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저수지 구분법?..

탈퇴한회원 IP : d1b8b9632da2d12 날짜 : 2005-03-29 23:30 조회 : 4771 본문+댓글추천 : 0

보통 소류지를 평지형, 늪지형,계곡지?, 등등-_-;; 부르고 계시는데...
아직 정확히 어떤 저수지를 그렇게 부르는지 궁금합니다.-_-
궁금한게 의성 안평에 쌍둥이 소류지가 있습니다.  봉양 방향에서 안평으로 진입하면
도옥지나서 안평면소재지 가기전에 원도옥이라는 마을 조금지나다 보면 우측에 저수지 제방이 보이는데 작년 늦여름 부터 찍어논 저수지인데 작년에 나이좀든 선배가 42cm 건졌다고 합니다. 진짜인지 가짜인지 ... 그래서 낚시책에도 나왔었다고 ..
하는데  이저수지가 어떤형태인지 아직 물색이나 그런건 파악안된 상태인데 .. 
시간만 나면 한번 나가보려는데  ..  혹시 의성권에 조황이나 이저수지에 대해 아시는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세요...
추천 0

1등! 탈퇴한회원 05-03-30 00:58 IP : 60ddd5f9dd00543
안녕하세요.와~붕애다님

닉네임이 우선 넘 재미있으십니다.붕알님.붕날라차뿌까님처럼요 ^ ^

네,맞습니다.소류지를 따로 구분지어 평지형/늪지형/계곡지 등등
부르는것만은 아니구요

중대형 이상의 저수지부터 작은 소류지까지
주변 계곡의 형태나 바닥 지형 등에 따라서
늪지형/평지형/준계곡형/계곡형 등등 구분지어 부른답니다..

제가 이쁜 그림으로 보여드리며 아는대로 설명하여드리겠습니다

늪지형
http://kr.img.blog.yahoo.com/ybi/1/50/1a/changys03/folder/1768838/img_1768838_64_0?ext=.jpg"height=350>
넘나 한적한것이 아름답지요..

늪지형태를 띄고있는 대한민국 대표적인 늪지입니다
보전을위해 낚신 금지시하고있는걸루알고있구요
우리모두가 아껴야겠지요..

간단한 자료에의하면 이렇습니다

우포늪이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야기가 있다.
첫 번째는 지금으로부터 약 1억 4천만년 전에 만들어 졌다고
추측하는 것이 있는데, 그 이유는 우포늪 주변을 이루고 있는
퇴적암을 조사해보니 약 1억 1천∼2천만년 전에 살았던 공룡의
발자국 화석과 빗방울 무늬 화석, 곤충 화석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포늪이 '태고의 신비'를 간직하고
있다고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두 번째는 지금으로부터 약 6,000 년 전인 B.C. 4천년 경에
우포늪이 만들어 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기원전 4천년 경
지구의 기온이 따뜻해지면서, 육지에 얼어있던 빙하가
녹아 내리기 시작했다.
빙하가 녹은 물은 강을 거쳐 바다로 흘러 들어가서 지금의
한반도 육지와 해안선이 구분 지어졌다. 바로 이 시기에
우포늪이 낙동강과 더불어 만들어졌다고 한다.

글 출처: 창녕환경연합

이 처럼 늪지형태를 띄고있는곳은 제가 알기로 낙동강계에 주로 있구요
겨울이나 초봄 입질도 잦답니다..

평지형
http://kr.fi1.club.yahoo.com/yci/32/a7/4fish/GALLERY/2/9160811f1021ef7f4520df79d182b198?ext=.jpg"height=350>
이처럼 저수지의 수심차에의한 상/중/하류 구분이 굳이 따로없거나
미미한 형태이고,산과 산을 뚝으로 막아 생긴 못이 아니라
말그대로 어느정도 평평한 바닥에 물길을가두어 저수지로쓴답니다

이런곳은 주변에 밭이나 벼농사지역이 잦구요
물을 한번 빼기 시작하는 농번기때엔,바닥권이 보일랑말랑할정도로
수심이 낮게 유지되는곳이 잦아요..

평지형저수지도 대물붕어낚시에 좋은곳이 되며
대부분 일조량이 잘 받아지기에 수초대의 발달이 잘 되었고
낮은 수심관계로 장거리 수초대 장대가 잘 먹힐때가 많다 생각합니다..

준계곡형
http://sys4u.biz/bbs1/history/011001/soru_01.JPG"height=350>
준계곡형저수지는 평지형과 계곡형 저수지의 중간형태라 보심되요

준계곡지의 특징은 경북권엔 경산 성 군위권이 많은편으로 알고있구요
과수농사를 하기위해 나지막한 산과 산을 막아논 못이 잦구요..
준계곡지 아니더래도 경국권엔 못이 많지만요..^ ^

주로,상류권은 하류권에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심을 유지하고있고
상류쪽 수초대발달이 잘 되었고,하류권은 연안 수초대정도만
잘 발달된곳이많죠..

준계곡지가 제가 생각할때는,대물붕어낚시에 있어서는 대물붕어 노리고 출조시
시기/수온 등을 잘 고려해 상/중/하류 수심차와 수초대형성이 좀 틀리니
잘 선택하여 앉으면 좋은 조과를 보이기도하고

세분이 출조하였다 가정할때,상/중/하류권 좋은 자리에 각각 앉아 낚시할시
시간대에따른 입질이 뚜력히 구분되기도한답니다..
수온이나 수심에따른 등 붕어의 회유를 보여주는 증거라생각해요..

계곡형
http://kr.fi1.club.yahoo.com/yci/32/a7/4fish/GALLERY/1/a30aa24b5898c9eddadeb6dbb1ddde18?ext=.jpg"height=350>
계곡형 저수지는 높은 산간이 잘 발달된 지역에서 주로 많이 볼 수 있는
저수지 중 한 곳이에요..

높은 산과 산의 골을막아 형성되었기에,주로 바닥은 마사나 돌등으로
이뤄진곳이 많은듯합니다..

특징이라면,상/중/하류 가장 연안을 제외하곤 대부분 수심이 급경사를 유지하고
그렇다보니,대물붕어낚시에 있어서 계곡형지의 골자리를찾아
한적하게 낚시하다봄 초대형 붕어나 잉어가 가끔씩 걸려나오곤한답니다..

새우가 많은곳이잦아,수초와 플랑크톤이 평지나 준계곡지에비해 없는듯해도
새우를 먹이로한 붕어는 체구가좋고 힘이쌔며 깨끗한 비늘을 자랑한답니다..

갈수기때 좋은시점을틈타 무넘기 주위에앉아 새우낚실하면,대형어인
대물붕어나 잉어나 향어등을 만날수도있고
늦가을철 물이돌때엔 환상적인 새우낚시가 되기도한답니다..

떡밥낚시 좋아하시는분도 곧잘 하시고
물이 바닥을 잘 안들어낸 못이 많은게 계곡지이기도합니다
말그대로 높은 산과 산을 막았으니,큰비가오거나 연중 수시로
상류에서 물이 유입되기도하니까요..

근데,낚시하다 발 잘못딛음 자칫 위험한곳이 계곡지에요..
계곡지 아니더래도 낚시할땐 항상 안전하게 재밌게 즐기셔야겠죠.. ^ ^

42Cm붕어가 나왔다고하는 그 못에 대해선 가보질않아 모른답니다..
아시는분 계시면 좋은답변 부탁드려봅니다..

낚시인님들 늦은밤 편안히 주무세요..
추천 0

2등! 탈퇴한회원 05-03-30 12:31 IP : 60ddd5f9dd00543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3등! 탈퇴한회원 05-03-30 14:47 IP : 60ddd5f9dd00543
좋은오후입니다.와~붕애다님^ ^
아닙니다.좋은하루되세요 ^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