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터미박님께 여쭙니다ᆢ

ll강포골드ll IP : 2bb43f7e54b6a7d 날짜 : 2012-04-20 23:38 조회 : 3304 본문+댓글추천 : 0

바늘 이것저것참 고심많이했습니다 크기도 기능도요ᆢ 일전에 올렸던 질문요ᆢ기억나시죠 그곳은 큰놈은 그물꾼이 하는의심아니면 잡고기가없다생각하는곳인데 잡고기래봐야 참붕어 새우 가재나물방개 그런거없습니다물참깨끗하고 옥수수는 입질없더군요 물론바닥입니다만 아주풍덩은아닙니다여기서ᆢ잡고기없는ᆢ징거미또한없습니다 그런곳에서제가표현한입질이 가물치 제외하면 붕어의입질이맞을확률이높겠는지요 어느못이든 가물치 있을수있으나 그런입질에 헛챔질ᆢᆢ 저역시도 많은시행착오를 겪을만큼 겪은놈입니다 가물치라면 헛챔질시 고기역시놀라서 물보라일으키는것도 경험했구요 산속소류지에 유입윈이없는곳에 미꾸라지가 유입가능성이있을까요ᆢ 어느분답변이그러해서ᆢ 자ᆢ이제 참 마음이가는 그곳소류지 상세설명이요 규묘3000펑 정도 생긴빠꾸는요 제방을두고 골이두개로생긴모양입니다 평균수심 상류귄 제하고는 제법깊습니다 두개의골을가르는 곳부리역시 30대기준 25정도여ᆢ새우많구요 참붕어 겨우햊기전도착해도 채집망부터던지고 한30 마리이상채집될정도로 개채수가월등합니다 아직새우는 별로들지않더군요 의문점요ᆢ자생미끼가 최고의밥상인것알지만 너무많은개체수는 그것을취할 상위포식자가없는걸까요 그리고 참붕어낄때 등지느러미서끼는 흔한등뀌ㅣ기요 바늘이벵에8 호정도지만 바늘끝 상당히노출시켰는데 그런입질에 빈바늘은 ᆢᆢ징거미 방개는 확실히없습니다 등에확실히 들어나는꾀기여도 입큰 35이상 소위대물들은 입이커서 훅킹이안될가능성도높은지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가 바늘홋수를 좀더높여볼 필요성이있겠는지요 그럴수도있지 하고 넘기고는 그저수지에 미련이남아이럽니다 ㅎ매년2월초되면 파라솔두더땅에 안꽃혀 텐트는고사하고 바지네개 잠바7개씩입고 아ᆢ견딜만하던데를 외치는 골수이지만 조금은젊은 꾼입니다 너무깁니다 그래서 죄송합니다 확답을원하진않습니다 경험만 제경우에 비슷한 경험이있으시다면 답변주십시요 ᆢ 이상 하챃은꾼이 말이길어 죄송입니다
추천 0

1등! 터미박 12-04-21 01:28 IP : 0221e421e78812b
저에게 직접 질문을 주시니 조금은 쑥스럽습니다^^

어찌됬든 감사하게 생각하고 제 생각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낚시 하신 소류지는 외래종이나 피리종류같은 잡고기는 없는것으로 판단 됩니다

참붕어가 많은곳은 참붕어가 잘먹히는게 일반적 이고

참붕어가 작은 소류지에 과하다할 정도로 많이 있다고 상위 포식자가 다른곳에 비해 없다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참붕어가 많으면 상대적으로 채집이 덜되는 새우가 잘먹히는 경우도 있더군요..

그떄마다 상황이 틀리므로 골고루 써보든지 그날 잘먹히는게 무엇인지 파악 하는것도 중요 하겠지요..

아묺튼 대부분의 이름난 터들은 명성에 맞게 먹잇감이 풍부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게 일반적 입니다

물이 근래에 마른적이 없다는 증표가 되기도 합니다

특히 말풀같은 침수 수초류와 새우, 참붕어가 많고 사람손이 덜탄곳은 월척 자원이 풍부 하다고 봅니다

그 이외 낚시 하신곳의 다른 특징으로는

전반적으로 깊은 수심을 지닌 특성이 있다고 보여 집니다

상중하류 구분 없이 전체적으로 깊은곳은
힘들게 얕은곳을 찾으려 고민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 합니다

깊은 수심에 적응된 붕어들은 먹이 활동도 2미터가 넘어도 아랑곳 하지 않은 경험이 많습니다

포인트에서 수심을 제외하고 회유목을 보는게 중요 하다고 생각 됩니다

상류 골자리와 본류가 시작되는 부분이나

그 곳 소류지의 양갈래 곳부리 같은곳이 포인트로 생각이 듭니다

직접 보지를 못해서 수초의 분포라든지 바닥의 토질이나 둔덕의 유무는 알수 없으나

갓낚시 기법을 응용하여 회유목과 갓둔덕이나 갓쪽 수초를 동시에 노려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헛챔질의 원인은 그 종류가 다양해서 무어라 확답을 드리기가 힘들다고 봅니다

그 곳 소류지의 경우 어느정도 정보가 있는지는 모르지만

꾼들로부터 헛챔질의 범인을 들을 수도 있고

여러명이 출조 하다보면 그 범인 확인이 용이 하기도 합니다

저 같은 경우 범인파악이 대부분 정보를 통해 일차적으로 습득 할떄가 많습니다

우렁이,징거미,물방개,미꾸라지가 대부분 상습범에 속하는데

계절에 따라 참게가 범인일 때도 있더군요

우렁이는 빨간알이나 석축에 기생하는 정도로 금방 파악이 되고

징거미,미꾸라지도 채집망에 자주 잡히므로 그 존재를 알수가 있습니다

물방개의 경우 따스한 갓쪽을 살피면 눈에 잘 띠기도 합니다

강포골드님의 경우 그러한 잡범의 소행은 아닐거로 예상 해보면

범인은 붕어나 가물치로 좁혀 집니다

그런데 문제는 터가 센곳이라
입질 자체가 귀하다는데 있다고 봅니다

어쩌다 한번 온 입질에 헛빵을 까면 그 심정은 이해가 갑니다

금방 다시 입질이 와서 자주 겪을 수 있으면
챔질을 더 느리게갈지 빠르게 가져갈지 윤곽이 잡힐텐데 그러지도 못하고 ...

어찌됫든 대비책으로

밤낚시에 지렁이 두마리를 8호 바늘 그대로에 꼼꼼히 달아 두셔 보시고

마찬가지로 새우도 침떄고 작은 사이즈로 등에서 머리쪽으로 바늘을 빼어 달아 보시고

12호 새바늘에 참붕어를 등꽤기로 달아 보시면

입질도 빠른 시간에 볼수 있고 바늘의 크기문제 인지도 파악될걸로 생각 듭니다

혹 붕어를 잡으시면

붕어의 구강구조가 유달리 단단하거나 주둥이가 짧은 경우라면
찌몸통이 들어날떄 까지 챔질을 참는게 훅킹이 확실 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큰바늘과 강한챔질이 동시에 수반되야 합니다

그 이외

침수수초나 급경사,뻘바닥같은 바닥 상황이나 배를 깔고 입질하는 붕어도 있는데

찌가 한두마디 솓고 말거나 꼬물거리는 느낌이 자주 든다면

이럴 경우에는 높은폭의 본신만을 기다리지 말고
한마디의 둔중한 솓음이 보이면 과감히 챌 필요도 있다고 보여 집니다

결론적으로

그 곳을 열심히 공략 해보시면 답은 반드시 어떻게든 생기리라 믿습니다

답을 조금더 빨리 얻으시려면
세명 정도 동출을 한번 해보시면 패턴 잡기가 훨 빠를걸로 생각 합니다

모쪼록 답을 얻으셔서 저도 소감을 한번 듣고 싶네요ㅎㅎ

화이팅!!
추천 6

2등! 오룡붕어 12-04-21 08:18 IP : f995471f6398b88
제 경험 써보아요 ^^이곡지 갓낚시 처음에는 5호 감생이 헛챔질계속... 낚시방에 물어보니 7호 써보라해서 담부터10여수했어요 붕어는9~8치 주둥이는 큰편은 아니에요
추천 0

3등! 진행자 12-04-21 08:58 IP : acfa91ecaa452f4
ㅎㅎㅎㅎㅎㅎㅎㅎ
어디 포인트든,,
하루 온종일 낚시해보시면 답이 바로 나오지요.
그리고
잉어도 참붕어를 먹는다는 사실!
추천 0

공주위남자 12-04-21 09:03 IP : 99a91d81165eb6f
터미박님 잘보고 갑니다..장문의 글 쓰신다고 수고하셧습니다.
추천 0

잉철 12-04-21 14:35 IP : 9b317597ba7a086
터미박님 해박한 지식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잘봤습니다.
추천 0

고죽 12-04-21 15:07 IP : 9aebc63872d19bb
터미박님 쓰신 글 모으시면 전문낚시책 두 세권 나오겠습니다.
덕분에 늘 공부 잘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절묘한타이밍 12-04-21 19:04 IP : 334329b7897aa67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반듯한님 12-04-21 21:28 IP : 6418f0da3b30ccd
잘 배우고 갑니다...

역시..
추천 0

잠못자는악동 12-04-22 20:33 IP : 53536c8d10b3fcc
터미박님 소중한 정보 잘 보고 갑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0

ll강포골드ll 12-04-25 11:21 IP : 688b1fc1b3506f0
모두들감사합니다 특히터미박님 글잘읽고 나름또다시 판단을해봅니다ᆢ이젠완연한봄기운이니 수온도오르고 잠시의짬낚시가아닌 하루밤 열심히투자해보면 또어떤답이라도 얻을것같습니다 그곳제가낚시한포인트는 완전한사질대입니다 모레밭 수준입니다 ㅎ 꽝치든잡든 낚시를 몇번더 드리워봐야 원하는고기였는지 아니였는지 알수가있겠죠 ㅎ 감사하단말씀 다시한번더드립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