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찌 마춤 질문좀 드려봄니다

백귀야행 IP : 6661db026e7df8f 날짜 : 2010-02-06 17:22 조회 : 2385 본문+댓글추천 : 0

수조 찌마춤이랑 현장 찌 마춤 차이가 얼마나 나나요?
수조에선 예비로 하고 ㅇ현장에서 하면 무거운 마춤이 대나요?
가벼운 마춤이 대나요?
그런 차이가 나는건 물의 온도 때문인가요?
아니면 물의 딱도 (부유물)때문인가요?
물의 온도 때문이라면 1도의 차이당 찌의 마춤이 무거 우면 얼라만큼 무거워 지는지
가벼워 진다면 얼마나 얼마나 올라가있는지 고수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추천 0

1등! 한방브르스 10-02-06 18:33 IP : a2710f07dcd0760
안녕하십니까?

수조 찌맟춤 너무 예민하게 생각하지마시기 바랍니다.

우선 유료터가 아닌 노지에서 우리고유의 토종붕어를 대상어로 낚시를 하신다면 크게 신경쓰실 이유가 없습니다.

문제는 낚시꾼의 얇은 귀를 탓하고, 요즈음같은 동절기에 예민하게 작용할것이라는 생각의 차이일 뿐입니다.

일단 수조에서 찌맞춤을 한번 해보십시요.

영점찌맞춤의 차이를 느끼실수 있을겁니다.

찌의재질에 따라 조금은 차이가 날수있습니다(스기--별차이없음, 오동--약간의차이, 발사--가장큰차이)

찌에 케미(주간용마커제외)를 끼우고 본인이 생각하는 영점맞춤을 한후 케미를 빼보시면 찌톱의 상당부분이 수면위로 올라옵니다.

또한 같은영점맞춤을 하더라도 현장에서는 수심에따른 수압의변화 원줄,찌고무,찌멈춤고무 등의 무게로 인하여 수조에서 맞춘

것보다 무거워지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수조에서 대충맞추고 현장에서 포인트의 수심측정후 찌를 30센치정도 올려서 현장찌맞춤을 다시하는 식으로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어떤때에는 약한입질만 들어오면 봉돌을 상당히 많이 깍아야 하는 경우도 생기기는 합니다.

하지만 웬만하면 조금 무거운 상태로 낚시를 하며, 무거울 때의 입질이 중후하게 올라오는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내채비에 믿음을 갖고 낚시를 해야 스트레스를 안받고 낚시를 할수있으며, 채비의 변화를 주면서 낚시를 배워나갈수있어서

그자체를 즐기면서 낚시하고있습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출조시 안전운전 하시고 즐거운 낚시 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2등! 어린붕애 10-02-06 23:24 IP : 769543aab0da85c
저는 수조 맞춤후 현장 마춤없이 그냥 낚시합니다.
줄의 무게, 물의온도,부력드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냥해도 큰차이없이 입질들어옵니다.
추천 0

3등! 무궁화 10-02-07 00:08 IP : f1519038a60e6f8
수조는 봉돌에 바로 찌를 맞추치만 현장에서는 봉돌, 바늘, 찌고무, 멈춤고무, 원줄무게까지 생각해 보세요.
당연히 무게가 더 나가겠죠. 그리고 수조와 현장의 수압은 엄청 차이가 납니다.

물론 온도, 탁도도 있지만 전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

제가 하는 찌맞춤은 캐미빼고 수평맞춤합니다. 그런다음 캐미를 꼽으면 아주 천천히 가라 앉죠.
이렇게 해서 찌 맞춤하고 채비를 해서 현장에 가면 바로 낚시 시작합니다.
추천 0

bluedawn블루던 10-02-07 00:45 IP : ba49da1a533e3e1
현장 찌맞춤 선 수심 후 정밀찌맞춤
입질없을시 찌 조정 해주고요 상황봐서 찌맞춤 다시 확인합니다

채비를 의심하면 끝도 없지만 그렇다고 게으르게 낚시하는것도 아닌것 같습니다

보통 영점 찌맞춤을 하지만 겨울철 들어 마이너스 맞춤을 사용중입니다

노지나 관리형 저수지에서는 채비에 대해 그리 신경을 쓰지 않지만(다소 무겁게 사용하기에)
겨울이 된후 예민한 채비를 준비하고 자주 확인을 해줍니다(겨울만큼은 채비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추천 0

ogongkr 10-02-07 01:28 IP : 88e538c47966bba
저도 잘은 모르나 원줄 무게 이런거 제외하고, 수온의 차이는 이런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먼저 겨울철 수온이 낮을때는 여름철보다 비중이 높아 진다고 합니다. 겨울철 현장에서 예민하게 맞춘 찌는 재질별로 차이가 있겠으나, 여름에 쓸려고 하면 찌탑이 몇마디씩 올라오는 것을 경험 했습니다.

어디서 본건데 그이유는 여름철 물의 비중이 낮으므로 무거운 찌맞춤이 되야 하는데, 문제는 찌가 물 부피가 커지는거에 비해 훨씬더 부피가 커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벼운 찌맞춤으로 변한다고 하더군요,,,

수조의 수온과 수조가 있는곳의 환경 즉 집안의 온도가 현장 보다는 훨씬더 높을것으로생각 됩니다.

그러므로 여름철에 가까운 환경일것으로 생각 됩니다. 찌 부피가 현장의 환경 보다 클것으로 생각 됩니다. 그로 인한 차이도 매우 크다고 생각 되는데요,,, 적절한 답변인지 모르겠습니다...... 세밀한 부분은 고수분께 패스.....
추천 0

물뽕 10-02-07 03:50 IP : 8cacb667f44ebc3
수온이 낮을시 비중이 더높구요 ,,

수심이 깊어질수록 비중이 높습니다

노지에서는 그냥 수조 영점만사용하셔도 됩니다 ㅎㅎ

고정도봉돌도 못올리는 붕어는 밥숟가락 놔야지요 ~~~~ㅋㅋ
추천 0

誠敬信 10-02-07 08:06 IP : 17c392448f5b891
수조 찌 맞춤은 대물찌맞춤이라 생각합니다

떡밥낚시를 하신다면 당연 현장맞춤 하셔야 합니다

잡아도 그만 못잡아도 그만 난 물가에 있으면 행복해^^*

하시다면 수조찌맞춤 하셔도 가끔씩 올라옵니다

이곳의 답변에서도 각자 틀립니다

그리 어려운일 아닙니다

님께서 수조영점 맞춤후 현장가셔서 한번 확인해 보시면 간단한 일입니다

엄청나게 깍아야 영점맞춤 가능할겁니다

물의 밀도 수온 수압등등에 의해서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직접 확인해 보심이 님께 큰도움이 되리라 생각 합니다
추천 0

철산아저씨 10-02-07 09:42 IP : 38ec7be8328869c
쓰시는 줄이 카본이나 모노에 따른 차이점도 상당합니다

수조에서 영점잡고 현장에서 맞출시 줄의 무게가 상당한 작용을 합니다

물론 이것도 저처럼 관리형 저수지에서 짜장 잡을때 이야기고

토종을 하신다면 그정도 부력차이는 무시해도 다 올려줍니다

안출하세요..
추천 0

소쩍새우는밤 10-02-07 12:11 IP : 7850898015880c0
수조찌맞춤이 기본입니다.
현장찌맞춤과 약간의 부력차이는 예상합니다만,
그 정도는 무시합니다.
장소,현장여건,입질의 활성도.....수많은 변수에 비하면
그 차이는 미약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추천 0

골팽이 10-02-07 12:35 IP : 114398d22cd3ddd
활성도가 졶은 5-10월에는 수조맞춤 그대로 하셔도
무방하지만 저수온기 11-3월 사이는 미세한 입질
파악이 잘안되고요 물속 미세한 상황 아실려면 필히 현장 찌 맟춤 필수사항
그에따라 맞는 부력조정
추천 0

찐5 10-02-07 15:59 IP : 00e46e79db91ad0
수조에서 찌맞춤 하는 것이 노지에서 하는것보다 부력 때문에 약간 무거운 찌맞춤이 됩니다....예를들어 수조에서 영점맞춤 하시면 노지에서는 영점보다 조금 무거운 찌맞춤이라고 보시면 무방하신 거 같습니다....
추천 0

라잇나우 10-02-08 09:04 IP : ee3f18d048a2dca
큰차이 안나던데요,,
추천 0

용두사미 10-02-08 10:36 IP : dd6dab81c21523b
지렁이나 새우등을 미끼로 사용할땐 수조맞춤으로 가능하지만
떡밥낚시할땐 현장 찌맞춤 을 합니다

노지에서 떡밥 찌맞춤은 먼저 수조 찌맞춤한 찌로 현장에서 바닥수심 까지 찌를 맞춘 후
다시 3~50Cm쯤 올려 케미꽂이 높이만큼 찌높이가 맞게 봉돌을 깍은후
다시 찌를 케미꽂이가 보이게 맞춘후 낚시합니다

단 바람이 불거나 물이 출렁거리거나 대류현상 같은건 상황참작해야함!

다른곳 노지에서 찌맞춤 할때 너무 가볍게 되있으면 편납으로 감아줍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