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붕어 입술? 감각은.......

세월투척 IP : 222c6b8f18260fa 날짜 : 2012-02-17 12:48 조회 : 6301 본문+댓글추천 : 0

붕어 입술? 감각은 ........
갑자기 궁금해 지내요
봉돌 들어올리면 목줄이 입술?에 걸릴텐데....
별로 안예민한가......
새우.참붕어.떡밥.지롱이.... 바늘 목줄
입술은 그냥 빨대뿐일까요

이게왜 갑자기 궁금해졎는지..
추천 0

1등! jklll 12-02-17 14:44 IP : 47e7357db0e8de5
미늘있는 바늘을 뺄때 몸서리치는걸로 봐서는 감각이 있는듯합니다마는...
추천 0

2등! 깨끗한아침 12-02-17 15:04 IP : 53eb71946c35411
감각은 있지만 3초면 까먹습니다.
추천 0

3등! 로가로세 12-02-17 15:33 IP : 939714bedc22a00
붕어입술은 먹이탐색으로 아주 예민할거 같습니다 미끼확인후 흡입과동시에 목줄도 삼켜버러서
바늘에 걸리지 않나 생각듭니다
추천 0

아이스맨™ 12-02-17 15:36 IP : e28c27336aa0da6
그걸 밝히려면 사실 조직학 전공하신 분이 전자 현미경으로 신경조직이 있는가를 봐야합니다.
신경조직이 있다면 아플거고
없다면 신경조직 있는 곳까지 눌린다면 압통 정도로 전달되겠죠.

설사 신경 조직이 있고 붕어가 아프다고 해서 낚시 그만 두실 분은 많지 않을겁니다.
그런 분들이라면 소고기, 고등어 등 모든 육류, 어류를 드시지 말아야하니까요
그런 분들은 자연사한 개체만 먹어야합니다.

사자가 얼룩말 목을 물어 죽이는데 통증이 없어서 무는건 아니잖아요
먹기위해 먹잇감을 잡듯이 낚시꾼은 붕어 얼굴을 만나기위해 고통이 있더라도 바늘로 걸어내는겁니다.

붕어 얼굴 보신 뒤에는 최대한 원상태로(비늘, 지느러미, 입 등 상하지 않도록) 자연으로 보내주심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드실 분은 자유롭게 드시면 되고요..
다만 외래어종을 더 선호하시길 개인적으로 추천드립니다

"""쓰레기 수거는 기본입니다.
남의 쓰레기도 조금만 더 걷어다 처리해주시면 우리 터 깨끗이 보존할 수 있습니다"""
추천 1

붕애성아 12-02-17 15:55 IP : 2da2cde05c10ac9
잘 살펴보면?

붕어가 감각이 없는 것이 아니고
손이 없는 붕어의 먹이를 취하는 습성 때문이라 봅니다.
사람이 수박 먹듯이 씨까지 먹었다가 걸리는 씨를 밷어 내듯이
일단 흡입하여 오물거리다 아닌거는 뾱~하고 밷어 냅니다.
거의 먹을수 없는 것도 일단 먹고 오물거리다 아니면 밷는 습성~

꾼은 그걸 노리고 있는 것이지요

일단 먹을꺼니까 흡입해서 줄에 달려 있슴을 알고 줄을 끊어내려고 하다가
자동빵 되거나 밷을라고 하다가 챔질에 후킹되는 그런거요~
추천 0

전북김제꾼 12-02-17 16:27 IP : a37e6a5114a1969
감각이 있는거 같아요..

눈빛이 아파보이던데^^ ㅎ

늘 안출하시고..

즐거운 하루되세요!!
추천 0

엉터리꾼 12-02-17 19:44 IP : f897bb8dc512bfc
글을 드리기 전에 당부 말씀부터 드립니다.
제가 지금 쓰는 이 글은 붕어를 너무 과대평가하는 글이 될 수도 있다하겠습니다. ^^

한가지 예를 들겠습니다.
별빛만 반짝이는 아주아주 깜깜한 그믐밤에 저수지 바닥에 떨어진 말랑말랑한 콩알 크기의 떡밥을 정확하게 물고 찌(케미)를 올리는 것을 보면 분명 붕어입은 코끼리 손 정도의 감각을 지녔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겠습니까.
대신, 붕어는 바늘과 목줄은 인지하지 못할 수밖에 없는 것이 당연하겠지요.
붕어의 입장에서는 바닥에 떨어진 먹이를 먹기 위해 미끼를 입속으로 흡입했지만, 목줄과 바늘을 아직은 인지하지 못하다가 갑자기 목줄이 입에 걸리적 거려 미끼를 삼키기 어렵거나 바늘에 입안이 찔리거나하면 뱉어버리는 것은 아닐까요.
뱉다가 자동걸림이 된 탓에 빠져나가려다가 급하게 수초대나 옆으로 쏘아버리는 경우도 발생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근데, 또... 최근 월척에서 플라이낚시로 붕어를 낚는 분을 보면 도데체 붕어 입안에 존재한다는 '미뢰(맛을 느끼는 감각기관)'는 존재하기는 한 건지도 의문스럽기도 합니다.

붕어가 생각하는 먹이는 간단명료하게 <먹을 수 있는 것VS먹을 수 없는 것>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닌지... ^&^
추천 0

엉터리꾼 12-02-17 19:45 IP : f897bb8dc512bfc
코끼리 손----------->코끼리 코. ㅋㅋ
추천 0

걸린넘만잡는다 12-02-17 21:12 IP : 4ddd8af8b62d163
전에 책자에서 본건데요
미각도 여러가지가 있고 감각도 여러가지가 있다고 하더군요
정확히 입술만 놓고 본다면 감각은 있데 통증은(통감)못느낀다고 써놧드라고요
과학적으로 확실히 밝혀진건 없습니다.개인적으론 감각은 있고 통증은없다 생각하는게 맘편해서..
추천 0

잠못자는악동 12-02-17 22:32 IP : 3a384e8b728aaa3
붕어가 아닌 이상 정확히 알수가

없는 문제 입니다

단지 몇가지 설에 의한 내용중

걸린넘만잡는다님께서 만씀해주신

내용이 많은것 같읍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0

아쭈 12-02-18 08:41 IP : 789fe75aa13835e
걸린넘만잡는다님글 한표........
추천 0

아가사랑 12-02-19 13:00 IP : cc153e90adf7d8a
생물학적으로. 통증을느끼는기관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가끔보면 그냥. 물려있는놈들보시면아실듯요.
바늘을빼실때 발버둥치는것은 아파서가아니라. 손으로쥐는. 압력때문이라더군요.
흔히들. 총점은 없고. 압점은 있다라고들 말하더군요
추천 0

쌈닭98 12-02-19 13:16 IP : 0a3610455bc2610
붕어가 입으로 통증을 못느낀다는 말이 맞을듯합니다
붕어가 입에 통증을 느낀다면 절대로 그런 몸부림을하면서 거세게 저항할수는없을겁니다
예를 들자면 사람 손가락을 꺽어 당기면 거의 저항하지못하고 끌려오거나 귀밑머리카락을 잡아당기면
힘주어 저항할수없는 상태가 되지않나요]
사실 낚시를 하면서 붕어가 통증을 못느끼길 바라고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통증을 못느끼는것에 다행으로생각합니다
붕어가 통증을 느낀다면 우리가 즐기는 손맛을 절대로 느낄수없을겁니다
추천 0

달랑무 12-02-19 13:39 IP : 14b4c3bf12c3e61
어느님께서..신문(?)자료 자게판에 올려주셨습니다.

고통을 느낀다고 하내요...
추천 0

검은콩 12-02-19 15:20 IP : 824363410d92c9e
붕어도 고통을 느끼겠죠
추천 0

꺽정이 12-02-19 15:25 IP : 568dda477ff93f0
인터넷에 떳길래 퍼왔습니다.저도 낚시하지만 붕어를 잡았을때 내가 하는 행동에서 필요업는 고통을 주는것은 없는지 생각하게
되드라구욤.근데 떡붕어 이놈은 잡으면 눈빛이 나를 아래로 깔아보는듯한 느낌이 드는건 뭔지...


낚시에 걸린 잉어, 토하는 등 스트레스 행동 보여…
미늘 없는 바늘쓰고 잡은 후 빨리 놓아주기 캠페인도


» 낚시에 걸린 송어. 어류도 인간과 유사한 고통을 느끼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조금 전 일도 쉽게 까먹는 사람을 ‘붕어 기억력’이라고 놀린다. 미끼를 물었다 빠져나간 붕어가 3초만 지나면 다시 먹이를 문다는, 믿거나 말거나 얘기도 있다. 이렇게 머리가 나쁘고 사람과 많이 다르니 함부로 다뤄도 상관없지 않을까.

영국의 한 과학자가 과연 그런지 알 수 있는 실험을 했다. 송어의 입에 벌침을 주입했을 때의 반응을 본 것이다. 낚싯바늘에 걸린 것처럼 송어는 깜쩍 놀란 뒤 입술을 수조 바닥과 벽에 비비는 행동을 했다. 그리고 벌침을 주입하지 않은 송어보다 다시 먹이를 먹기까지 2배의 시간이 걸렸다.

네덜란드의 연구자는 낚시에 걸린 잉어의 반응을 관찰했더니 갑자기 돌진하거나 토하고 머리를 흔드는 등 스트레스를 받은 행동을 보였다. 또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다시 먹이를 먹었다.

이런 실험 결과를 보면, 바늘 맛을 보고도 또 미끼에 덤비는 붕어는 실제가 아니거나 먹이가 너무 부족한 환경 속에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산천어를 낚는 플라이 낚시꾼은 그럴듯한 미끼를 거들떠보지 않는 고기를 만나면 최근에 다른 낚시꾼에게 잡혔다 풀려난 것인 줄 안다.



어떤 동물이든 고통을 감지하면 손상을 줄이려는 반사행동을 한다. 두뇌가 없는 지렁이 같은 무척추동물도 이런 능력은 있다. 우리가 고통이라고 하면 이런 반사행동을 넘어 뇌에서 고통을 처리하는 영역이 있고 그 결과 행동과 생리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사람은 대뇌피질에서 고통을 인식하는데 대뇌피질의 상대적 크기는 사람에 이어 유인원, 다른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순서로 작아진다. 그렇다고 이 순서 끄트머리 동물이 사람 같은 고통을 느끼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까.

만일 고통을 느꼈을 때 먹이를 먹지 않고 반복적으로 특이한 행동을 한다면, 또 호흡과 심장박동이 늘고 스트레스 호르몬 방출이 늘어나는 생리변화가 나타난다면 그것은 단순한 반사행동을 넘어 두뇌가 개입한 복잡한 반응을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물고기는 분명히 사람과 비슷한 고통을 느끼는 셈이다. 물고기는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고통을 받으면 숨이 가빠지고 외부 자극에 무뎌지는 등의 생리반응을 보이고, 모르핀을 투여하면 이런 현상이 사라진다.

낚시에 걸린 물고기가 한동안 먹이를 먹지 않는 행동은 사람이 사고를 겪고 상처가 아문 뒤에도 심리적 트라우마가 남는 것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래서 유럽과 미국의 낚시인 사이에는 잡은 고기를 놓아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미늘 없는 바늘을 쓰고 잡은 뒤 최대한 빨리 놓아주자는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다.


▲어업과 밀식양식 그리고 낚시 등에 윤리적인 관점의 문제제기가 선진국에서 활발히 제기되고 있다. 사진=안드레 퀸젤만,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

나아가 상업적 어획과 밀식 양식의 비윤리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선진국에서 높아지고 있다. 깊은 바다에서 빨리 끌어올린 그물로 인해 물고기의 눈이 튀어나오고 위장이 입 밖으로 부풀어져 나온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뱃전에 올려진 물고기는 서서히 질식하거나 동료에 눌려 압사한다.

사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고 돼지와 닭을 산 채로 매장하는가 하면 사료가 없다며 소를 굶겨 죽이는 마당에 물고기의 고통을 얘기하는 게 한가한 얘기처럼 들릴지 모르겠다. 하지만 별다른 이유 없이 다른 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주고, 또 애초 그런 사실 자체를 모른다면 곤란하지 않을까.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추천 0

니가4짜를알아 12-02-19 19:41 IP : b6e97b9ad2f5df8
감각이 있지 않을까요????ㅋㅋ
몸부림을 치는것 보면...^^*
추천 0

漁水仙 12-02-19 20:19 IP : 6cba2625f9ac10d
지난해 천수만에서 보트낚시로 20여일을 낚시하시던 분을 만난적 이 있었습니다

그분과 대화를 하면서 잡은 붕어는 어디있냐고 여쭈었더니
플라스틱망 두개를 엮어서 구멍을 뚫고 보관하고 계셨습니다

그분이 철수 할때 잡은 붕어 구경을 할려고 플라스틱 바구니를 꺼내들었더니
월척급 40~50마리중 20여마리의 전부 얼굴 의 3/2 가량이 없는 거였습니다

붕어들이 탈출하기위해 프라스틱 바구니를 들이받아서 생긴것 같아보였습니다

그모습이 너무나 처참하여 낚시하는 내내 마음이 편치 않았습니다

그결과를 놓고 볼때 붕어는 아픔을 모르기에 얼굴이 없어지도록 들이 받은것이라고 볼수있었습니다


취미도 좋고 붕어 채집도 좋지만 황당한 모습에 안타까운 말씀을 드렸더니
그분역시도 그럴줄 몰랐다면서 후회하는 모습을 본 기억이 납니다

죽을 만큼 아팠을텐데.....

참혹함에 가슴아파서 붕어를 잡는내내 계측만하고는 방생하고 돌아온 작년 봄이 생각납니다
추천 0

세월투척 12-02-20 07:46 IP : b390629620a8747
많은 글들 감사합니다
아픔을 느끼던 못느끼던 가능하면
뜰체 사용하고 빠르게 방생하고
귀한분들은 인증샷후 바로방생
이런 내가 되야겠네요
추천 0

예담아빠 12-02-20 12:43 IP : b71cbeb4a1c0988
마이 아파~~~
많이 아파보이더군요... 감각이 있는듯 합니다.
추천 0

가을풍경 12-02-20 13:27 IP : 0d6bdc1f18ff130
많이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소인배 12-02-20 16:30 IP : 6be839aedc05a82
3초만에 상처가 아물지는 않겠죠.. 통점이 있다면 상처가 완치되고 3초가 지나야 고통을 잊겠죠..

입술에는 통점이 없을지 몰라도 몸통의 다른 부분에는 통점이 있겠죠..우리의 신체 일부분에도 통점이 없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붕어 어디를 걸어도 저항하지 못하고 끌려오는 경우는 못봤는데요, 차라리 입에 걸어야 제압이 제일 잘되는데...몸에 걸면 더 설치던데,,,그럼 입에만 통점이 있는건가?

그냥 아프겠지 그렇게 생각할랍니다.
추천 0

님그리며 12-02-21 06:39 IP : 74941826cfba332
붕어가 아픔을 느끼던 못느끼던

상관없이

전 낚시가 좋은데

어떻하죠?
추천 0

釣夢 12-02-24 20:17 IP : 8004e792f04b6d0
보지 말아야 할 글을 봤어요 ㅠ,.ㅠ;;
통점이 없다고 배웠는데...
이젠 무미늘 바늘로 교체.......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