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대물낚시에서 찌의 길이는 얼마가 가장 좋을까요?

북삼 IP : 4b32f6ee1e3bc2f 날짜 : 2007-03-13 22:50 조회 : 4783 본문+댓글추천 : 0

찌 소재를 떠나서,

대물(큰붕어)낚시에 있어서, 찌의 몸통길이와 톱(톱이라는 영어말고 한글로 부를것이 없을까요? 상부말고,,) 그리고, 찌다리의 길이는 얼마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깊이있게 생각 하신 분들의 댓글 부탁 드립니다. 경험치이면 가장 좋겠죠??ㅎㅎㅎ



이 글을 찌공방으로 옮기지 말아주셔용ㅇㅇㅇㅇ.
추천 0

1등! greenmind1 07-03-13 23:52 IP : e0f98b8a4b8724b
정답이 없다고 봅니다. 수심이 깊은곳에서는 40cm 이상의 찌를 이용하여 긴 찌올림을 맛보는것도 좋고, 수심이 얕은곳에서는 20~25cm의 짧은 찌를 이용하여 붕어의 입질을 감지하는것이 하나의 방법이라 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찌다리+몸통 길이 : 찌톱 길이 비율을 48:52로 합니다.
50:50 이라고들 많이 이야기 하는데, 저는 저의 사부께서 48:52로 가르쳐주셨기에 그런줄 알고 48:52를 고집합니다 ^^

또한 제가 사용히는 찌는 25cm급은 21대 미만, 30.3cm 찌는 22대~36대까지 사용하고, 36대 이상은 35cm급을 끼워두었는데,
필요시에는 여분의 찌를 수시로 갈아끼웁니다.
추천 0

2등! 플라톤 07-03-14 00:19 IP : c3b4dcc0c0b7883
저는 34대까지는 30센티를 사용하구요...

그 이상은 50센티짜리를 사용합니다...

예전에는 모두 30센티를 사용했었는데요...웃지 못할...x팔려서...ㅋㅋ 경험이 있었거든요...

44대를 수심 1미터권에 넣어뒀는데요....

그날따라 우째그리 잠이 오는지...꾸벅꾸벅 졸다가 어렴풋이 찌가 움직이는 것을 느끼고 눈을 떳지요...

근데..찌불이 처음그대로 더라구요...

그래서 이제나 저제나 본신이 올까..다시 한번 밀어라고..마음속으로 외쳤지요...

그리고 약 10분후...흐미..

찌가 사선으로 벌떡 서더니만 서서히 내려가고 있지 뭡니까??....

즉, 졸다가 깰때 찌는 이미 끝까지 올라와서 버렁 뒤집혀서 물에 누워있었고...

그렇게 10분이나 기달려도 챔질이 없으니 다시 내려 가는 거였지요...

그리고

밤꼴딱 샛지요...자신을 원망하며....ㅋㅋ

그런 경험을 한후에 긴대는 가능한 50센티 찌를 사용하게 되었답니다...

조금 장찌를 사용하면 아무래도 찌올림의 시간이 길어지니...ㅎㅎ
추천 0

3등! 물먹은물고기 07-03-14 08:13 IP : 1899f4fa0eb9069
아무래도 대물낚시는 수초를끼고 하니 좀짧은찌가 좋을것같습니다(잘아시겠지만요)
예전엔40~60cm도 사용많이했고 지금은 될수있음 짧은찌를 많이사용합니다.
찌길이27cm고요 찌다리2cm 찌몸통11cm 찌톱14cm
가끔은 수심깊은곳에서는 긴찌를 지금도 사용하고있습니다.
일반떡밥찌50cm를 아주무겁게해서 사용하는데 입질시에 찌올림도 좋습니다.
추천 0

띵이 07-03-14 11:35 IP : abb0fbcbc773e84
직접 대물찌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결론은 없다라고 생각되며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용한다라고 생각됩니다.

참고로 저는 스기목 40cm 10개, 25cm 10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심이 다소 있는곳은 40cm를 사용하여 찌 맛을 보며
수초나 낮은 수심은 25cm를 사용합니다.
추천 0

조포 07-03-14 16:16 IP : 44271bc840c9273
저두 28~40CM까지 다양하게 사용하고 1.5~3.2까진 30CM내외 3.4~4.4까지는 40CM정도의 고부력 삼나무찌를 선호합니다..

요즘같은 산란기에는 종종 20CM정도의 짧은 찌를 사용합니다..
추천 0

북삼 07-03-14 21:50 IP : 4b32f6ee1e3bc2f
개인적으로,,

찌다리는 전체 찌 길이에서 최소로 합니다. 찌의 무게만 더해질 뿐입니다.

2년전에는 29Cm로 사용(몸통11cm, 찌다리 2,3Cm정도)하다가

작년에는 전부20Cm로 사용했었습니다. 모두 스기목 찌입니다.

예를들어,

붕어가 아주 '평온한 상태'에서 미끼를 먹었을때의 몸동작은 흔히 말하는 약 45도정도의 숙임으로 먹이를

물고 다시 수평상태가 되어서 삼키고 그 이후로 그 자리를 떠난다고 볼때,

대물이라면,, 45도정도로 먹이를 물고 몸이 수평이 되었을때의 높이가 봉돌과 바늘 사이의 목줄의 길이라고 본다면(가정입니다.)

붕어의 몸이 수평이 되어도 최소한 찌는 미동도 하지 거나 약간 흔들릴 뿐이겠죠.. 그 후로 붕어가 부상을 하여

자리를 떠나거나 하면 찌가 떠오르겠죠.

바로 그때, 찌의 톱이 솓으면서 찌오름을 보게 되는데, 찌톱이 어느정도 오르면 찌의 부력이 깨지지 시작하면서

붕어도 본능적으로 뭔가 이상함을 느껴서 먹이를 다시 뱉게 되겠죠..

그럼 다시 찌가 쑥 내려가는거죠..

그래서 결론은 낚시꾼이 찌올림을 충분히 감상하고, 붕어도 이물감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데 필요한 부력에

상응하는 찌 길이를 여려분의 경험치에 미루어 알고 싶습니다.

많은 의견 바랍니다.
추천 0

다롱이 07-03-15 10:38 IP : 766318f66a9f68a
저도 45센치짜리 요수진공찌를 무겁게 찌맞춤해서 새우를 끼우고 낚시해본적도 있는데

입질이 아주 좋았습니다 대물이 물어주면 어떤찌도 중후한 입질을 보여주고

잔챙이가 건들면 무겁게 맞춘 삼나무찌도 깔짝댑니다
추천 1

붕어n 07-03-15 21:34 IP : b0f607e8e1f32e0
찌는 수심에 맞게~~ 찌톱은? 우리말----->찌탑
추천 0

독일병정 07-03-17 02:00 IP : 3393488c2d5ffca
수심깊은 곳은 긴 찌, 수심얕은 곳은 짧은 찌 .........하지만 개인취향이니까 정답은 없심니더
추천 0

하늘소11 07-03-17 22:45 IP : aa98b4ec80b4d80
글쎄요 지나가다 몇자 적습니다.
대물낚시 잔챙이 낚시 구분이 있나요.
요즘추세가 이상해서 낚시대도 대물대/찌도 대물찌/바늘도 대물바늘.... 글쎄요
두자이상 잉어가 아닌이상 낚시대 부러질일 없습니다.
찌도 빽빽한 수초구멍이 아닌이상 요즘나온 짧은 대물찌란것이 과연 필요가 있을지.....
여유가 있으면 이것저것 장만해서 구비하면 좋겠으나, 그냥 있는것으로 즐기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추천 1

낙사모 07-03-18 10:00 IP : 9e0b834f80f2805
예전에 찌를 구입하여 사용하도보면
대부분이 25~36cm 길이의 찌를 많이 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소 깊은곳에서는 사용할 긴 찌가 없을까하여......직접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제 경우에는
수심 깊은곳.............................긴찌(40~45cm)
수심 얕은곳, 수초가 많은곳....... 단찌(20~25cm)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낚시는 지극히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니.....님의 취향에 맞게 하심이.......^^

글구, 찌다리, 찌몸통, 찌머리(......##%^#%@#@%$ 머리야?????).......생각해봐도 좋은 단어가 떠오르지 않네요....^^;;

즐낚하십시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