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대물낚시 찌의 적정 부력?

욱스 IP : 642f93438c4e51a 날짜 : 2009-07-24 12:37 조회 : 3972 본문+댓글추천 : 0

얼마전 대물찌를 구입했습니다.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아서 저렴한 것으로 9개를..............

출조를 나가서 사용해 보니깐 부력이 지나치게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치기 하기도 불편하고 찌올림이 좋치 않아서요.(올리는 입찔을 받지 못함)

찌의 부력은 10호 이상이라서요

대물 낚시에서 찌의 부력이 얼마 정도가 적당한지 궁금합니다.

또 어느 정도의 추의 무게가 앞치기 수월하지 궁금합니다.

지금 저가 가지고 있는 찌의 부력을 낮추어줄 방법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봉돌이 10호 이상이니까 좀 가볍게(영점) 찌 맞춤이 좋을까요?
추천 0

1등! 붕어랑 09-07-24 12:43 IP : d867043f87d51d7
10호이상이라도 무리는없는거 같은데요,행여 부력을 낮추시려면 편납을 찌다리에 감아서 써보시기 바랍니다.찌맞춤은 수조통에서 내려가서 천천히 올라오도록 맞추시면 될거같네요. 즐낚하세요.대물낚시에서 적정부력은 제경우엔 2.5칸 밑으로는 6호정도 2.5칸위로는 7호나 8호씁니다. 제가 쓰기엔 괜찮더라고요.
추천 0

2등! 초짜에요 09-07-24 14:32 IP : 8d8d9ee584ef945
붕어랑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찌다리에 편납감으땐 순접 한방울,,,
저는 2.9 밑으론 5~6 호 3.2 위론6~7호 정도...
무조건그런건 아닌데요 제가 가지고 있는대에는 이게 맏더군요
추천 0

3등! 부들자리 09-07-24 15:17 IP : cb60e560bfa57c3
앞치기가 불편하다 하심은 봉돌의 무게가 무겁다는 말씀이겠죠???
10호 이상이라면 8g이상이라는 건데 이렇게 되면 상당히 고부력이라
할수 있습니다. 아마도 대물낚시에서 부력의 높고 낮음은 상관은 없으리라
사료됩니다만, 낚시대의 성질(중질, 경질, 초경질)에 따라 앞치기에 영향이
많습니다. 혹 중질대에 고부력의 찌를 셋팅후 앞치기를 하심
초릿대에 무게감으로 인하여상당히 불편하고 초경질대에 소부력 5-6호 찌를
채비후 던지시면 이 또한 불편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대물찌의 부력은 개인적인 생각으로 6-7호 사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순전히 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추천 2

대물사랑 09-07-24 15:22 IP : 1b32ddd983dbbf2
평균 7~8호 쓰시면 무난 하리라 봅니다........

저도 짧은대 긴대 호수를 따로 씁니다...........
추천 0

시랑 09-07-24 16:27 IP : f7ab1e9a759e966
부들자리님 말씀처럼 낚시대에 따라서 다를것입니다.
시행착오을 거치시면 대충 알 수 있습니다.
제 경우는 신수향을 쓰는데 초릿대를 20cm 정도잘라서 씁니다. 이 경우에 3.2나 3.6의 경우 5호 정도 봉돌 쓰는데 저 개인적으로는 앞치기가 무난합니다. 낚시대 끝 치면서 들어올리지 않아도 날라갑니다.

님도 낚싯대를 말씀해 주시면 말씀듣기가 쉬울듯 합니다.

즐기는 낚시 하시기를......
추천 0

붕어선수 09-07-24 16:31 IP : 52c972dee235235
부들자리 님의 말씀에 한표.....

보통 대물낚시대의 특성으로 경질대의 낚시대를 많이 사용합니다
정확한 채비의 안착과 대상어와의 힘겨루기에서 수초여건을 감안한 선택이라고 봅니다

많은분들이 투척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보통 원줄의 길이를 짧게 매서 사용합니다
그리고 생미끼의 특성과 수초여건을 감안하여 고부력의 찌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저는 아주 고부력찌를 권해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채비안착을 위함과 생미끼의 특성에 따라 고부력찌의 사용도 문제는 전혀 없다고 판단되나
점점더 악화되는 낚시여건의 변화에 따라 생미끼를 사용하는 찌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겁니다

조금은 부담을 덜주는 채비로 전환하여야 점점 더 예민해지는 붕어의 입질을 유도 할거라 생각되고요
어차피 비슷한 포인트에 낚시를 할경우 좀더 부담을 덜주는 채비가 붕어의 입질시 찌로 이어지는
반응의 확률이 더 높을거라고도 생각 됩니다

그래서 저의 경우 대부분 지렁이를 이용한 다대펀성을 많이 하는데, 보통 6호를 넘기지 않습니다
최근엔 현장상황에 따라 3-4호 까지도 낮추어 낚시를 하고 있습니다

예전에 6호봉돌에 새우를 미끼로 낚시를 했는데 무리없이 찌를 무겁게 올려주는 입질에
다수의 월척을 낚은후부터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장,단점은 있겠으나 가벼운 부력의 찌를 사용하여 낚시하는데 찌올림은 확실히
더 좋은것 같습니다

채비의 투척도 편하구요........

손맛을 중시하는 저인지라 경질대를 사용하지 않아서 인지 몰라도 무거운 봉돌의 경우 채비투척시
초릿대의 낭창거림으로 인하여 투척이 아주 힘이 듭니다

본인이 소유한 낚시대의 성질에 맞게 찌를 선택하심이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추천 0

Argo 09-07-24 17:00 IP : 476bc7069deff29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
봉돌의 무게는 현장 상황에 맞게 쓰시는게 좋치 않을까 합니다 ..
침수수초나 기타 여건으로 봉돌의 안착이 힘들때는 10호봉돌의 무게가 도움이 될것이며..
깨끗한 바닥에서는 가벼운 봉돌도 상관없겠지요 ..

수심에따라 사용하는 찌의길이가 변하듯 바닥 상황에 따라 융통성있게 하는게 좋치않을까요
추천 0

제비천하 09-07-24 17:04 IP : 3f768ff260b7fdc
보통 대물낚시대를 사용하시면 경질대 앞치기는 무난합니다 아마도 낚시대가 연질성인거 같습니다
추천 0

환경지킴이악동 09-07-24 18:19 IP : e95c02a49316b9a
풀어야 할 숙제이고
정답을 찾기는 어려울 겁니다

개인적으로 6호 전후를 선호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0

배스팬붕애 09-07-24 19:37 IP : 4f9529373b2dd67
욱스님 안녕하세요....(__)*

욱스님이 사용하는 낚시대를 말씀하지 않으셔서 알수는 없지만 아마 연질대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연질대라면 10호 이상은 무리 맞습니다

먼저 댓글 다신분께는 죄송합니다만 찌다리에 편납감는거는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무거운채비 더 무겁게 만들면 더 곤란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욱스님이 찌 부력을 맞추고 낚시를 했는데도 올리는 입질이 없었다면

그날 물속 환경이 좋지 않았던지 아니면 갓낚시를 하셨던지 아니면 그 저수지 붕어들의 입질 형태가 그렇지 않나 생각 됩니다

그리고 욱스님 ...저도 대부분 연질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0호봉돌로 자꾸 낚시를 하다보면 몸에 익숙해져서 낚시할수는 있습니다만

정 아니다 싶으시면 저에게 쪽지 주세요

허접하지만 제가 만든 수제찌 7호(6.2g달면 서서히 가라앉는) 10점 보내 드리겠습니다

그럼 늘 안출하십시요....
추천 1

rainyday 09-07-25 22:22 IP : ceb5ea34d87ad36
긴대 사용시 10호 정도는 무난하나
짧은대는5-6호 정도
나머지는 7-8호 정도...
10호라고 해서 못 올리지는 않죠 단지 찌 부력이 클뿐이죠
추천 0

한터프 09-07-26 00:19 IP : a2b19ba4a2ea5fe
욱스님이 말씀하신, 찌맞춤을 가볍게 하는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0호 이상이라도 준척급 이상의 붕어는 충분히 밀어올리고, 뒤집기까지 합니다.

다만, 10호정도 되면 어느정도 경질성을 가진 낚시대를 사용하시는것이 좋은데...

일반적인 중경질대에서조차 8호 이상이되면 숙달되기전엔 앞치기가 수월치 않습니다.

전 대물낚시 시작한지 3개월정도 되었는데, 아직 한번도 제대로된 입질을 받지 못했습니다.

봉돌은 6~8호 혼용이구요.

앞치기가 부담되시면, 위 배스팬붕애님께 연락하셔서 해결하시구요...

부력은, 깨끗한 바닥이라면 6호가 아니라,3~4호도 충분하겠지요.

다만 대물낚시의 특성상 바닥이 깨끗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추를 무겁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또하나, 잔챙이의 입질을 피하기 위해 큰바늘과 큰미끼 무거운봉돌등을 사용하지요.
추천 0

까치내 09-07-26 10:02 IP : 3f3c3d5cbf96c3d
참고로 일요낚시사이트에서 찌봉돌 호수에 대한 낚시인 여론 조사를 하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7호 봉돌을 가장 선호하시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배스팬붕애님 같으신 고운 맘을 가지신 분들이 대한민국에 많았다면 아마 벌써 살기 좋은 나라가 되었을겁니다.이런 글을 보는 것만으로도 하루가 즐겁습니다.배스팬붕애님은 복 많이 받으실 겁니다
추천 0

박씨아찌 09-07-26 20:13 IP : 8c91b4e7165f778
저두 처음엔 고리봉돌 10호 이상 부력의 찌를 사용하다가 앞치기가 불편해서 원줄 길이를 짧게도 해봤고, 통초릿대도 끼워
보았습니다..그후 6호 부력...지금은 8호 부력정도를 사용합니다...그리고 찌재질에 따라 무게가 많이 다르더군요..
찌 자체 무게가 삼나무(스기목)은 무겁고, 오동목은 조금 가볍고.....
현재는 오동목으로 8호 정도의 찌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찌맞춤은 스스히 올라오던지,스스히 내려가던지...저의 찌맞춤입니다...
추천 0

김부장님 09-07-26 21:03 IP : c0c963eae42e376
부들자리님 말씀 ~ 잘 설명 하셨군요 추천 한방 하고 갑니다 ...
추천 0

항상좋은날 09-07-27 12:49 IP : 925f88bea3dded0
6.5호 - 8호 정도 사용합니다
추천 0

떨배 09-07-27 13:49 IP : 2127773de75f979
부담스런 부려기네요..저능17~32 6호정도,34~44까진8호정도 쓰는데
추천 0

월이야 09-07-27 14:29 IP : 459583950d692fb
저는 칸수 상관없이 7~8호 씁니다

봉돌의 호수가 앞치기에 미치는 영향은 있겠지만

낚시대의 경질이 어떤지가 더 중요하게 미치리라 생각합니다~
추천 0

대구동생 09-07-27 16:23 IP : b86df003e8d9965
개인적 소견입니다.
찌 몸통 소재파악을 하시고 부력을 맞추시면 되겠습니다.
재질에 따라서 부력을 어떻게 맞추느냐에 따라 찌놀림은 다르게 표현됩니다.
예전에 물사랑님께서 동영상으로 강조 하시던 부분입니다.
아주 과학적입니다. 자료를 좀더 찾으시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더 좋은 답변 못해드린점 이해해 주셔요~
추천 0

타작꾼 09-07-27 20:56 IP : a5d6a687321c959
제가 쓰는낚시대가 다이아플레스인데 32이상은7호정도가 가장좋던데....
추천 0

바낭메기 09-07-29 09:13 IP : 08ac80f09146988
저는 21대에서 34대까지만 쓰는데 모두 8호봉돌씁니다.
짧은대는 줄을 길게쓰니까 앞치기가 쉽더라고요..
추천 0

잉어군 09-07-29 16:19 IP : 231b27332d18a43
조금 무겁다고 생각은 들지만 .. 입질을 받는데 지장받을 만큼 큰 무리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채비도 7.8.9호 정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찌맞춤은 바닥에서 퉁퉁.. 두번정도 튈정도로 무겁게 맞추어 사용하지만.. 입질 받은데 특별한 차이를 못느낍니다.
추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