다리에 놀라게 된다. 이처럼 중국여성들이 군살 한점 없는 하체를 가질 수 있는 이유는 어려서부터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좌식 문화, 그리고 일상적인 운송수단으로 보편화돼 있는 자전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군살이 붙어 있을 틈이 없는 것이다.
돌붕어 역시 마찬가지다. 강에는 물살이 있게 마련이다. 집채만한 바위도 순식간에 굴려버리는 큰비는 오죽 또 잦은가? 강은 저수지나 댐에 비해 수심이 얕은 만큼 온도변화도 심하다. 먹이도 훨씬 귀하다. 한마디로 강계의 붕어는 강한 생활력을 요구받는다. 특히 강에서도 험한 바위대에 사는 돌붕어는 생존을 위해 더욱 강한 생활력과 활동을 요구받는다. 바로 돌붕어 특유의 힘의 원천인 것이다.
참고로 물흐름이 적은 소형 하천이나 수로, 혹은 저수지(주로 계곡지)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돌붕어는 몸이 날씬하지 못하고 다소 살찐 체형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편하다고 해야 할까?

■돌붕어 종이 따로 있다?
돌붕어라는 별개의 종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물흐름이 있고 돌이 많은 서식환경에 적응한 변이종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돌붕어를 채집해 수족관에서 키워보면 대략 1년 정도가 지나면 돌붕어 특유의 오돌토돌한 거친 비늘과 두터운 주둥이 모습이 사라지고 일반 저수지, 수로 붕어와 같은 고운 비늘, 부드러운 주둥이를 가진 붕어로 탈바꿈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재밌는 것은, 강붕어라 해도 바닥에 뻘이 많고, 돌이 드문 곳에서 낚이는 붕어는 저수지 붕어와 다를 게 없는 체형과 비늘을 가진다는 사실이다.
결국 까칠까칠한 촉감의 건강미 넘치는 돌붕어는 주위환경에 열심히 적응해서 생겨난 건강미인인 셈이다.

■돌붕어 먹성
돌붕어는 유난히 먹성이 좋다. 활동성이 크기 때문일까? 잘 먹어야 부지런히 움직일 수 있고, 또 부지런히 움직이다보니 식욕 또한 왕성해지는,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일게다.
아무튼 돌붕어는 특히 동물성 먹잇감에 강하게 반응한다. 지렁이와 떡밥을 같이 써보면 대략 7:3의 비율로 지렁이에 반응이 우세하다. 쉽게 말해 돌붕어를 낚자면 지렁이 미끼를 주미끼로 써야 하는 것이다.
강계의 생미끼인 납자루를 쓰면 입질은 뜸하나 일단 입질을 받으면 굵은 씨알일 확률이 크다. 특히 오랜 시간 비가 계속되고 난 뒤인 장마 뒤끝이나, 대규모 홍수가 지나고 난 뒤일 수록 동물성 미끼, 참붕어나 납자루의 생미끼가 잘 먹힌다. 계속되는 큰물 기간 동안 돌붕어 역시 굶주렸기 때문이다.
추천 8

초보무사 11-02-24 03:05 IP : 963b0792c79db94
예전 동네 개울에서 자주 보았던 붕어입니다.

특히 요즘같은 겨울철에 저런 검은반점이 더 많이 생기더라구요...이유는 모르겠습니다...^^

저수지에서는 저런 검은반점 붕어 보기 힘들더라구요...^^
추천 0

에몽 11-02-24 08:09 IP : 3b7614ad24dc57e
쏘가리같애용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추천 0

빼빼로 11-02-24 08:30 IP : 1eedf46094829b3
안녕하세요~

지역마다 이름을 틀리게 부르고 있지만.....

저는 이붕어를 소중하고 아주 귀한 돌붕어라 부럽니다.

한때는 돌붕어에 *처서 경남지역쪽으로 장박을 했던기억이 있습니다.

대부분 냇가와 수로에 서식을했는데 힘은 아주 장사입니다.

차츰 귀해가는 우리에 토종붕어 돌붕어입니다.
추천 0

posjink 11-02-24 08:52 IP : e6984fc0f785d7c
돌붕어 맞네요.
주로 냇가에 많이 서식하는것 같네요.
즐낚하세요.
추천 0

男子 11-02-24 09:01 IP : 8638a353d611b4b
어릴적 돌붕어 잡았을땐 병든 붕언줄 알고 모조리 버렸는데...이크...ㅠㅠ
수고하세요!!!
추천 0

한놈만조져 11-02-24 09:12 IP : e2d654875001fca
잔깨가 박힌 붕어는 본적이 있는데...
저리 많이 박힌 붕어는 본적이 없네요. 비늘에 푸른 때갈도 맴돌고...

여왕님 댓글중 흑점병... 새로운 사실도 알고 가네요.
추천 0

구경자 11-02-24 09:32 IP : 66ec4bb8e0821fa
돌붕어와 마주..라하나요 둘이 합작품 같읍니다!~

참멋진 붕어군요^^~!
추천 0

빵큰붕 11-02-24 09:54 IP : 1b102fb265ddc2c
저도 돌붕어에 한표던집니다.
추천 0

썸머 11-02-24 10:28 IP : 7bc1938a9a8a874
돌붕어네요...

전에 음성 앵천리 보에서 위에 붕어보다 점이 더 박힌 7치급 붕어를 낚아 본적 있습니다.

웬만한 월척급보다 더 힘이 좋아서..순간 깜놀,,^^;
추천 0

쉐도우블랙 11-02-24 10:50 IP : 4406b1d7ea8f683
저거 관상용붕어 아닌가요.. 제가 아는 돌붕어는 저렇게 점박이가 많이 있지는 안았는데.......
혹시 거기 절에서 방생하는 저수지아닌가요.. 그러면 거의 관상용 붕어가 맞는데......
잘은 모르겠지만..ㅋㅋ
추천 0

강사랑 11-02-24 10:51 IP : de9975bda1e1866
강에서 잡히는 돌붕어 맞는것같아요,눈의여왕님이 아주 상세히 설명을 자세히 해주시군요
추천 0

딘가이버 11-02-24 11:10 IP : 2670e1416179302
돌붕어!
그런데 점이너무많아이상합니다
추천 0

머든 11-02-24 11:34 IP : 892f891e1d9f1fd
병든 붕어라도 좋고 수질이 오염되서 생긴붕어 라도
난 이 붕어를 사랑합니다
어디든 다려갑니다
깨붕어 어디있니>
추천 0

송애 11-02-24 11:59 IP : c592178d3c6ae37
돌붕어와 깨붕어는 다른 종입니다.
위에 눈의여왕님이 글 올려주셨네요.
다들 강에 사는 돌붕어와 깨붕어를 착각하고 계시는겁니다.^^*
추천 0

뿌락데기 11-02-24 12:43 IP : c37525e05b0015f
탐진강(전남 강진 군동) 투망의 기억에 의하면
탐진강에서 한 겨울 투망에 잡히는 붕어는 모두 위 사진의 붕어와 같습니다.
이름도 그냥 붕어(붕에)라 부르구요,

특히 한 겨울에 이 점박이 현상이 심해 지는것은 확실합니다.

한겨울 투망으로 붕어 잡기 첫번째.
강 주변 높은 언덕에서 붕어 떼(붕어들이 모여서 아주 서서히 이동하기때문에 수초등과 구별이 쉽지 않음)를 찻는다
투망을 투척 준비하여 최대한 붕어가 인기척을 느끼지 못하게(전술 보행?) 투척 가능거리까지 간다.
투척시 붕어떼가 일찍 알아채고 도주를 하거나, 수심이 깊으면 마릿수일수도 있고, 투척(위치, 타이밍) 실패에는 꽝.
성공하면 대박입니다. 기억속 최대 대박은 부피로 가정용 아이스박스 큰것(대략 70리터) 꽉 채웠습니다.
이런 붕어 잡기는 30~40년전의 제 기억입니다.
추천 0

뿌락데기 11-02-24 12:55 IP : c37525e05b0015f
한겨울 투망으로 붕어 잡기 두번째.
투척할 자리를 만든다. 강 바닥을 미리 굵은 돌, 철사등 공사(?) 한다
해 지기전 미리 만들어 놓은 떡밥(재료는 모름,야구공 크기로 아주 딱딱하게 궅힌 상태)을 포인트의 중앙에 던져 놓음.
밤 10시경 투척 준비후 최대한 발소리를 내지 않게하여(가장 중요) 포인트 정확히 투척.
이 방법은 잡고기 많으며, 큰고기도 많음.

30여년 전의 제 기억이며. 부업으로 허가내고 하셨던 분이십니다.
추천 0

뿌락데기 11-02-24 13:24 IP : c37525e05b0015f
댓글의 탐진강 투망은 수제 투망으로 코가 커서 잔고기는 다 빠져나갑니다.
수제 투망..
한코, 한코를 대나무 바늘로 제작합니다. (어머님들 뜨게질하는 것처럼)
봉돌도 불에 녹혀 석고에 부어서 직접 제작...
생 감을 따서 염색(?)....
추천 0

전자바늘 11-02-24 13:30 IP : d23de3c2ab8efb2
잡종붕어?
추천 0

스만스 11-02-24 13:59 IP : 830ce57531493bd
돌붕어로 보기엔 너무 점들이 많고 큰것같네요 하기사 사람도 점 큰사람있듯이 쟈도 그런듯하네요 ㅎㅎ
추천 0

골든스마일 11-02-24 14:05 IP : 60a400c94fb2f85
돌붕어인데 물살이 좀 있고 바닦이 왕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곳에서 주로 잡히더라구요.
힘좋죠~~
추천 0

촬쓰 11-02-24 14:13 IP : a9676c7933c1281
돌붕어 1표..
추천 0

뉴웨이즈 11-02-24 14:55 IP : 29a8705b34eb11e
쏘가리와얼레리 꼴레리?? 쏘갈붕어??
추천 0

연꽃향기 11-02-24 16:04 IP : b4d9bacbe7c8989
돌붕어 입니다 ... 주로 강에서 많이 서식 합니다 .. 힘은 일반 붕어보다 더 좋습니다
추천 0

카사노바2 11-02-24 17:15 IP : f7d7d936f3cf0a9
병든 붕어에 한표,,,,,,,,,,,,,만지기두 꺼림직허네여,,,,,

몇년전에 예당 에서 여러마리 잡은 기억이,,,,,,,,,,주로 지렁이에 입질허네여

눈의 여왕님께 한표 보냅니다
추천 0

경산사동붕어 11-02-24 18:14 IP : 7bbc3b5bfe34231
저거..냉수대의 점박이 붕어라고 알고있는데..장흡충의 원인균인 메타고니무스(Metagonimus)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추천 0

홀리피셔맨™ 11-02-24 19:27 IP : ecc9c1174683dd8
병에 걸렸건뭐했건 제가 젤 좋아하는붕어입니다
그냥 이상하게 좋습니다
추천 0

계측자 11-02-24 20:40 IP : 26aac5263a39cfd
지느러미가 점박이는 종종 봣는데
몸통까지 ~~~~~~~~~~~~`
추천 0

낚시와상처 11-02-25 00:20 IP : 32aaa67910a4ce3
깨 참 많은 돌붕어..

생태계에서 지금가지 보지 못한 붕어도 보고 가네요.
추천 0

저녘노을과새벽물 11-02-25 09:17 IP : 7bb3ae7fc275d8a
사진의 배경으로 보아 강에서 잡으신거 같네요~
근데 저수지에서도 위사진처럼 생긴 붕어가 올라오더군요~
서식환경이 개끗하다면 그냥 붕어일것이고~
오염이 심하다면 병에 걸린게 아닐가 생각 합니다 ㅋ
추천 0

채바바 11-02-25 11:01 IP : b797b2f0a8ede53
주암댐 첨 막아 붕어 화수분일 때 놀러갔는데

정작 댐에선 재미못보고 댐아래 보에서 사진과꼭같은 붕어들 꽤 잡앗지요

현지인들은 돌붕어라안하고 깨박이,깨붕어라고들 하시더군요

거친 돌바닥을 헤집고다녀선지 비늘이 거의 갑옷이더란 ㅎㅎ
추천 0

브로큰 11-02-25 14:19 IP : 288e1ecefe0c207
저거 돌붕어에요 ㅎㅎ 좀더잇음 돌색댐 ㅋㅋ
추천 0

ㅇMC몽ㅇ 11-02-25 16:14 IP : 68b08eaae207183
제가보기에도 돌붕어같습니다.^^
추천 0

배불뚝 11-02-25 16:40 IP : bde1af8720f8886
돌붕어 1표 첨보네요 혹시........?
추천 0

챈스 11-02-25 16:49 IP : 95bce1408b850ba
한25년 전에 예당지 상류 수로에서 많이 잡히던데 힘이 좋고 입춘 전후에 새벽 살얼음이 얼적부터 봄까지 마릿수로 잡아보았습니다.
노인네들 말씀이 토종 돌붕어라고 하시더군요.지금은 떡붕어에 밀려서 많이 사라졌지만...토종 돌붕어가 맞는 것 같습니다.
추천 0

짤짤이 11-02-25 23:08 IP : 197de77cf379a84
돌붕어같네여~~어릴적 강낚시하면 저런붕어 많이 잡았어요!
그강물을 퍼올려 농수공급했던 저주지에서도 저런붕어가 잡혔어요!
그리구 비늘이 아주 두껍고 단단했던 기억이 나네요~ㅋㅋ
추천 0

여유롭게 11-02-25 23:57 IP : 18144a88a037434
유익한 정보 잘보고 갑니다
추천 0

그게무시라꼬 11-02-26 00:59 IP : 3563a42be61dc28
돌붕어에 한표던지고 갑니다~~~^^
추천 0

풍파인 11-02-26 01:48 IP : 9a4c1d5b2eae68d
돌붕어가 맞습니다...
어릴적 저수지에도 흔했었는데....지금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추천 0

청산가인 11-02-26 10:21 IP : 835dfc6eaebd1f6
깨붕어 아님 잡종붕어 아~~~~ 햇갈려
추천 0

장거리장박 11-02-26 10:33 IP : 0ae18969f28203a
딱 한번 잡아 본적이 있습니다
원남지에서 맹동지로 가는중에 있는 맹동2호지 무넘이를 넘어 원남지 경운기길로 들어오게되져

3월 초순경 원남에서 꽝치고 오는길에 차량들이 있기에 수로 인가 하고 들어가보니 맹동 2호지 제방 넘어 물통인데
사람들이 낙시를 하고 있더군요 연실 잡아내면서..... 짧은대 2대 편성후 바로 입질이 들어오는데
잡히는 고기가 전부 위 사진붕어 와 똑 같더군요 돌붕어도 아니고 근데 고기를 잡아 만져본 촉감이 표면에 점액질이
보통 붕어보다 3~4 배는 많더군요 고인물에서 잡힌붕어고 기분도 꺼림직하고 해서 오염된것이 아닌가 했는데
낙시 40년 하면서 처음 보았습니다
맹동2호지 물이 맹동2호지 긴골로 유입되고 제방을 넘은 물은 원남지 경운기 길로 유입되는데
이 2 저수지에서는 그런 붕어 잡아 본적도 구경도 못했는데.....
오염이 원인이 아닐까요?
추천 0

오로지붕어만 11-02-26 14:00 IP : 49f338f6994e204
돌붕어 같기는 한데
40년 넘게 낚시하면서
검은 반점이 이렇게 전면적으로 퍼진 돌붕어는 처음 본듯 합니다.
추천 0

낚장불입 11-02-26 18:50 IP : 29a0a8648b4bc2c
지두 첨~~밧슈......^^
추천 1

멀국 11-02-27 08:39 IP : 79c5e1297a7ebff
돌붕어 같은디....

검은점이 많은것은 첨 보네유.

잘 보고 갑니다.
추천 0

초급붕어 11-02-27 22:53 IP : a843f42e0f3a517
참 오랜만에보는군요
돌붕어가맞네요
서식환경에따라틀립니다
특이한고기라 생각해서 어항에기른적이있는데
얼마지나지않아서 일반붕어와똑같이되어버린적이있었는것같군요
아마서식환경에따라서변화는것같읍니다
추천 0

오성취루 11-02-28 01:06 IP : bd0ec9bb8c7c506
돌붕어입니다.
추천 0

Richard입니다 11-02-28 18:46 IP : c398dc7b1d5cb9b
눈의 여왕님 덕에 아는것 하나 더 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