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저수지 나이를 알수 있는방법?

퓔라이존 IP : cbf5ab4431226a5 날짜 : 2012-01-09 17:54 조회 : 5830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필라이존임니당 ㅎ
다름이아니고 저수지 나이 일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해서요 뭐 수중수초의 분포여부나 주변 지형지믈을 단서로 추론 한다거나 ㅎ
현지인한테 묻는거 빼고요 ㅎㅎ 낚시꾼들을 안좋아 하는거 같아서 ㅎㅎ 글구 딱히 현지인이랄 것도 없는것이 산속에 있어서 ㅎㅎ 주변 낚시점 사장님들도 잘 몰라요 ㅎ 붕어 개체수는 많은데 월척이 있을 것인가 궁금해서 저수지 나이를 추론 할수 있는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니다^^
추천 0

1등! 스퐁이 12-01-09 18:16 IP : bfb1767e5853e97
못쫑보면 한번보면...새것인지 녹슨것인지...

적지않아 5년은 차이 나지싶습니다.ㅎ
추천 0

2등! 민균아빠 12-01-09 18:21 IP : 30c0a20762c148c
그것보다 중요한게 저수지가 그물꾼이나 나쁜넘들한테 털렷나 안털렷나입니다.

깊은 골자기 아담한 못일수록 그분들이 다녀갔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제일쉬운이론 : 월척을 잡을렴 월척이 있는못에 가야합니다. ㅎ
추천 1

3등! 소쩍새우는밤 12-01-09 18:32 IP : 0fc53b49769057e
알기는 어렵지요.
저는 뚝방을 보면 대충 짐작해봅니다.
제방안쪽의 석축의 각도와 짜임새인데
오래되면 완만하고 엉성하고 토사에 묻히게 됩니다.

그 보다도 최근에 저수지 막는 일은 드문일이니
적어도 월척이 성장하는 년수는(7~10년) 지났죠.
추천 0

검은콩 12-01-09 20:12 IP : 824363410d92c9e
대물급 붕어를 잡으시면 조금이나마 알수있지안을까요
추천 0

샬망 12-01-09 20:44 IP : 4abace456cbbb8b
월척이 되기까지의 연식보다는 더 됐을거로 보고,

개체수가 많은곳 이라면 월척을 잡을때까지 열심히 쪼아보세요...ㅎ

늘 안출하세요.^^
추천 0

엉터리꾼 12-01-09 22:36 IP : f897bb8dc512bfc
작은 소류지일 확률이 높겠군요.
소형 못池일 수도...

제방에 칡덩굴이 있다면 칡덩굴과 흙이 만나는 부분의 굵기로 저수지 나이를 짐작 가능한 경우도 가끔은 있습니다.
제방에 그라우팅(기계로 제방에 수직으로 구멍을 뚫고 시멘트와 황토를 채워넣은 흔적이 있다면 최소 20~30년은 넘은 池겠지요.
제방이 흙으로 된 제방인지 돌로 쌓은 제방인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겠지요.
흙으로 쌓은 제방이 더 오래된 것이니까요.
더 있겠지만, 꼭 뭔가 생각할려면 떠오르지 않는 병통이 있습니다. ^^;

눈에 띄는 붕어사체크기, 물색(간장색)...

제일 편한 방법은 전화를 이용하거나 담당기관 게시판에 글을 남기는 건데요.
그 못이나 저수지 인근에 땅을 사려고 하는데, 저수지 축조년도가 대충 얼마나 되냐고 전화를 하거나 글을 올리시면 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다른 핑계도 몇가지 더 준비하시면... ^^
추천 0

허구헌날꽝맨 12-01-09 22:45 IP : 63d03fb890d432d
좋은정보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조선붕어 12-01-09 23:25 IP : b23fb4a1ae29428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퓔라이존 12-01-09 23:46 IP : cbf5ab4431226a5
아넵 감사함니다 ㅎ 제방은 흙이고요 붕어사체는 함번도 본적이없으나 잡았을때 여덟치 까지 확인 했습니다 ㅎ
추천 0

바야흐로 12-01-10 05:21 IP : f27fbaaf05849c0
엉터리꾼 말씀대로 담당기관에 문의해보는게 제일 빠르고 정확합니다.
추천 0

스나이퍼붕 12-01-10 07:37 IP : 463bd0ab6e22b68
제 경험상으론 작은씨알의 붕어가 많으면..월척이 있어도 잡힐 확율이..다소 떨어지는거 같아요..
추천 0

하쿠바 12-01-10 09:08 IP : 0d92fdc333b6838
저수지 나이알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현지인에게 물어보는것? 죄송합니다.^^;
추천 1

잠못자는악동 12-01-10 22:10 IP : 7075bb236374b82
역시 현지인 또는 인근 낚시점에서 알아보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 입니다

아무도 없는 곳이라면

저수지 이곳 저곳 둘러 보며 판단을 해야 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0

스모그 12-01-11 11:52 IP : 95a3af6bca73d9c
일제시절에 순수 인력+구르마 등등으로 축조된 저수지들의 특징은 석축제방에 사람 한명이 들수 있을만한 돌들이 사용되었구요.
아예 흙 제방인 경우도 많습니다.(주변에서 돌을 구하기 힘든 경우겠죠.)
현대식 저수지(70년대 이후)는 대부분 중장비로 축조하므로, 석축의 돌 크기가 크고, 석축의 각도 또한 가파르고, 제방 최상단 천단의 폭이 15톤 덤프 정도는 왔다갔다 가능할 정도로 폭이 넓습니다. (깊은 계곡지라도 제방귀퉁이 부분에 저수지 깊은 곳에서 제방 귀퉁이 방향으로 중장비가 지나다녔던 공사용 길이 수중에 들어있습니다.-제방권에서 좋은 포인트죠.)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여기서 정리하고요.

물 마른지 얼마쯤 된지를 알고 싶으시면, 머리아프죠 ㅋㅋ 물어본다고 해서 진실만을 이야기 해줄지..
일단 바닥에 뻘이 많으면 고기(작은 고기든 큰고기든) 들어있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좋아보이면, 직접 하룻밤 정도는 담궈보는게 답이겠죠 ^^
자갈이나 마사바닥으로 된 소류지들은 물이 빠지지 않았다해도 하루아침에 고기가 전멸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어로행위...)
추천 0

MC촬쓰 12-01-12 23:02 IP : 2f8315a6d6a49a8
네이버한테 물어보세요.. 저수지 이름 검색해보면 대충 축조시기 나옵니다.
추천 0

가을풍경 12-01-13 14:47 IP : 6ef666e9ac55070
많이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사구구 12-01-13 22:46 IP : c59b9144cd48a14
근데, 저수지 지령을 아는게 뭐 큰 도움이 됩니까?
아무리 백년 묵은 저수지인들 작년에 못털이했으면 꽝아닌가요?
따라서, 차라리 동네주민들한테 물어보는게 제일 정확할듯 하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