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중통채비 뭐가 잘못된건지 당췌 모르겠어요

핏빛작두 IP : f6c56ae95731dfa 날짜 : 2020-12-24 12:28 조회 : 7068 본문+댓글추천 : 4

겨울이라 가까운 곡교천엘갔는데 유속이있어 중통채비가 괜찮다하여 셋팅하고 가서해보니 이건 뭐 속이 터질거 같더라고요 뭐가 잘못된건지 선배님께 여쭤봅니다

우선 원줄은 모노1호에 목줄은모노0.8호로 셋팅했구요 찌는 걍 가벼운 바닥찌에 다리에 편납감아서 몸통만 잠기게했습니다 구멍봉돌도 대충 찌보다 무거운걸로 셋팅했구요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현장에가서 투척하다보니 찌가 안 올라오더라고요 그래서 찌아래 찌멈춤고무를 계속 올리다보니 이젠 투척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어쨋거나 돌려치기를해서 투척은 했는데 찌다리에 감은 편납때문인지 찌가 서질 않네요 던지고나서 뒤로 쭉뺐다가 놓으면 찌가 나오긴하는데 원래 이리하는게 맞는건가요?  참 답답합니다 낚시는하고싶고 선배님 속 시원한 답변 좀 주세요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건강 유의하고 즐낚하세요

추천 1

1등! S모그 20-12-24 12:51 IP : 0a54acf04549ce1
수중에 채비를 잡고 있는 추의 무게 대비해서, 찌의 부력이 너무 가벼우면 그렇게 됩니다.
(차라리 찌가 없이 초릿대 끝보기 낚시하는 게 나은.....)

혹자들은
"추는 무조건 무겁게 하고, 찌맞춤 신경 안써도 된다" 하는데.
나에게 맞는 소정의 메카니즘을 만드시려면
가지고 있는 찌의 부력에 추가무게
([1] 유속으로 인해 채비가 충분히 흐르지 않게 하는 무게 혹은 채비가 생각대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무게와
[2] 실제 수심 대비해서 너무 찌를 많이 올리지 않아도 되는 범위
와의 사이에서 적당한 밸런스 지점을 찾으셔야 합니다.)
[1]이 적으면 채비가 흐르게 되고, [2]가 너무 크면 말씀하신 상황처럼 실제 수심은 얼마 안되는데 찌는 초릿대 근처까지 올리게 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설명을 돕기 위한 그림인데 막 그려서 조잡합니다. ^^


추천 1

2등! 실전븅어낚시 20-12-24 13:37 IP : 55e8a97cc1d7ea0
낚시 어렵게 하셨네요..
답은 수심마춤을 잘못하신겁니다.
실제 수심이 거긴 얼마정도 나옵니까 ?
3미터 나온다고 칩시다.. 그럼 중통수심은 대충 거의 5미터에 육박합니다..

쉽게말해서 아랫봉돌이 무거우면 무거울 수록 사선이 많이 지기때문에 사선이 지죠.. 그러면 별거 없습니다.. 채비정열하는거는 별거 없습니다.원원하는 스타일로 하면 됩니다( 중통에서 찌는 유동 아닙니다 고정입니다// 이유는 몸통을 따서 다죽였기때문에 유동시 잘 못치고 올라옵니다 )
1,번 풀투척후 받침대 거치시 찌톱이 나올때까지 올린다
2. 번 풀투척 후 20~ 40센티 뒤에 낚시대 거치후 정위치 시킨다(내려가 있던 찌톱이 낚시대준마큼 올라옴 즉 풀 사선에서 조금덜 사선이제게하는 원리)
3번 풀척후 낚시 대 거치 후 채비정열되면 강제로 낚시대를 뒤로 당겼다 정위치해서 찌톱을 노출시킨다 2번과 동일한원리

3안가지 상대적으로 가장베스트는 1번입니다 동절기 미끼도 작고 가능하면 무르겠는데 채비 안착후 가능하면 채비는 안움직여주는게 좋겠지요 미기이탈 및 밑걸림등이 최소화 되겠지요
추천 0

3등! 실전븅어낚시 20-12-24 13:45 IP : 55e8a97cc1d7ea0
스윙하면 찌가 안일어선다...

추측건테 저부력찌를 쓰셧을것이고.. 편납을 감았으면 회수과정에 보시면 편납이 찌다리 끝에 가있지 않고 몸통으로 올라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느정도 부력이 있는 찌면 몸토밑에 있으나 찌다리 끝에 있으나 자립에는 문제가 없는데.. 저부력시에는 영향이 클 수도 있습니다

편남을 감고 찌다리 끝에 위치시킨후 손톱에 힘줘서 찌다리가 부러지지 않을 정도로 편납을 꺽어주면 앵간하면 안움직입니다 // 팁입니다
혹은 접착편납을 쓰시는 방법도 있구요
추천 1

실전븅어낚시 20-12-24 14:08 IP : 55e8a97cc1d7ea0
추가로 투척하기 어렵다고 하셨는데... 밑에 봉돌을 좀더 호수를 올려보세요.. 저부력쓰셧다고 하면 2호 깍는수준이나 1호정도 꺼구요
바란스상 4~ 5호 정도 쓰면 문안하게 잘날아갑니다..
추천 0

핏빛작두 20-12-24 14:08 IP : eb4c9df5c1316d6
오 역시 질문하길 잘한거 같네요 앓던이가 쑥빠진 느낌이에요 답변 감사합니다 다시 도전해봐야겠어요 답답하던 속이 이제야 시원해졌어요
추천 0

던전 20-12-24 20:51 IP : b49ab3702fd0e01
좋은 정보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부처핸섬 20-12-24 21:23 IP : 4a9125331f702d4
저부력찌에 편납감으셔서 그런거같네요
편납감아도 찌서도 사선 제대로 안질수도 있습니다
(고수심일경우 찌가 먼저서게 되므로
밑줄은 당겨오는경우도 생깁니다)
추천 0

응디혀기 20-12-25 08:35 IP : 725d5f07b3cd9d2
중통 채비의 특성상 유동의 무게를 많이 주기 때문에 사선이 집니다.
그러므로 찌를 생각보다 많이 올리셔야 합니다.
당겼다 놓으면 나오는 현상이 그것 입니다.
저부력이면 노지에서는 몸통 따기 굳이 안하셔도 됩니다.
유동 봉돌은 대략 찌부력의 3배정도 주고 합니다.
추천 1

♀️원봉돌 20-12-25 09:47 IP : b61d010bd17bc8a
중통 외통 채비는 사선이 잘되어야 합니다
중통 보다 외통이 좋습니다
원줄 나일론 0.8호 1호
목줄 0.8호 0.6호
바늘 작은거
목줄 길이 25cm 20cm 쌍바늘
찌는 저부력을 사용 합니다 1g 전후
핀도래 16호 18호
봉돌은 루어 에서 사용 하는 싱커 찌보다 2배 이상 무거운것
맨도래 강도가 강한 9호 10호
원줄
찌멈춤고무
찌고무
찌멈춤고무
핀도래
찌멈춤고무
맨도래
바늘
순서 입니다
핀도래에 봉돌 걸면 됩니다
이런 낚시는 풀캐스팅이 우선 입니다
팔 몸을 앞으로 뻗은후 풀캐스팅 하시고 찌가 서면 그냥 낚시대는 뒤꽂이에 놓으면 됩니다
아니면 돌려치기 하시면 되고요
당연히 찌보다 봉돌이 무거워서 찌가 서고 잠기고 기다리시면 찌는 올라옵니다
찌탑은 3마디 내어놓고 찌가 한마디 두마디 세마디 반마디 내려 가면 그냥 낚시대 든다는 식으로 챔질 하시면 됩니다
그래야지 목줄이 잘안터집니다
추천 0

마부위침 20-12-25 23:42 IP : f3c69b87e55f8f7
중토이나 외통이나 찌의 역할은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찌를 올리는 입질이 아니라 쪽 빨아가는 입질이기에 수면에 어떤식으로던 보이기만하면 되죠
고정이 아닌 유동찌를 사용해도 무관합니다

수심을 잡을때 유속의 반대쪽으로 초릿을 잡은 후 찌가 대각선으로 살짝 설 정도면 충분하지 싶네요

유속이 너무 강하면 차라리 끝보기가 좋을듯,
근데 중통 치고 원, 목줄이 좀 약한거 아닌가요
추천 0

핏빛작두 20-12-26 23:57 IP : d3db1f0b21b8dc9
정말 질문하길 잘 했어요 고수분께서 이렇게 하나하나 알려주시니 많은걸 배우게되네요 찌가 위쪽에 위치하니 던지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니던데 걍 돌려치기하니 기냥저냥 되네요^^::그리고 곡교천 너무 깊고 유속이 넘 심해서 힘드네요 바닥낚시만하다 예민할때 괜찮다해서 해보니 속터져 원줄터져 너무 어렵네요 그래도 궁금했던게 풀리니 낚시가 좀 더 재밌어지네요 감사합니다 좀 더 연습하고 경험 쌓다보면 나아지겠죠 날 추운데 건강 챙기면서 한 해 마무리 잘하세요
추천 0

풍경속 20-12-27 13:44 IP : 1ab9a00fb8b2ec0
좋은정보감사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