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b>대물낚시 재점검1-봄 대물낚시</b>

물사랑 IP : 3614fffcd9839a2 날짜 : 2004-03-17 21:15 조회 : 7261 본문+댓글추천 : 0

(대물낚시 산란기 찬스 올해는 꼭 잡아보자!!)

대물낚시에서 산란기 찬스때는 경계심 높은 대물붕어가 경계심을 풀고
미친듯이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마릿수 월척을 낚고
기록을 경신할것 처럼 알려져 있습니다.

맞는 부분도 있지만 실제 산란기 찬스란 대물낚시 경험이 많은 노련한
꾼들도 그 시기를 맞추기 어려울 정도로 시기가 짧고 변수가 많은것이어서
산란기 찬스를 기록경신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준비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을 짚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1.산란기 찬스란 무엇인가?

붕어가 어느날 산란장소를 찾아서 산란을 하는것이 아니라
산란을 하기 일주일쯤전부터 야간을 이용해서 산란에 알맞은 자리를 찾아
상류 수초대를 올라 옵니다.

이 기간이 수면적이 좁고 붕어의 개체수가 많지 않은 소류지의 경우는
1주일 안쪽이 대부분 이며 중대형지의 경우에는 1달여 동안 지속 되기도
하는데 이때가 씨알과 마릿수에서 폭발적인 조과를 보여주는 이른바
산란기 찬스 입니다.

이 산란기찬스는 기간이 너무 짧은데다가 그전해의 강수량에 따른 봄수위가
만수인가 갈수인가에 따라서도 시기가 달라지며
그해의 음력날짜에 따른 절기에 따라서도 시기가 달라지는가 하면
꽃샘추위가 닥치게 되면 시기는 또 달라지는등 변수가 많아서 어떤꾼이
수년간 자주 출조하여서 산란시기를 거의 찾아 놓은 저수지라 하더라도
산란기찬스를 정확히 찾아서 대박을 만나기란 아주 어렵습니다.

알자리 보기가 끝나면 본격산란을 하는데 소류지의 경우는 하루나 이틀에
끝나며 3일간 산란이 지속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중대형지라고 사나흘이면 본격산란은 끝이 납니다.
본격산란일에 출조를 해보면 낮부터 혹은 해질 무렵부터 붕어의 물뒤집기가
시작되어 온통 난리인데 받침대 밑에서 붕어가 물을 뒤집어서 꾼의
얼굴에 까지 물이 튀어 오르기도 합니다.
이때는 낚시가 거의 안되는데 다음날 아침에 찌나 받침대에 알이 빼곡히
붙어 있는것을 왕왕 겪게 됩니다.

산란이 끝나면 3일~일주일 정도의 휴식기가 있는데 이때도 낚시가 잘 되지
않으며 휴식기가 끝나면 고루 호황이 이어져서 이 봄시즌 호황은
모내기 배수가 시작되는 5월말경까지 이어 집니다.
이 기간은 길어서 이기간동안 봄비나 기온하강등의 악재가 생기더라도
이내 회복하고 호황이 또다시 이어지므로 이 시기는 누구나 어렵지 않게
만날수 있습니다.

하여튼 봄낚시란 산란특수란 호재를 품고 있음에도 가을에 비해서
강수나 소폭의 기온하강에도 붕어가 민감하게 반응을 하여
그렇지 않은 가을낚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어려운 낚시 입니다.

따라서 대물낚시에서는 평소에 '어디어디에 대물이 나왔다더라.'는
소문을 따라 쫓아다니지말고 대물을 품었음직한 인물 좋은 저수지를
선정하여 연중 꾸준히 그곳으로 출조를 하여서 그 저수지의 대물이
움직이는 시기를 찾는것이 낚시재미도 더 좋고 조과도 높이는 방법이 될것 입니다.


2.산란기는 3월이다??

저수지가 평지지인가 계곡지인가, 혹은 저수지 주변이 높은 산이 있어서
일조량이 적거나 혹은 저수지 주변이 평지여서 일조량이 많은데에 따라서
산란기는 차이가 있으며 같은 지역의 저수지간의 산란시기의 차이는 한달여가
아니라 몇달이 되기도 하는데 경남권의 평지지에서는 2월초에 낚인 붕어가
알을 줄줄 흘리는가 하면 삼일절 휴일에 출조 해보면 이미 산란이 끝나고
상황종료인 곳이 적지 않습니다.

반면에 의성권의 산속 소류지는 4월말에도 물빛이 맑아서 전혀 붕어가
움직이지 않고 5월말경에 산란을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2002년 의성군 비안면의 새터지에서 초등학교 5학년짜리 아들과 둘이서 하룻밤에
각각 4마리씩의 월척을 낚는 산란대박을 만났는데 이때가 5월 30일 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01년 9월초에 청도군의 문수지에서 37~4짜에 이르는 대물이
연일 낚이는 산란특수를 맞은적도 있었습니다.
영남권의 저수지가 3월에 대부분 산란을 한다는것은 영남권 저수지중
50%인 평지형 저수지가 그러하다는 뜻이며 수온상승이 늦고 물속장애물이
적은 계곡지라면 한여름 큰 비가 온 후에 산란기를 맞는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3.봄시즌의 포인트는 무조건 최상류 이다??

봄에는 대물이 등지느러미가 보일 정도로 얕은 최상류의 수초대까지
올라 붙으므로 저수지의 최상류가 포인트라고 합니다.
그러나 봄시즌의 낚시에서도 해동이후와 산란전과 산란후의 포인트가
각기 다른데 이에 대해서 짚어 보겠습니다.

해동하고 봄소식이 전해지고 그 저수지의 붕어가 첫움직임을 시작할 무렵
에는 붕어가 어지간해서는 최상류까지 올라붙지 않습니다.
오히려 2m전후의 중류대나 3천평 미만의 소류지라면 오히려 둑방이
포인트가 되기도 합니다.

몇해전 고령군 개진지에서 3월초순에 낱마리의 월척이 낚이다가 중순경에는
한 포인트에서 하룻밤낚시에 3-4번의 월척입질을 받았는데 이때의 포인트가
중류권과 둑방 이었습니다.

본격산란이 임박한 며칠간은 그야말로 상류의 골자리 제일 안쪽까지
붕어가 올라붙는데 이때를 대비해서 영남권 대물꾼들은 20cm길이의
짧은 찌를 몇개씩 준비하여 다닙니다.
그해의 개진지에서 결국 4짜가 배출 되었는데 4월초 최상류의 40~60cm 수심에서
낚였습니다.

본격산란이 끝나고 나면 붕어는 최상류를 포기하고 조금 더 깊은곳으로
이동을 하는데 이때는 수초대 안쪽을 포기하고 수초대를 살짝 넘긴
지역을 포인트로 하여야 합니다.
그해 개진지에서는 산란후에도 봄시즌 내내 호황이 이어졌는데 4월중순경
부터는 거의가 중류대 포인트에서 대물의 입질을 받을수 있었습니다.


4.초봄에는 콩을 먹지 않는다??

산란을 전후로 한 초봄시즌에는 붕어가 체력보강을 위해서 주로 새우등
동물성 미끼만을 섭취하고 콩등의 곡물미끼는 잘 먹지 않는다는
말들이 있습니다.

위의 개진지에서 낚인 4짜는 콩미끼를 먹었으며 그밖에도 초봄시즌에
콩으로 대물을 낚는 경우는 많습니다.
즉, 대물낚시에서 절기에 따라 따로이 잘 듣는 미끼가 있는것이 아니라
그저수지에서 잘 듣는 미끼가 봄시즌에도 가장 확률이 높은 미끼 입니다.


5.봄비는 해롭다? 봄비는 이롭다?

봄비는 수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낚시에 해롭다는 설도 있고
봄을 재촉하는 봄비이므로 봄비직후에 대박이 난다는 설도 있습니다.

봄에는 강수나 기온의 하강이 조과에 빠르게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겨울의 저수온기를 지나면서 아직 붕어의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은데다가 축적된 지열이 없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초봄에 소량이라도 비가 내리면 입질이 살아나던 저수지에서도
일시적으로 입질을 보기가 어려워지며 꽃샘추위로 외부기온이 떨어지면
바로 조과가 저조 해집니다.

그러나 4월중순경에 걸리는 곡우가 되면 사정은 달라 집니다.
선배낚시인들이 '곡우에 붕어입질이 터진다.'는 얘기들을 하는데
곡우가 되면 자연에 봄기운이 충만하여지고 겨울을 난 붕어도
완전히 기력을 회복하여 움직임이 활발하여지므로
강수나 기온하강이 조과를 떨어뜨리는 악재로 크게 작용하지 못합니다.


6.봄에는 짧은대에 대물 붙는다??

봄에는 2.5칸 안쪽의 짧은대에 대물의 입질이 붙는다고 합니다.

이 이론만으로 무장한 꾼이 봄시즌에는 낚시가방 속에 짧은대만
넣어 다니는 것을 보기도 하는데 이는 경우에 따라서는 대물은
피하고 잔챙이만 낚으려는 것과도 같을수도 있습니다.

수초가 찌들찌들한 평지지에서 경계심 높은 대물붕어가 위험을
무릅쓰고 가장자리까지 올라붙을 확률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안전한 저수지 중앙부에도 은신처와 먹이를 제공하는 수초대가
넉넉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꼭히 가장자리까지 올라붙지 않을것을
생각하면 이런 포인트에서는 봄에도 4.0칸 전후의 긴 대로
먼거리 포인트를 공략함이 바람직 합니다.
추천 0

1등! 칼있수마 04-03-18 01:25 IP : 60ddd5f9dd00543
늘....감사의 글을 전하고 싶었는데
이렇게라도...감사드립니다...
늘...물사랑님의 좋은정보에 멀리서나마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추천 0

2등! 울산사또 04-03-19 12:08 IP : 60ddd5f9dd00543
항상 좋은정보 제공해주심을 깊이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어복 충만하길 기원합니다.
추천 0

3등! 당연히 04-03-20 00:36 IP : 60ddd5f9dd00543
당연히 훌륭한 의견입니다.
당연히 좋은 활동 부탁드리고
당연히 즐낚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