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활성도.....................?

차군 IP : 28b645b568ee80f 날짜 : 2006-11-27 18:16 조회 : 3603 본문+댓글추천 : 0

11월25일 토요일 낚시를 같다와는데 궁금한점이 잇어서 문의 합니다
오후 1시경 저수지에 도착해서 순찰한바귀 돌고 자리 정하여 대를 펴는데 고기들이 많이 뛰드라고요 속으로 고기활성도가 좋구나 생각했죠 (속으로 혼자 대박나겠구나 생각햇죠)
결론은 밤새 고기들이 물위로 많이 뛰드라고요 물에 손을 담그니 물도 차가워구요
지금시기에 물고기들이 뛰는 경우는 어떤경우 인지 알고 싶어요
알켜주세요
조황은 밤새 저수지 누가 훔쳐갈가봐 보초서다 와읍니다(꽝)
추천 0

1등! 와호장룡 06-11-27 19:00 IP : b8a699778f36cb8
안녕 하세요 차군님

11월 25일 토요일의 날씨 상황은 남서풍이 불었고 구름이 지상으로 낮게 깔리어 있는 하늘에 모습 이었으며

비가 오기직전 즉 저기압의 상태인 걸로 판단되는 그날(토요일)의 기상상태 였다고 생각 합니다

따라서 저기압일때 고기들은 바닥층보다는 수면이나 중층으로 올라있고 또, 이러한 수압에 영향으로 보다 안정된

유영층으로 이동해 있거나 수면위로 점프를 해댄다고 알고있읍니다

또 다른 한가지는 자기몸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떨어트리려고 수면위로 튀어오르는 일도 있다고 하나 지난

11.25일 토요일의 날씨 상황으로 보아선 아마도 기상상태와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 됩니다

11.25일 저는 영천권(출조는 안햇음)에 있었는데 다른 날에 비해 외부기온은 그리 낮지 않았으며 수온 체크는

안해봐서 모르지만 아뭏든 그날상황은 제 생각에도 입질빈도는 적었으리라 짐작은 해보았읍니다.

유용한 질문 주심에 감사하며 항상 즐낚하세요~~
추천 1

2등! 달사랑 06-11-27 21:14 IP : 792f4594687d6d6
위에 유토피아님이 좋은 말씀하셨는데요.
제가 생각하는 관점에서 몇자 적을까 합니다.
뛰는 고기라는것도 우선 뛰는 종류의 고기 예를들어 붕어인지,잉어가 서식하는 곳에선 잉어일수도있습니다.
한가지 덧 붙이자면 잔 고기가 뛸경우도있고 큰 씨알급의 고기가 뛰는 경우도있습니다.
잔 씨알급의 뛰는경우는 우리가 흔히 목격하는데
해질녁이라든지 동이트오는 시점에서 잔씨알급의 뛰는경우를 흔히 목격하구요.
이건 흔히 겪는 현상이니 별로 신경 안 쓰는 편입니다.
하지만 대물급 씨알의 뛰는 현상에 대해선 저도 가끔 목격했으며 그런 광경을 볼때면 낚시의 기대감에 흥분이 고조됨을 느꼈습니다.
하지만 이런현상은 기대일뿐이고 직접적인 낚시에는 좋은조과로 이어지지 않거나 오히려 기대치 이하가 많았습니다.
제가아는 토종붕어의 먹이 습성은 반드시 바닥권에서만 먹이활동을 한다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뛰는 고기의 뛰는 이유야 어찌됐건 그건 고기마음이겠죠.
하지만 대물낚시를 하다보면 실제적으로 뛰어서 회유해서잡히는 고기보단
은밀히 언제 왔는지도 모르게 입질해서 대물잡는날이 더 많더군요.
그러므로 개인적으론 대물급이 뛰면 기대치는 높아지지만 실제로 좋은조과로 보장되진않았던것같습니다.
뛰는이유는 와호장룡님께서도 언급하셨지만
기생충또는저기압 ....등등 여러가지가 있을수있겠지만
날씨 화창하고 고기압일때도 뛰는경우를 많이 목격하였기에 뭐라고 단정짓기는 어려울것같습니다.
제가 추측하건데 뛰는시기는
봄 산란철 대물급들이 상류로 많이 올라 붙을때 흔히 목격하고
계절에 관계없이 밤낚시하다보면 해질무렵 또는 동틀무렵에 수면위로 뛰어오르는걸 자주 접하게됩니다.
이건 아마 상대수온으로인한 붕어의 활성도의 기인한현상이 아닌가합니다.
활성도가 꼭 먹이 활동만하는것이아니라 여러가지현상에서오는것이 아닌가하고 추측합니다.
추천 0

3등! 연어 06-11-28 02:02 IP : 6280384a0e5aebe
밤새 저수지 지키시느라 고생많았읍니다

고수님들의 답변에 쬐끔 보충만 넣어봅니다
포식자에의해 자신의 위협을 느꼈을때도
물위를 솟구칠수도 있겠고

또한 붕어들의기분이 아주좋을때나 (활성도가좋을때)
저기압일때 붕어들이 뛰어오르는 경우가 있읍니다
이런때에는 저기압에의해서 산소가부족해서가 아니라
반대로 산소와 수온이 아주 쾌적하고 수면층에 생성된
풍부하고 신선한 산소를 마시기위함이라 볼수있겠지요

위에 고수님들께서 지적하신대로 일종에 자신몸에 붙어있는
기생충을 털어내기위해 물위를 솟구쳐 충격을 가하기도합니다

뛰는 고기는 잡히질않는다고 하던데
저 또한 고기들이 뛰어노는날에는 아직
손맛을 본기억이 없는것 같읍니다 .
추천 0

와호장룡 06-11-28 09:42 IP : b8a699778f36cb8
위에 차군님이 질문하신 11.25일날 낚시상황(고기가 수면위로 뛰는현상)에 대해서 원인을 예상하여

지난토요일 날씨상황(서풍에 저기압과 비오기하루전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라고 답을 한것은 그간

많은 분들의 현장경험들과 사례를 보면 그날(지난 토요일) 날씨상황으로 미루어 볼때 기압골과의 영향이

깊다고 여겨 답을 했던것입니다

기상상태 즉, 용존산소량(물에 녹아있는 산소의양)이 필요 이하로 적어지는 경우 물고기는 숨을 쉬기위해

수면으로 올라오고 , 특히 무더운날은 수온이 높아져서 물속에 산소가 많이 녹아있지 못하고

외부로 빠져 나와버립니다 기체분자들이 열을 너무많이 받아 그 힘이 넘쳐서 밖으로 날아가 버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날(11.25일)처럼 날이 흐려져 있는 경우는 보통 저기압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고 날씨예보를

떠올려 보시면 "중국에서 대륙성 저기압이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내일은 전국에 비가 내리겠읍니다...뭐"

이런 멘트를 들었던 기억이 있을 겁니다 여하튼 저기압이란 말그대로 기압이 낮다는 얘기이며

수면을 누르는 공기의 힘(기압) 이 낮아지면 역시나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들이 밖으로 나가기 때문에 저기압

일때도 그영향이 크다는 얘기 입니다

결국 날씨가 저기압이거나 더워지면 용존산소량이 줄어들어 물고기들이 호흡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수면이나

수면위로 뛰는 현상들이 나온다는 분석이 많이 나오는 것으로 여겨 집니다

낚시방법은 정말 풀어도 풀어도 잘풀리지 않는 수학공식과도 같아서 갈수록 어려워집니다~~~
추천 1

차군 06-11-28 10:32 IP : 28b645b568ee80f
와호장룡,연어.달사랑.많은 관심 가져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여러 고수님들에게 또하나 배워 감니다
월척사이트에 와서 맨날 가져만가고 주지는 못하는듯 하내요
언제 현장(저수지)에서 만나면 지가 소주 한잔 권하겟읍니다^^
근데 누구인지 어케 찾죠???
파라솔 뒤에 이름 적어서 꼽아 두세요 아마 저가 아니라도 소주 한병식 들고 찿아 오시는 분들 만을듯 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