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잉어가 소리에 반응(깜짝)하든데요?

305 IP : ba8777abd91f4e0 날짜 : 2010-04-14 13:27 조회 : 4016 본문+댓글추천 : 0

지난 3일(일요일) 오후 영천의 작은못에 낚시를 갔었네요.
한 5천평 정도되는 작은 저수지에 저 말고 맞은편 못둑에 노인한분, 이렇게 둘이 마주보고 앉아있었네요.
붕어는 구경도 못하고 앉았는데 수면에 시커먼게 드믄드믄 보이드라고요?
바람이 불땐 몰랐는데 바람이 자고 수면이 민경알처럼 고요해지니
하나하나 셀 수가 있었는데 중학생 넓적다리만한 잉어 거의 20마리 이상이였습니다.
그 작은못에 그런덩치가 그 만한 수로 살고 있었다는게 정말 믿을수 없었지만
시커먼 물체가 잉어란걸 알았고 꼬리를 보니 가물치와 구별이 됐습니다.
믿기 곤란해서 맞은편 노인에게 큰소리로 물어봤네요.
"아저씨 저게 잉어맞지요??"
순간 수면에 군데군데 물 튀기는 파문이 일어나며 이눔들이 전부 물속으로 사라져 버리드라고요?
조금있으니 다시 수면으로 떠 오르긴했지만 분명 소리에 반응 한다는걸 확인했는데
비록 붕어가 아닌 잉어였지만
여기서 읽은 몇몇 글에서 소리가 수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전달되지 않는다는) 글을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
그 글을 읽은뒤 라디오도 사고 전화도 소신껏하고 옆사람들하고 대화도 삼가지않고 그랬는데...
그럼 그게 아니였던가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일상적인 움직임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크던 적던 영향이 분명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의견을 듣고 싶어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추천 0

1등! 꺽다리삼촌 10-04-14 13:38 IP : ce307ba7421312f
소리에 당연히 반응을 합니다.
하지만 이번경우는 조금 다르죠..
고기가 수면위에 올라왔으니 더 작은소리에 크게 반응을 한것이고
일상적으로 우리가 낚시를 할때는 고기가 물속에 있죠
그리고 우리가 흔히 크게 소리를 지른다던지 하지만 않는다면
왠만한 소리는 물 표면에서 반사가 됩니다.
물속에 있는 고기들에게까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이죠
소리보다는 글음거리같이 땅에 충격을 주는 행위가 더 큰 영향을 줍니다.
소리도 수싶이 얕을수록 또 소리가 클수록 영향을 주게 되는거구요..
추천 1

2등! 붕어국가대표 10-04-14 14:28 IP : a1115575d22e302
낚시에서 소음과불빛중 어느것이 조과에 더 악영향을 미칠까요.

망태기에 잡은붕어를 넣어놓고 낚시하다가 엉덩이가 아파서 의자에서 엉덩이를 조금 움직이는

정도의 소음으로도 망태기안에 들어있는 붕어들은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여

파닥거리며 어쩔줄 몰라합니다.망태기에 후레쉬를 비추어도 놀라서 파닥거리지만 소음보다는 덜합니다.

작은 소류지나 둠벙이라면 평소 소음과는 거리가 먼곳이라 미끼갈아줄때 내는 부스럭거리는 미비한 소음에도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규모가 작은곳일수록 최대한 정숙하게 낚시하지않으면 꽝을치기 일수입니다.

빛과소음중 어느쪽이 조과에 악역향을 더 미치는것 같냐고 묻는다면 저는 소음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추천 1

3등! 붕어와춤을 10-04-14 17:44 IP : 40f40835b31b66e
서리는 곧 진동입니다.

진동은 파장이구요.

당연히 어디던 갑니다.

수면에 떠있는 고기는 그만큼 경계심을 더 가지게 되죠
추천 0

붕어n 10-04-14 19:04 IP : fd3a944a62c9f98
가장 민감한것은 소음입니다.
불빛은 그다지 영향을 안주는걸로 압니다.
엣날에는 간드레 켜놓고 참 많이도 잡았었는데~~~~
제가 어릴적에 골짜기로 밤에 횃불을 들고 가재를 잡어러 많이 갔었는데
붕어들이 물가에로 나와 있는데 횃불을 비추고 있어면 꼼짝도 안하고 제자리에 가만 있읍니다.(꼬리만 살랑살랑 흔들면서)
그때 손으로 꽉! 잡아 내곤 했지요.
눈이 많이 온날 후레쉬들고 산에 올라가서 꿩도 많이 잡아봤고~
고기던 짐승이던 소음에는 무조건 도망을 갑니다.
허나 불빛에는 그대로 그자리에 있더군요.
결론은 불빛에는 도망을 가지 않는다 입니다.
추천 0

전주조사 10-04-15 01:02 IP : d90bc357251bd66
주변이 어두운곳이라면 불빛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자리를 피합니다 .
잠자고 있는 사람에 눈에 라이트를 비출때 바로 불끄라는 소릴합니다 ,
사람이 눈부신것과도 다를게 없는것이죠 .

주변에 매일 시끄러운 기차가 지나갑니다 .다른지역에 사람들은
그소리에 기찻길 주변에 사람들은 참 시끄러워서 잠을 못잘것이다 하지만

기찻길주변에 사람들은 기 소리에 적응하게되고 시끄럽게 들리지 않는것처럼
빛도마찬가지입니다 .평소 불빛이 켜져있는곳이나 자동차 라이트처럼

자주 빛이 비춰지는곳이면 물고기들도 적응하고 크게 반응하지 않는것이죠 .

넓은 수조에 붕어를 넣어놓고 붕어있는곳에 라이트를비춰보십시요 .
불빛을피해 다른 구석에 모입니다 .윗분에 글도 틀린건 아닌게 붕어도 눈뜨고 잠을청하기에
붕어를 깨울정도에 영향이 아니였다면 윗분과같은 상황이 있을수도 있는것이죠 .

해질무렵에 차문을 꽝하고닫으면 수면위 물고기들이 순간적으로 튀는모습을 볼수있습니다 .
손바닥을 마주쳐도 마찬가지에 모습을 볼수있습니다 .

수심이 얕을수록 그 소리를통한 진동에 반응을 한다는것이죠 .

모가수가 소리를 내서 와인잔을 깼던 내용도 티비를통해 방영된 적도 있습니다.

그 가수가 와인잔 바로앞에서 소릴냈을때와 10m떨어진곳에서 소릴 냈을때 같은 조건에서 와인잔이 깨지진 않겠죠?

소리는 즉 진동과 연결되며 그 진동은 거리와 비례합니다 .

수심이 깊을수록 그 진동이 깊은 물속까지 전달되기가 어려울것입니다 .

지금 말씀하신 그지역에 소음이 자주발생하는곳이라면

그 물고기들 오랜시간지남에 따라 그소리에 적응하게되고 크게 반응하지않을것입니다 .

그 소리에 학습이 되는것이죠 .
추천 0

305 10-04-15 08:51 IP : ba8777abd91f4e0
도움말씀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어이 없게도 저만 잘못알고 있었던것 같습니다.
이제부터 다시 정숙한 자세로 임해야 겠습니다.
복 많이(대물) 받으시고요~~
추천 0

robine 10-04-15 08:59 IP : e10ba5d6fdbbd15
예전 어느카페인지 낚시점인지.. 어쨌든 불빛에 대한 실험을 한적이 있습니다.
현재 제가 알기론 전혀 없을수야 없겠지만 일단 실험 결과만 볼때 불빛에는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수중캠에 라이트를 달아서 물속에 던져놓고, 붕어들을 찍었는데 중간중간 불을 켰다 껐다를 해도 놀라지 않고 그대로 먹이를 취하드라고요..
반면에,, 붕춤님 말씀대로 소리는 단지 소리가 날아가는게 아니고 공기든 물이든 어떤 물체이든 파장을 만들어서 전달이 됩니다. 즉 진동이 있다는 것이지요. 중간에 어떤 가로막이 있다면 그 가로막에 의해 파장이 끊겼다가 다시 약간 파장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소리가 작게 들리는 것이구요.
초저녁 물가에 새우들이 나와있는게 보이실겁니다. 테스트삼아 한번 해보세요.
첨엔 아주 살짝 발을 굴러보세요. 전혀 도망가지 않습니다. 그러다 조금 세게 굴러보면 몇마리 도망가고, 좀더 세게 구르면 전부다 도망갑니다. 똑같이 소리로 한번 해보세요. 물론 아무도 없는 곳에서요. 아주 작게 혼잣말을 해보고, 점점 더 크게 해보세요. 분명 영향이 있습니다.
단, 물가에서 거리가 먼 곳에서 진동이 발생한다면 중간에 매개체가 달라지기 때문에 가로막이 있는 것처럼 진동이 아주 작아집니다. 하지만, 일단 물에 진동이 전달되면 일반 공기에서의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한번 발생한 진동은 물 깊은 곳 또는 먼곳까지도 거의 전달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가에 잠시 강풍이 불어도 한번 생긴 물결은 반대쪽 물가 끝까지 가서 없어지는 것처럼요...
인간보다 촉감이나 기타 감각기관이 발달한 동물들은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아주 미약한 진동까지도 느끼지 않을까 하는게 제 생각입니다.
추천 0

이기자부대 10-04-15 18:32 IP : 15858f35fde79e0
저도 소음이라 생각됩니다.

빛은 자동차 헤드라이트가 비추고가는데도 찌를 쭈~~욱 올리는경우가 있더군요...
추천 0

아담붕어 10-04-17 08:05 IP : ae9d23ad170435a
진동의 영향이 제일 큼!에 힌표 던집니다.
추천 0

긍정의힘 10-04-17 16:09 IP : 01b4c0dc03ec317
소리에 영향이 큰걸로 알고있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