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배스터에 수달이란 글을 읽고 궁금해 졌어요.

껌둥이 IP : 8470f6beda2fac9 날짜 : 2012-02-10 08:12 조회 : 8347 본문+댓글추천 : 0

초행님께서 작성 해주신 글을 읽고...
배스터에 수달 이걸 좋아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댓글들을 보면서 <br/>궁금한 부분이 생겼습니다. 댓글을 읽다 보면 풀릴줄 알았는데 더 심해 졌네요..
질문 입니다.
1. 배스터에 수달이 서식하는 것에 대해 좋아 해야 하는가요....?사유는요??
2. 배스터에 수달이 서식하게 되면 붕어에 생명에는 더 위협이 가지 않는가요?
3. 배스가 빠를까요 붕어가 빠를까요?

아직 배스가 없는 동네라 배스 요녀석의 위협을 몰라서요.
추천 0

1등! 잡고싶다™ 12-02-10 09:34 IP : 9e2bb1e21e9ebf0
다른건 고수님께 페쓰 하구요
웃자고 하는 말인데요
붕어는 살려고 도망가는데 붕어가 더빠르지 않을까요 ㅋㅋㅋㅋ
추천 0

2등! 즐겨 12-02-10 11:19 IP : 343d733f321a1d7
1.수달이 산다는 것 자체만으로 기분 좋은 일인것 같습니다.
2.배스나 붕어나 다 수달 밥이죠.
3.배스가 더 빠를것 같습니다.
추천 0

3등! 하나로 12-02-10 15:06 IP : 51089c6f097f654
1,배스터에 수달.... 좋아해야되지 않을까요? 배스의 천적이 생기는건데...
2,배스나 수달이나 붕어한테는 둘다 적들이지만 수달이 움직여서 배스가 쫌 움츠러 들지 않을까요?
3,느낌상으론 붕어가 더 빠를것 같은데 (붕어는 우리편이니깐) ....잘 모르겠습니다....
추천 0

워리리리 12-02-10 15:25 IP : decb84cbb4bce50
배스터에서 밤에 수달이 배스 잡아 먹는거 구경하고 온적 있습니다.. 배스가 상류 얕은데 있다가 물밖까지 튀어 나오더군요... 수달은 엄청난 스피드로 물보라를 일으키면서 쫓아 다니구요... 흡사 동물에 왕국이나 다큐멘터리에서 본 범고래가 물개 잡아 먹을때 처럼 몸이 반쯤 잠기는 얕은 곳 까지 쫓아와서 잡아 가더라구요...

배스건 붕어건 수달한테 스피드로는 않될꺼 같습니다.. 다만 개채수가 많으므로 사냥하기 쉬운 배스를 아무래도 선호하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붕어가 더 많다면 붕어가 더 많이 잡혀 먹히겠지만요..

배스도 그리 빠른 물고기는 아닌거로 생각합니다... 다만 은신과 엄폐를 잘해서 그렇치만요..
추천 0

주말노숙 12-02-10 17:13 IP : 55d903c8548c35e
붕어 보다 배스가
입맛에 맞아야할텐데..
추천 1

무위도식 12-02-10 20:26 IP : 13a9db204a812b3
수달은 잔챙이 보다는 덩치가 큰놈을 선호하겠지요
추천 1

그림처럼바람처럼 12-02-10 23:09 IP : 5ef46a423e76e61
똑같은 답변을 많이 하네요

정확하게 말씀드립니다.

일반 저희가 낚시를 하는 지역에는 수달이 없습니다. 다 뉴트리아 입니다.
수달이 있었다면 1급 청정수 고, TV나오고, 상수보호구역으로 지정 됩니다.

3번 답은 배스가 당연히 빠릅니다.
추천 0

터미박 12-02-11 00:16 IP : 37b60514b915f83
1번 배스터에 수달이 추가 된다면

그렇지 않아도 입질 보기 힘든데 더 입질보기 어려워 진다고 생각됩니다

큰붕어에게는 배스는 두려운 존재가 아니나 수달은 바로 천적이 됩니다

수달이 주로 얕은지역(낚시대 공략범주)에 발밧치고 있는데
붕어는 수달을 피해 저수지 중앙부로 활동범위를 줄인다고 봅니다

순전히 낚시꾼의 입장으로만 본다면
수달은 낚시방해꾼 입니다

2번

위의 결과 처럼
적군한명 추가 입니다 ㅎㅎ

3번

인간은 회로 먹으나 찜으로 먹으나 붕어가 맛있는데

수달의 입장에서는 배스가 사냥하기 더 쉬울것 같습니다

배스터의 붕어는 물갓으로 나오지 않습니다 갓으로 나와 보았자
새우나 참붕어같은것을 사냥할일도 없고 그 자리를 배스집단이 차지 하게 됩니다

배스터에서는 산란기를 제외 하고는 긴대에서 입질이 주로 들어 옵니다(즉 깊은곳)

배스가 크기도 크고 사냥터와 맞아 떨어지기 떄문에
수달이 배스위주의 식사를 하리라 예상 됩니다

배스와 붕어의 속도는

유선형의 매끈한 배스가 더 빠름니다

붕어가 전투기라 한다면 배스는 따라잡는 미사일이라 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수달은 수질과 서식여부는 무관 합니다

2.3급수의 강계에 다량 서식하고
3급수에 가까운 소류지에도 다량 서식 합니다

사진 보도를 맑은곳 위주로 취재를 하였기 떄문에
시내하천에도 카메라로 촬영 하면 얼마든 찍을수 잇습니다

수달이 현제 천연기념물330호로 지정되있고
멸종위기1급으로 지정되있는데
하루빨리 조정이 필요 합니다

멸종위기1급에는 호랑이,반달곰,늑대,시라소니,사향노루,여우 등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동급으로 취급되는것도 우습고

이미 위에 열거 한동물들은 멸종동물이 대부분 입니다

수달의 천적이 사람밖에 없는 관계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는데

일차적으로 1급에서 당연히 해제하고 2차적으로는
천연기념물에서도 제외될것이 예상 됩니다

보호동물~ 정도의 등급이 합당 할것 같습니다
추천 1

dlwkdnjs 12-02-11 13:30 IP : a4d8be7cdf69cad
1~2에 대한 답변 입니다.

배스도 붕어를 먹고, 수달도 붕어를 먹습니다.
그런데 배스는 유해어종이고, 수달은 보호종입니다.

배스는 우리나라의 생태환경에선 무한대에 가까운 번식력(붕어급 번식력 + 수컷의 치어보호)을 가졌고,
수달은 생태계에서 자기 위치에 알맞는 번식력을 가졌습니다.

또 하나의 차이는 배스는 배스를 먹지만, 수달은 수달을 먹지 않습니다.

이게 어떻게 적용되는가 하면, 배스는 먹잇감의 물고기 개체가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동족을 먹을 수 있는 어류의 장점을 살려 생태계 균형조절에 의한 개체감소가 적습니다.
수달은 그냥 굶어죽거나 다른 곳을 찾아야 하죠.

물 속 생태계는 1:1로 맞짱떠서 자기구역 정하는 그런 방식이 아닙니다.
그래서 가물치한테 줘 터지는 배스가 가물치 있는 곳에 방류되면 가물치가 오히려 감소합니다.
가물치가 다 크기 전에 배스 식사가 될테니까요...
그렇다고 다 큰 가물치가 배스 사냥을 따로 다니는가 하면 자기 구역잡고 들어오는 것만 야금야금 먹습니다.
배스한테 집니다 생태계에서 가물치는요...

그래서 천적이 없어 천하무적인 배스의 견제용으로써 수달은 가치가 있습니다.

수달이 배스만 선택해서 사냥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수달이 있는것과 없는것은 배스가 사냥 당하느냐 마느냐의 큰 차이로 갈라집니다.
수달 한 마리가 잡아먹는 배스 몇 마리가 잡아먹을 붕어나 수생생물의 양을 환산하면
수달은 아예 플러스요소 입니다.

단지 내 대상어를 잡아먹는다는 1차원적인 시점에서만 보자면 수달이 달갑지 않지만,
실제로 수달은 생태계에 지극히 정상적인 개체이며, 배스에겐 아주 좋은 제제방안입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배스의 개체증가를 억제한다는것은 붕어낚시꾼에게도 당연히 호재입니다.

오히려 수달의 개체가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그 효과가 크지 못한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수달은 배스와 마찬가지로 붕어에겐 포식자겠지만, 그 포식자가 가장 위협적인 포식자인 배스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는걸 간과할 수 없습니다.

3에 대한 답변
평상시엔 붕어와 다름없이 굼뜨지만, 사냥할때 순간적인 움직임은 비교가 안됩니다.
추천 3

껌둥이 12-02-13 10:46 IP : 8470f6beda2fac9
많은분들 댓글 감사합니다.
우리에 붕순이 붕돌이 건강하게만 자란다면.. 수달이건 베스건 머가 문제이겠습니까..
붕순이 붕돌이 붕애...화이팅....
추천 0

저수지하나사자 12-02-14 11:27 IP : b0889c59ba50232
강계지역에 배스가 늘어나면서 수달의 분포지역이 확대된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배스는 상위 포식자이면서 상당히 게이른 포식자이지요
수달에게 있어 붕어보다 배스가 더 좋은 먹기 감이라고 하더군요~
머 일단 고기 싸이즈부터 틀리니~~
배스는 육식어종이라 내장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며 단백질 함유량이 매우 많다고 합니당

그리고 이건 여담이지만
많은분들이 오해를 하시는 부분이 있어서 몇자 적습니다
육식어종이 일반 잡식어종보다 행동이 빠르고 민첩하다는건 큰 오해인듯합니다.

비단 배스뿐만이 아닌 가물치나 꺽지 쏘가리등 대표적인 육식어종은 무방비인 상태의 지역에서 활개를 치며
사냥을 하는것이 아니라 은폐 엄폐된곳에서 숨어서 지나가는 사냥감을 한순간 노리는 경우가 많습니당
순간적인 스피드는 높지만 장기간 스피드는 붕어에 비해 딸리지 않을까 생각합니당
추천 0

라이트닝 12-02-14 19:05 IP : c0356f6d88f116f
저희 강원도 시골에 300평 정도되는 둠벙이 있는데~
베스가 들어온지 오래 되었지만~

정말로 어쩌다가 어렵게~ 어렵게 베스 한마리 구경할 수 있을 정도로 귀하고요.
황금빛 붕어가 꽤 많이 살지만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8치를 못 넘깁니다.

그 이유는요...
수달이 하도 설쳐대서 뼘치 이상 고기는 남아나질 못합니다.

붕어는 많이 있고 베스가 거의 없는 걸로 봐서~
붕어보단 베스가 수달에겐 더 맛있는 먹이인가 봅니다.

빠르기야 수달이 훨 빠르므로 의미가 없을거고~
베스가 늘어나지 못하므로 붕어 서식에 좋을거고~

그치만,
수달 한번 설치고 나면~
그날 낚시 쫑입니다.
수달만 뜨면 물속에 있는 생명체는 모두 짱박혀 버립니다.
추천 0

장하다 12-02-14 19:23 IP : ffbea1775ad9e0b
대전 가수원 갑천에는 요즘 얼음위에 배스 대가리만 15개 정도있어요
추천 0

큰놈한수 12-02-14 21:23 IP : 78e95a0a077ac9a
베스터에서수달이라?
기분좋은소식이네요
수달이붕어를먹던베스를먹던
그것은자연의섬리인과동시에
거부할수없는먹이사슬이겠지요
수단ㅂ이있다는거만으로도자연이
살아있는거닌까요
추천 0

위원장 12-02-15 20:36 IP : 9b12eecdfcb026c
배스와 수달이 있으면 붕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월척이하는 배스가 먹고 월척이상은 수달이 먹습니다. 수달이 있는 못에서 두번 낚시했는데 9마리,12마리를 잡았는데 모두 9치이하로만 나왔습니다. 이제는 그못에서 낚시안합니다. 월척이상은 모두 수달이 식사해서요...
추천 0

말뚝쟁이 12-02-16 15:55 IP : ee63d36232327c2
먹이사슬의 최상류층이 바뀌는 시기가 된것같네요!
물가의 지배자가 바뀌면 배스던.붕어던 위협이 되겠지만
배스보다 상위층이 생겼다는 것 만으로도 좋은 현상 이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