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대물낚시에서 감성돔 바늘을 선호하는 이유는요?

보기 IP : 8a946c69759b852 날짜 : 2006-12-01 04:32 조회 : 8013 본문+댓글추천 : 0

저는 대물낚시는 하지 않지만 궁금한 점이 있어서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며칠 전 바늘을 사러 낚시점에 갔다가 감성돔 바늘 비닐 포장지를 보니 강도가 붕어바늘보다 약한 걸로 표기되어 있는데(감성돔바늘 : 4H, 붕어바늘은 7H 정도? maker는 daichi 입니다.) 강도를 표기하는 "H"표기는 바늘의 종류를 불문하고 절대적 기준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감성돔바늘이 붕어바늘에 비해 강도가 약하다는 것이 되는데, 대물낚시를 하시는 조사님들께서 감성돔 바늘을 많이들 애용하시는 이유는 무었인지요. 또 붕어바늘에 비해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요?

답변 바라면서,

월척 조사님들 항상 즐낚하시고 건강하세요.
추천 0

1등! 낚귀 06-12-01 09:51 IP : d9523e2dba4f778
정확한 이유는 저두 잘 모르겠습니다.

대략 일반적인 바늘의 특징과 관련하여...걍 끄적여 보면...제 허접한 댓글 보고 고수님들이 와르르

달라들지 않을까 싶으네요.


http://blog.dreamwiz.com/usr/b/y/byheart/1/byheart_20061201093640_5632282_1.jpg>

보통 바늘의 명칭이 이러합니다. 그중에 가장 입걸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부분이 품과 턱의 길이와 각도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논리로는 품의 길이가 길수록 입걸림에 유리하고..

턱과 허리의 길이가 거의 유사할 수록 입걸림이 수월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흡입이 용이해지니까요.

그리고 턱의 각도가 허리쪽이 아닌 바깥쪽으로 휘어야 입걸림이 용이하다고 합니다.

허나 빠른 반응은 오히려 턱의 각도가 안쪽으로 휘어 잇는 것이 반응이 빠르다곤 합니다.

보통은 망상어바늘이 이러한 이유를 종합하여 붕어바늘이라는 명칭으로 많이 애용되는 걸로 압니다.

여기까지는 제가 아는 기본 지식이구요.

님께서 질문하신 강도와 관련한 것인데..처음에 감성돔 바늘을 사용하게 된것은

아무래도 민물의 바늘보다 강도도 높을 것이고...입걸림이 되는 바늘의 예리함도 헐씬 좋지 않을까 하는

추측에 사용하게 되었고 그것이 굳어져 지금은 거의 이걸 사용합니다.

허나 사용하다 보니..나름데로 장점도 생기더군요.

저두 몇몇 채비는 요즈음 나오는 대물낚시용 전용바늘이라 하여 바늘의 재질이 무척이나 두껍고...

굵은 바늘이 셋팅되어 있습니다. 위에 모든 조건이 제가 생각하는 부분과 맞아 들어가는 건 사실입니다.

허나 굵기가 너무 굵어 새우나 참붕어를 오래 살려서 사용하는 데는 아무래도 불리합니다.

또한 바늘 허리 부분이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감성돔 바늘을 사용할 경우보다 큰 바늘을 사용하여야..

새우나 참붕어를 끼고 난 나머지 부분이 돌출하게 됩니다.

감성돔 바늘은 허리가 길기 때문에 3호나 4호정도면 왠만한 새우 끼우고도 돌출이 자연스럽게 되더군요.

또한 바늘의 굵기가 굵은 것이 바늘이 뻣는 경우를 더러 줄 수는 있지만..상대적으로 채비의 손상을 가져오는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낚시란 것이 고기만 걸 수 잇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때에 따라 바닥의 억센 장애물(수몰나무, 석축등)에 걸렸을 때 어느정도의 힘을 가하면 바늘이 부러지는 게

채비 손상을 막아줍니다. 제가 목줄을 상대적으로 원줄보다 한 호수 정도 낮게 쓰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그리고 아직까진 고기를 걸어서 바늘이 뻣은 적인 없습니다. 그러니...다른 분은 모르겠으나..

아직까지 제게는 대물 전용 바늘의 굵기는 거부감이 큰 것이 사실입니다.

여튼 이론 상으로 보면 감성돔 바늘은 턱의 각도가 망상어 붕어 바늘보다 작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후킹에 도움이 되나

확실한 입걸림은 망상어 바늘보다 떨어진다 되어 있습니다.

허나 감성돔 바늘을 지금껏 사용하는 데...그리 큰 문제는 없었고 앞으로도..전 감성돔 바늘을 계속 사용할 예정입니다.

다 쓰고 보니 허접 자체네요..

다른 분 빨리 패쑤 받으세용.
추천 5

2등! 차군 06-12-01 11:08 IP : 28b645b568ee80f
보기님 안녕하세요
허접하지만 지가 아는 지식만 애기하겠읍니다(참조만..)
바늘에있는 H는 바늘 강도를 표시한겁니다 바다낚시는 주로 3H 정도 많이 사용합니다 혹 5H강도를 사용하면 더 좋지 안느냐 하는분들도 았으신데 예를들어 같은크기의 바늘에서 큰 고기를 걸어을대 (바늘이 작은경우) 강한바늘은 바로 불어질수 잇지만 강도가 조금 약한 바늘은 휘어지면 바로 불어지지안읍니다 (조금 휘어져도 낚시대의 휨세에 의하여 고기를 잡을수 있는 확율이 높죠)
그리고 바늘의 모양은 고기의먹이 섭성이나 입모양에 의해서 바늘 모양이 만들어 지는거죠
*벵어돔바늘은 휘지안고 목이 짭고,감시는 잘걸리라고 휘어져 잇고.......
저도 요즘같이 추운겨울이나 초봄에는 벵어돔 바늘8호 정도 사용합니다(굵은거) 나머지는 감성돔 바늘을 사용햇는데 내년에는 돌돔바늘을 사용해 볼려고 이번에 몆봉지 샀읍니다
아직 사용하지는 안아지만 바늘이 큼직한게 밑음이 가더라구요 ㅋㅋㅋ
낚귀님 다른님들의 질문에 항상 성의를 다해서 답하시는 낚귀님 그리고 와호장룡. 그리고 아이디가 갑자기 생각이 안나내 ㅠㅠ 여러모로 감사하다고 전하고 싶음니다 날씨도 추우신대 감기 조심하시고 가정에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람니다
추천 0

3등! 낚귀 06-12-01 15:05 IP : d9523e2dba4f778
차군님이 좋은 글 달아주셨네요...바늘의 강도에 대한 말씀에 저두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

차군님도 항상 행복 가득..어복 가득...하시구요..항상 안출..아시죠?

낚귀는 지금 강림하는 지름신 잡느라...정신이 한개두 읍답니다. 덜아 버릴 지경 ㅠ.ㅠ
추천 0

붕어단속중 06-12-01 23:29 IP : 3643a8d9c34f468
바늘의 종류는 수없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많은 바늘의 특징과 사용하는 용도를 일일히 열거하기는 힘들고.
간단히 제가 왜 지누(감성돔)바늘을 쓰는지만 적어보겠습니다.
지극히 저의 기준과 경험에서 나온 글입니다.
이두(잉어,향어),다나고(붕어)바늘은 끝이 일직선으로 뻗어있고 지누(감성돔)바늘은 바늘끝이 안으로 휘어져 있는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위의 바늘들의 장단점을 설명하자면
이두,다나고바늘은 챔질시 후킹이 잘되고 흔히하는 말로 총알을 차고 나갔을때 대부분 붕어가 걸려 있을정도로 걸림이 잘됩니다.
하지만 단점으로 지적하자면 대물을 걸어 파이팅도중 빠르게 제압하지 못하면 바늘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늘의 끝이 일직선이라 붕어의 주둥이 부분에 걸려 힘겨루기도중에 걸린부위가 찌어져 헐거워졌을때)
지누(감성돔)바늘의 장단점은 위의 바늘과 반대라고 보면 됩니다.
침질타이핑을 잘 못잡으면 챔질이 위 바늘보다 덜 되고 총알을 차고 나가더라도 저절로 걸려있는경우가 드문니다.
하지만 제대로 챔질만 한다면 대물을 걸어을때 터뜨릴 확율은 많이 줄어듭니다.
이유는 바늘끝이 안으로 휘어져있어 바늘털이에도 바늘이 잘 벗겨지질않습니다.
이세형(돌돔)바늘역시 지누(감성돔)과 비슷합니다.
이상 저의 경험에서 나온 허접한 댓글이었습니다.
바늘의 특성을 잘 알고 사용하신다면 강도는 별 문제될것이 없다고 봅니다.
추천 0

시루나박 06-12-02 09:08 IP : 55052367856a501
붕어단속중님의 말씀이 정답입니다. 요사이는 이세형 바늘을 선호하는 대물꾼이 많은것 같아요.
바늘의 굴기가 조금 더 굵어서 부러지거나 뻣는 경우가 드문것 같네요. 498하시고 즐낚하세요.
추천 0

보기 06-12-02 22:51 IP : 8a946c69759b852
여러분들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을 얻었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즐낚하세요.
추천 0

물찬o제비 10-11-04 00:37 IP : 1a060cf37c9bb36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