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합사줄을 원줄로 쓰지않는 이유가 뭘까요??

라마스테 IP : c4c35807a1b19c6 날짜 : 2021-09-07 14:37 조회 : 5456 본문+댓글추천 : 10

합사줄로 목줄은 많이 쓰는데 원줄로는 안 쓰잖아요?? 정확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합사줄이 물을 먹으면 무게가 달라져서 찌맞춤이 달라져서 일까요?? 이유를 아시는 고수님께 의견을 여쭙니다~~

추천 1

1등! S모그 21-09-07 15:01 IP : 0a54acf04549ce1
단점이 많아요 ^^.

1. 일단 엉키지 않고 쓰실 수 있는 자신이 있으신지? 한번 엉켰을 때 쉽게 풀 수 있는 자신이 있으신 지?
2. PE합사의 경우 물보다 가벼워서 채비 구사에 정확성을 상당히 많이 떨어뜨립니다.
기본적으로 물에 뜨는 줄이다보니 부유물 많은 곳에서는 힘들죠.
강제입수 시켜도 위로 떠오르려고 볼록하게 활처럼 휘면서 위로 부양하려는 부력 작용을 하는 건 똑같습니다.
케블러합사(아라미드합사)의 경우에는 근원 소재가 나일론 계열이라 물보다는 무거운 편이지만 굉장히 비싸죠.
3. 합사 특성상 쓸림에 매우 취약합니다.

더 있습니다만.
위 3가지만의 단점이라도 아무렇지도 않다면야 써도 되죠.

나일론줄 같은 원통형으로 된 단사(모노필라멘트) 합성섬유가 나오기 전까지는
대부분 면사나 명주 등과 같은 꼬아서 만든 합사로 낚시했을 겁니다.
호랭이 곰방대 물고 있던 시절이야기네요. ㅋ
추천 4

2등! 라마스테 21-09-07 15:22 IP : c4c35807a1b19c6
아~ 저는 합사줄이 물을 먹으면 찌를 누를 줄 알았는데 줄이 뜨는군요.~
추천 1

3등! 실전븅어낚시 21-09-07 16:19 IP : 55e8a97cc1d7ea0
스모그님 말씀대로 우리가 쓰는데 배부분에 합사는 물에 뜹니다.. 붕붕떠서 바람에 밀리고 이물질 걸리고 밀리면서 상승부력 발생시켜 찌도 뜰수 있구요,

반대로 바다에서는 많이 쓰는 편이지요 반대로 바다는 멀리 던지기에 가라앉으면 바닥에 걸립니다.. 또한 무게도 엄청나게 작용할것이구요
추천 1

워리리리 21-09-07 16:49 IP : b606b3ffb6413d0
제가 본 합사의 단점은 늘어나는 성질이 없다보니 원줄에서 탄성으로 낚시대에 주는 충격을 조금이라도 줄여 줘야되는데 고기의 힘이 그대로 전달되면서 잉어나 향어한테 낚시대 뿌러지는걸 봤습니다.
추천 1

무늬만낚시꾼 21-09-08 08:25 IP : e68ac266a11474b
아주 아주 어렸을 떄, 나무 막대기에 무명실에 철사로 만든 바늘로 월척을 잡은 아이들, 어르신이 많았답니다,

아! 아주 아주 어렸을 때, 집에 한없이 남아 도는 명주실로 낚시줄 삼아 낚시를 한 적이 있었는데, 단점, 장점 기억에 없었습니다,
이러저런 것을 따지지 못할 7~8살 시절이라,,.. =3=3=3
추천 1

우주끝대빵 21-09-08 09:41 IP : c986cb4fc289c2f
합사를 쓰시면 혹시나 원줄을 터뜨려야되는 상황이 왔을땐 낚시대 아작난다고 봐야되여....
밑걸림 왔을때 줄 끊는게 답인데 대낚시는 그마져도 쉽지않다는거.
채비손실을 막기위해 목줄을 원줄보다 약한걸 쓰듯이 낚시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합사를 기피해야합니다.
추천 1

우주끝대빵 21-09-08 09:42 IP : c986cb4fc289c2f
밑걸림 왔을때 줄을 끊는게 항시 답은 아니에요. 끊어야 되는 상황이 있다는 말씀을 제가 잘못적어서 정정합니다.
추천 0

그린피그 21-09-08 09:49 IP : 2f4e27de7d81cca
바람 불면 물에 떠서 이동해 버립니다. 찌도 같이..
추천 0

한점 21-09-08 11:08 IP : 52d01cb4691dc44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합사를 원줄로 쓰는 대표적인 낚시가 바다 원투와 선상 에깅낚시 인데요.

원투같은 경우 원줄을 최대한 가늘게 써야만 공기중 저항을 뚫고 내가 원하는 비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에깅의 경우도 원줄을 가늘게 써야만 수중 조류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여 다소 (문어나 무늬같은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만)작은 대상어의 입질 감도를 높일 수 있어서 입니다.

근데 모노라인을 가늘게 사용할 경우 붕어낚시의 수십배에 해당하는 봉돌 무게와 캐스팅시 발생하는 물리력에 의해 '딱' 소리와 함께 봉돌과 채비만 날라가겠죠.

원하는만큼 가늘게 쓰고도 버텨주는 모노라인이 있다면 원투에서 굳이 값비싼 합사를 쓸 이유가 없습니다.

붕어낚시에서 합사를 원줄로 쓰지 않는 이유는
캐스팅 비거리도 크지 않고, 무거운 봉돌을 쓰지 않으며, 조류를 이겨내는것이 붕어 낚시에서는 그렇게 필요하지 않아
홋수(단면적)대비 강도가 그렇게까지 강할 이유가 없어 합사의 최대 단점인 꼬임등의 트러블을 감수하면서까지 합사의 최대 강점을 살릴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비싸잖아요.
추천 0

키큰붕어 21-09-08 14:07 IP : ab09640338dbac2
내림낚시에 합사목줄 0.3호 30cm에 고기걸었는데 낚시대가 부러지더군요
추천 0

l月享l李大寬 21-09-09 17:30 IP : 3237618d14b8e9e
유료터 낚시에서 합사를 원줄로 쓰시면 손맛 죽입니다.

한번 해보시면 아실겁니다.

0.5호 이하로 사용해보세요.

그리고 노지에서는 합사를 쓸려면 최하 3호 이상되어야 합니다.

합사는 스크레치가 잘나서 쓰기 힘들구요. 캐스팅도 잘안됩니다.

합사 3호 쓰다 밑걸림 생기면 아시죠?? ㅎㅎㅎㅎ
추천 0

산수부린 21-09-11 07:18 IP : c5154fd4b75589e
합사줄...
1.합사줄을...
2.(원줄)로 사용 했을때...
3.(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으며...
4.사용 할때마다
5.다소 불편합니다.
6.(앞치기. 스윙)원할하지 않으며...
7.(물)을 안고 있어서 무게감도 있습니다.
추천 0

산들바람이 21-09-12 15:58 IP : 4bf84d1d5debfd7
찌맞춤도 영향을 주겠지만 낚시대 파손이 더 우려됩니다
추천 0

붕어의노림수 21-09-12 17:37 IP : 573881a0e4a62ce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어인魚人 21-09-14 10:24 IP : ff091591641a49d
좋은질문 좋은답글입니다^^"
추천 0

월척만잡아요 21-09-15 01:46 IP : 7f46572ab222a1d
좋은정보감사해요
추천 0

화조월석 21-10-08 22:40 IP : 18fed42f0a889d4
감사합니다
추천 0

Gm혁이 21-11-25 12:45 IP : 9563987c27b249a
채비손실을 막기위해서는 목줄을 원줄보다 약한걸 쓰는것이 낚시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합사는 쓰지 않는것이 좋을듯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