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답답한~~마음

상무술 IP : ac1cff82547f375 날짜 : 2006-11-24 14:50 조회 : 2616 본문+댓글추천 : 0

회원님 모두가 좋아하는 물색 죽이고(우유빛에 가까움) 수장수초 많고
날씨는 무지 춥고 지렁이왜는 입질이 없고 무지 답답하네~~
수심 1~1.3M 이고 지렁이 3치~7치 마리수 손맛 찌움직임 활발하고
마리수조과는 끝내주는데 님들이 말하는 월 또는 덩어리는 구경이 어렵네요!
특히 일몰후 대물을 노리고 새우,콩에는 입질이 없으니 답답~~
여러 선,후배 조사님 덩어리 만날 확률이 있을까요?
답답 합니다.
추천 0

1등! 달사랑 06-11-24 15:16 IP : 792f4594687d6d6
일단 잔 씨알급의 개체수가 많은 곳으로 보여지는군요.
물색이라든지 침수수초등등 여러가지 좋은조건이 갖추어진 저수지로보여지는데요.
지금시기엔 일몰후 초저녁 대물입질받기는 좀 힘들수가있으니깐
좀더 시간을 가지고 낚시해보는 방법이 좋을것같습니다.
저도 대물낚시를 하고있지만 요즘시기처럼 힘든시기는없는것같습니다.
추위나 여러가지여건도 힘들지만
길어진 밤낚시시간만큼이나 오직한마리를 기다리며 입질없는 밤을 지새우기가 여간 고통스러운일이 아니더군요.
적절한 휴식과 체력안배를 하셔서 대물급상면하시기바랍니다.
추천 0

2등! 노랑붕어 06-11-24 15:20 IP : ce7485a515f444f
뭐라 말씀을 꺼내야할지 난감하군요.
환절기의 조과는 아무도 장담을 하기 힘듭니다.
시간대별 공략을 해보시고..초저녁, 한밤, 새벽...
그중에 대물의 움직임이 포착될수도 있습니다.

저수지에 따라 밤이 되면 입질이 끊어지는곳도 있구요..
봄, 가을에만 대물의 입질이 살아나는곳도 있습니다.

그 저수지에 대한 정보를 활용해 보시고..다른곳도 파 보심이 좋을듯합니다.

별 도움이 안되는 말만 했군요^^

손맛 보시길 빕니다.
추천 0

3등! 와호장룡 06-11-24 16:31 IP : 6ea12cb663908a3
안녕 하세요 상무술님

요즘같은 시기는 기온이 떨어져 낚시하는 여건도 별로 좋지않고 또한 각 저수지도 기온의 하락으로

수온도 떨어져 있는데다 적은 강수량으로 인해 수위마저 안정적인 상태가 아닌곳이 많은 실정이며

출조해서 빈작을 면치 못하는 경우가 특히 빈번한 지금같은 시기에는 기상상태가 낚시에 끼치는 영향이 더욱커서

이삼일전에 기상상황을 무시한채 출조하다보면 좋은 그림을 그릴수없게 되는 경우가 있지요

보통 출조시 당일날씨만 그런대로 화창하고 좋다면 출조를 강행하게 되는데 적어도 이삼일전 날씨상황을

숙지해서 간다면 출조지에서 포인트 결정시 많은 도움이 됩니다

초 겨울에 접어든 이 시기엔 초저녁 까지 잠잠했던 바람이 느닷없이 야간에 바람이 불어오는 경우가 있읍니다

이럴때 부는 동풍이나 북동풍은 외부기온도 떨어트리지만 수온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주기때문에 밤새

입질이 없거나 또는 떨어진 수온으로인해 깊은 곳으로 들어온 큰놈들에게 쫒긴 잔챙이들이 물가로 나오거나

하면서 잔챙이 입질이 올수도 있지요

저는 얼음시즌 오기전까지는 주로 도심에서 가까운 평지형태의 연밭저수지를 대상으로 출조를 합니다

먼저 침범지는 소개를 해드렸고 영대 삼천지와 진량연지를 자주가고 있지요

왜 연밭 저수지를 이 시기에 출조지로 정하는 첫번째 이유는 대물확률(지금시기)이 일반 소류지에 비해 일단 월등하게

좋았고, 분석적으로 접근하면 아무래도 도심에 가까이 있으니 영향(도심열기)이 있고 일반 소류지는 수초군이

상류쪽이나 제방쪽으로 듬성듬성하게 있지만 제가 선호하는 저수지는 거의 전수면을 연으로 덮고 있으므로 수온의

영향이 아무래도 일반 소류지보다는 약간이나마 덜받는다는 판단이며 실제로 봄 물낚시 시즌도 수로와 연밭 저수지가

제일 먼저 시작되고 또 늦게 까지 할수있는 장소로 알고 있어서 연밭저수지로 출조를 합니다

하여 상무술님의 판단문제 이지만 참고 하시기 바라며 끝으로 누구에게나 대물은 올수있으니 시랑님이 늘

하시는 말씀처럼 상무술님의 항상 여유로운 낚시가 되시길 바랍니다





ps:세미골지를 개인 적으로 좋아했던 저수지인데 준설로인해 물을 다 뺏다는 소릴 들었는데 안타깝읍니다~~~
추천 2

연어 06-11-24 16:42 IP : 6280384a0e5aebe
이시기에는 한번의 입질을 노려볼때인것
같읍니다
저또한 잦은 출조에도 아직 찌맛도 못보고
다니고 있읍니다
좋은 방법이 따로없을것 같읍니다 그저 인내와
기다리는 여유의 마음이 최고인것 같읍니다

덩어리들이 아직 먹이 활동을 하는 만큼
기다림의 기쁨도 상무술님께 전해질것 같읍니다

님의 여유있는 낚시에 좋은밤 많이 낚으십시요 .
추천 0

플라톤 06-11-24 18:55 IP : 76b207e9d208d47
고생많이 하셨군요...

저의 생각에는 한 저수지에 최소한 30여회는 출조하여야 답을 얻을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님께서 내년한해동안 점찍어 두시고 꾸준하게 (최소 2주에 한번씩은)출조하셔야지 그"저수지를 안다"라고 말할수있을꺼 같구요.

그전에는 성급한 답을 내리기 어렵다고 봅니다.

물마름이 4~5년간 없었다면 분명히 대물이 웅크리고 있겠지요...

너무 급하게 '이저수지는 잔챙이 밖에 없다'라고 결론 내리시지 마시고 한 저수지에 꾸준한 출조가 좋은 조과와 비례한다는 것이

저의 부족한 결론입니다...

추운날씨에 건강유의 하십시오...
추천 0

잘해야한수 06-11-24 19:43 IP : 1bd8810f4ca09ae
플라톤님 말이 옳습니다요...
추천 0

시랑 06-11-24 20:59 IP : 4c0367d69a33920
안녕하세요 상무술님!

답답 하시겠어요. 있을것 같은데 없으니......

저의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참고가 되었으면 하네요.

저도 물색 좋고 침수수초 많은 곳을 알고 있는데요. 침수수초가 저수지 전체에 고루고루 있습니다.

말풀이 전수지 전체에 퍼져 있다는 말입니다.

작년과 올해에 계속 쪼우고 있는데 새물찬스 이외에는 조과가 신통치 않습니다.

전체의 수심이 비슷하고(평평하고) 일부에 뗏장수초가 있으나 별 의미가 없습디다.

그래서 저 나름대로 판단은 전체적으로 말풀이 있으니 고기가 밖으로 나올 필요가 별로 없는 것 아닌가?

덩어리를 한 것도 말풀이 없을 때 였습니다.

아마도 말풀이 많으니 고기들의 회유가 많이 어려워 져서 입질이 없는 것은 아니가 생각하고 있습니다.(저의 억지 추축입니다)

님의 경우도 이와 비슷한 상황은 아닌지요?

우리의 판단이 항상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이라 짜맞추기가 되지 않나 싶습니다.

처녀가 애를 나도 할 말이 있다는데 이런 짜맞추기야 누군들 못하겠습니까?

그래도 열심히 쪼우다보면 좋은날이 오겠지요.

와호장룡님이 도용하신 님의 여유로운 낚시를 기원합니다.
추천 0

상무술 06-11-27 15:36 IP : ac1cff82547f375
감사 합니다.
여러 조사님들 좋은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하지만 여전히 답답합니다.
붕씨가 올때까지 지다리는 수박에~~~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