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카본줄에 관해 답변부탁드립니다

토종사랑 IP : b1168dc45ffea2b 날짜 : 2024-05-22 13:50 조회 : 3672 본문+댓글추천 : 13

카본줄은   비중이 무거워  바닥채비에  맞지않다  찌올림에 방해된다고들  하잖아요?

그것이  사실이지만  노지에서  여러가지  불편함에  카본줄 사용하실테구요

그렇다면  내림낚시로 한정하면  카본줄이  찌내림에는 유릿한게 아닐꺼요?

 

물론  찌맞춤에는 어려움이 있겠지만요   

추천 0

1등! 똘이아부지 24-05-22 15:30 IP : 41d37393e1eb605
그반대 아닐까요
누르는 힘이있어 입질표현이 좋을수 있으나
가벼운채비의 내림낚시엔 맞지않다 생각합니다
카본줄 바닦낚시에 딱 맞는 라인입니다
자료검색해보시면 왜 카본줄을 쓰는지 잘 나와있습니다
추천 1

2등! 화무 24-05-22 18:43 IP : fc6f4e77adabb03
풍덩낚시엔 카본줄이 좋고 내림엔 나일론이 좋다고 봅니다.
풍덩낚시는 보통 오래 기다리는 낚시인데 나일론은 여차하면 바람을 타니 피곤해서 못합니다.
어차피 풍덩인데 찌맞춤이나 원줄 가라앉음은 별 의미도 없고요.
그런데 내림에서 카본줄을 쓰면 시간이 지날수록 찌가 가라앉아 아주 힘든 낚시가 될 겁니다.
추천 1

3등! 樂山樂水 24-05-22 22:03 IP : 2afcf2f981b3a29
내림이라면 붕어가 바늘을 입에 넣어도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고 가던 방향으로 계속 가서 찌내림이 나타나는건데,
이미 붕어가 아무 이물감도 감지하지 못하는데 원줄의 재질이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을것 같아요~
목줄이라면 몰라도요!
추천 2

토종사랑 24-05-23 09:01 IP : 4822986bf56056f
의견 주신 똘이아부지님,화무님,樂山樂水( mrsohn)님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추천 0

S모그 24-05-23 10:58 IP : 0a54acf04549ce1
찌낚시에서 카본줄을 원줄로 사용하는 경우,
가장 큰 맹점은 기본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찌맞춤에 원줄이 관여하는 비율이 나일론 계열에 비해 상당히 높고,
맹탕에서 찌맞춤을 한 후에 수초낚시(땟장밭 위로 원줄이 언혀지는 상황, 수중에 연줄기나 갈대줄기 같은 장애물이 가득해서 원줄이 제대로 안착되지 않는 상황)등에서 낚시를 하면 찌맞춤에 관여했던 원줄 무게가 빠지면서, 채비가 그만큼 가벼워지고, 바닥에 내려앉아야 할 봉돌이 수중에 떠오르고 바늘(미끼)만 바닥에 닿고 있는 내림낚시와 같은 낚시를 하게 될 공산이 매우 높으며, 그리되면 붕어가 입질을 해도 찌는 수면 위로 솟아오르지 않고, 마치 예신만 하는 듯 움찔거리기만 하는 찌놀림을 보이는 상황을 맞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아니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낚시하는 분들이 굉장히 많고, 심지어 낚시방송을 진행하는 사람들조차 모르고 있다는 게 간접적으로 보인다는....

* 카본원줄로 채비된 매우 긴 장대를 꺼내 들어서. 줄감개에 원줄의 대부분을 감고, 그 채비 그대로 수초 뽕치기를 하게 되면 봉돌은 수중에 떠오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만. 아무 보조적인 조치도 하지 않고 아무렇지도 않게 낚시함.
수면위로 솟아오르지 않고 있는 찌를 보며,
"아 지금 10분 넘게 본신을 주지 않고, 예신만 하고 있습니다. 인내심의 한계를 시험하게 하네요."

* 위의 이야기와 비슷한 예로 얼음낚시를 할 때도 줄감개에 원줄의 대부분을 감고, 그 채비 그대로 얼음구멍에 넣으면 봉돌은 수중에 떠오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만. 아무 보조조치도 하지 않고 아무렇지도 않게 낚시함. "아 고기들이 예민해서 찌를 올리지 않고, 끌고 들어가기만 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 낚시방송에서 자주 보지 않으셨는지요.


근본적이고 수치적인 예를 들어드리자면,
50칸대에 카본4호줄을 원줄로 세팅했을 때, 그 카본원줄이 찌맞춤에 관여하는 무게값을 대략 산출해보면 0.27g정도가 되는데.
[1] 찌맞춤을 맹탕에서 캐미끝이 수면과 일치하는 꽤 무거운 맞춤으로 찌맞춤을 했을 지라도. 그 상태 그대로 넓은 땟장밭에 가서 겨우 넘겨치는 형태로 낚시를 하게 되는 경우에, 저 원줄무게 0.27g이 보통의 캐미 무게들(0.24~0.25g)을 상회하기 때문에, 실제 낚시에서 수면 밖으로 캐미전체를 내놓고 낚시하거나 찌톱 1마디를 내놓고 낚시한다 한들. 수중에서는 봉돌이 수중에 떠있고, 바늘과 미끼의 무게에 의지해서 겨우 바늘과 미끼만 바닥을 짚고 있는 사실상 찌올림이 나타나기 힘든 내림낚시를 하게 되는 셈이고, 만약 카본원줄에 비해 수중무게가 5배 정도 가벼운 낚시줄인 보통의 나일론줄(모노줄?)을 4호로 세팅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찌맞춤에 관여하는 무게값이 0.048g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수초밭을 넘겨쳐도 채비가 떠올라서 엉뚱한 포퍼먼스로 낚시를 하게 되는 경우는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수중무게값이 가벼운 나일론계열 원줄을 채비해서 낚시를 하면, 현장상황을 굳이 고려하지 않아도 웬만한 형태의 포인트에서는 전부 정확한 낚시가 가능합니다.

[2] 찌맞춤을 캐미꽂이 밑둥이 수면과 일치하는 가벼운 맞춤으로 찌맞춤을 했다면, 그 상태 그대로 넓은 땟장밭에 가서 겨우 넘겨치는 형태로 낚시를 하게 되는 경우에, 저 원줄무게 0.27g이 사라지면, 아마도 실전 0점값은 찌몸통의 상부에 잡힐 공산이 매우 크며, 바늘에 매우 무거운 미끼를 달아서 캐스팅 하지 않는 한 채비는 바닥을 짚기 힘들 것이며, 이러한 상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유저는 "대류 때문에 채비가 떠 올라서 찌가 몸통을 찍고 있어서 낚시를 못하겠다!!'라는 엉뚱한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이 엉뚱한 생각을 나중에라도 각성하지 못한다면, 평생 `대류`만을 범인으로 지목하고 낚시하게 될 지도 모를 일이죠.
무거워지고, 가벼워질 수 있는 가변값(편차값)이 0.27g이나 되기 때문에 '고기 잘 잡아 보겠다!'며 분납 채비라도 했는데.
그 분납이 하필이면 0.25g짜리 밖에 안되는 가벼운 분납으로 밸런싱을 하고, 현장찌맞춤도 없이 수조통에서만 찌맞춤을 했다면,
현장에서 실제 낚시를 하면,
[가] 현장이 맹탕이었다면, 수조통에서 찌맞춤에 관여하지 않았던 원줄무게 0.27g이 분납 0.25g을 완전히 잠식해 버리기 때문에 본봉돌이 바닥으로 내려 앉아 있는 상태로 낚시하게 될 것이고(본봉돌이 내려 앉아있고, - 기둥줄은 기둥줄대로 널부러져 있고- 기둥줄 끝에 분납이 달려 있고 - 그 분납에 목줄이 달려있고......그런 상태로 낚시를 하게 되겠죠.),
[나] 현장이 풀캐스팅해서 겨우 넘겨칠 수 있는 완벽한? 땟장지대였다면, 수조통에서 찌맞춤에 관여하지 않았던 원줄무게 0.27g이 고스란히 땟장위에 얹혀지면서 수조통에서 찌맞춤 했던 (이상적인?)상태로 기가 막히게 낚시를 하게 될 것이지만,
[다] 현장이 맹탕도 아니고, 완벽한? 땟장 지대도 아닌 어중간한 상태라면 원줄무게의 0.27중에 몇그람정도가 채비에 관여하고 있는지 계산이 안되는 상황이면, 본봉돌이 지금 수중에 떠 있는 건지 내려앉아 버린지도 모르는 상황으로 낚시할 수 있게 됩니다.
분납이 수중에 떠 있는 상태인데
'목줄이 길면 예민하다?'라는 풍월을 들은 바가 있어 목쥴울 25~30cm로 매우 길게 채비했다고 생각해 보십시요.
붕어가 마음껏 입질을 해서 미끼를 물고 올려도 그 목줄 길이보다 더 높에 떠 오르지 않는 이상 수면에서 입질을 표현해줄 찌는 솟아오르지 않고 움찔거리고만 있을 공산이 크죠.
[라] 맹탕에서 현장맞춤으로 했다고 해도, 순도 100%인 맹탕에서만 낚시하지 않고, 원줄의 일부가 장애물에 올려지는 상황이 되면, 거의 100% 분납이 바닥에서 떠오른 채로 낚시할 확률이 높죠.

카본원줄을 채비하는 경우에는
카본원줄의 무게감 때문에 찌맞춤에 주는 (현장 상황에 따라 가벼워지거나 무거워 질 수 있는)영향값이 크기 때문에,
의도했던 채비구사를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무거운 찌맞춤이나 정확히 계산한 후에 밸런싱을 해야 하지만, 이런 상황을 모르면,
"잘 가라앉는 맛에 카본줄만 쓴다."
"노지에서는 닥치고 잘 가라 앉는 카본줄이지!"
이런식이죠.

채비가 떠올라서 엉뚱한 낚시를 하고 있다는 것 조차 모르시는 조사님들이 많아서,
커뮤니티 내에서 자꾸 이런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만.
채비를 계발해서, 채비를 전파하시는 분들이라면, 채비에 대해 배우시는 분들께
원줄 무게로 인해 채비에 영향을 끼치는 상황은 꼭 언급하시고, 명확히 설명하셔서 채비를 제대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셨으면 합니다.

특히, 수조통 만으로 수조통에서 관찰되는 내용만으로 채비를 계발하는 것은 정말 엉뚱하고도 엉뚱한 행동입니다.
추천 9

토종사랑 24-05-23 12:32 IP : 4822986bf56056f
S모그님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추천 0

구라돌아이 24-05-28 16:30 IP : d1d7afabe96d6f1
빨놈은 다빤다에 한표
너무 정신나간듯이 하지맙시다
스트레스 푸는걸로 스트레스 받지 맙시다
추천 0

덱꾸리 24-05-28 21:21 IP : 7e535a3bedc6281
와 이건 진짜... 음...
바닥에 봉돌이 닿는 낚시에서도 카본줄이 골치아픈데

메카니즘의 정확성을 더 필요로하는 내림에서 카본줄이라니... 생각도 하지 마세요..
추천 0

한탄강 24-05-29 16:32 IP : c1a66c28b8d40ef
너무 피곤한 찌 맞춤으로 낚시하면 피곤 합니다
적당하게 영점 맞추어하면 올려 줄놈은 다 올려주고 힐링으로 낚시하는편 입니다
나와줄 대물도 원 없이 나올때가 있더군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