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어느날 낚시 준비를 마치고 출발을했다
이런! 들뜬맘으로 낚시가방을 들쳐매고 낚시를 갓는데
이번에 또 대를 펴던 저를 보시던 지나가던 선배 조사님의 말씀!
이 낚시대에 이찌는 안맞고 좀 큰걸 써야된다고 하시더군요
긴대 짧은대 찌선택을 달리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낚시를 혼자 시작하고 배우게 되서 아는게 하나도 없네여
찌맞춤도 혼자 인터넷보고 어설프게나마 해보고 있구요
낚시를 하다보니 점점 궁금해 지는게 많습니다 ㅋㅋㅋ
답변좀 부탁드릴께요 선배님들
전 주로 저수지 에서 많이 합니다 돈안내는 수초 많고 이런곳 무료라서 ㅠㅠ 붕어~~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다른말로 하면 찌의 순수한 기능은 접어두고 긴대에 짧은찌는 보기에 언밸런스 다 이거지요~
고기가 입질할때 과장없이 정직하게 입질을 표현해주는 찌가 좋은찌 입니다~
물론 거기에 적당하게 대의 길이에 맞춰서 찌의 길이도 맞춰준다면 금상첨화 이겠지요^^..
하지만 찌가 짧다고 해서 긴대에 안맞는다는건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초보조사님에게 그런식으로 말하는 선배조사가 더 이상 하군요.낚시는 멋으로 하는게 아니니 까요~
정리한다면 찌의길이는 대의 길이와는 기능적으로는 아무 상관이 없구요..
다만 여유가 되신다면 어느정도 맞춰주면 보기에는 좋다는거구요..
오히려 얕은수심에서 긴찌는 바늘이 찌에 엉키는일이 많기에 수심에 맞는 찌의 선택이 중요 합니다~
낚시 하시다 보면 저절로 알게 됩니다 ..^^너무 신경 쓰면 머리 아프니 왠만한건 걍~ 넘어 가시길~
즐낚 하시고 대물 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위에 짜붕님의 말씀처럼 찌의 길이가 붕어를 잡아주는것은 절대 아닙니다.
낚싯대의 길이에 맞춰 찌를 사용하는것도 일반적인 흐름이나
찌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대상지의 수심이 좌우하는 것이지 대의 길이가 아닙니다.
긴대에 긴찌를 사용하고 짧은대에 짧은찌를 무조건 사용할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낚싯대 길이에 따라 장찌와 단찌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것은 아닙니다..
그런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낚싯대 특성에 맞춰 찌를 선택하는것입니다.
대의 종류에는 연질대, 중질대, 경질대로 크게 구분할수 있는데
채비투척시 저부력의(봉돌 4호 미만) 찌를 사용할 경우
연질대, 중질대의 경우 투척이 용이하고 부드럽게 앞치기가 됩니다.
물론 장대로 갈수록 바람부는 날의 경우라면 채비가 너무 가벼워 투척이 어렵기는 합니다만,
암튼 무난하면서도 부드러운 앞치기가 가능합니다.
경질대의 경우 앞치기는 쉬우나 어딘가 모르게 부드러운 맛이 떨어집니다.
다음 중부력의(5~7호) 찌를 사용할 경우
연질대는 낭창거림때문에 채비투척이 어렵고(긴대로 갈수록 심해짐)
중질대 정도는 그래도 무난하게 앞치기가 가능합니다.
경질대의 경우는 당연히 앞치기도 수월해지고 어느정도 채비투척에 부두러움도 느끼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고부력의(8~10호) 찌를 사용할 경우
연질대로 3.0칸 이상 앞치기 한다는 것은 보통 실력이 아니면 힘들고
중질대 역시 그리 수월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경질대는 3.5칸 내외정도면 10호 정도의 큰 봉돌도 앞치기가 무난합니다.
즉 대의 특성과 길이에 따라 부력에 맞는 찌를 사용해야 낚시가 수월해집니다.
손맛 좋기로 소문난 연질대인 원다보론옥수 3.3칸대에 10호 봉돌의 찌를 사용한다면 정말 채비투척이 장난이 아니죠,
강원산업의 자수정드림과 같이 대물용으로 제작된 뻣뻣한 경질대에 2~3호 자부력의 찌를 사용하여 앞치기를 한다면
채비 투척이야 되겠지만 어딘가 모르게 유연함이 떨어집니다.
결국 떡밥낚시냐, 생미끼 대물낚시냐에 따라 찌의 종류를 선택해야하고
수심에 따라 장찌를 사용하느냐 단찌를 사용하느냐가 결정되어야 하며
또한 어떤 성질의 낚싯대를 사용하느냐에 따라(대의 길이도 고려하여야 함) 저부력, 중부력, 고부력의 찌를
사용하느냐 하는것도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낚시를 오래하다보면 찌가 수십개씩 늘어나게 되고 별의 별 종류의 찌를 다량으로 보유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찌의 길이는 낚시장르에 따라서 달리하시고요. 떡밥낚시에 왠지 30센티 이하 짧은찌는 매치가 아니지요?
하지만 전 찌마춤만 달리할뿐 장찌엔 떡밥만? 글세요. 고집하진 않습니다.
요즘은 찌길이를 짧게주는것이 대세라 사료됩니다만, 그만큼 장찌보단 짧은찌가 장점이 많아서 그렇습니다.
물론 수초낚시, 밤낚시, 대물낚시 선호낚시인의 증가에도 영향이 있겠지요.
특히 짧은찌의 대표적 장점이라면 투척의 용의함(무게중심이 아래로 쏠림), 밤낚시중 회수의 용의, 작은 수초포켓의 투척
이정도가 아닐지...
30이하의 경우 자신의 투척 노하우로 극복하면 되겠으나...
장대의 경우 대의 탄성과 원줄의 길이에 따라서 찌선택을 달리해야 합니다.
투척시 고부력의 무거운찌는 짧은대까지 소화가 가능하지만, 장대에 저부력은 발런스가 맜지 않습니다.
바람의 저항, 중력등등 실로 투척이 어렵습니다. 특히 바람많이 부는날 + 야간엔 쉬이~쉬이~ 장대들고 운동 ..
따라서, 소유하고 계신 찌들중 저부력은 짧은대에 고부력일수록 장대위주로 사용하면 다소 편안한 낚시를 하게 되겠습니다.
상대방께서 어느정도가 눈에 보이기에 충고 했으리라 보여집니다.
다방면의 기능성 경험이 풍부하게 되면 모든게 보인다고 여겨지기에......
경륜이 많은 이 가 어설프게 갖췄더라도 낚시란게 시행의 반복연속이다 보니 감히 얘기를 끄집어서
깊은 노하우를 못헤아리는 실수를 범할 수 도 있겠지만도.....
본인께서 아직 확고성이 안선다면 연구 대상이라 사료됩니다.
긴찌를 선택 하는것은?
1. 수심이 깊을때
2. 찌 맛을 보기 위해 (충분한 찌올림을 감상 하기 위한것)
수심이 깊은곳에 짧은 찌를 쓴다면은 충분한 찌올림을 감상 못하겠죠?
왜냐 하면 짧은찌는 조금만 올라와도 봉돌을 잡고 있는 찌의 부력이 파괴 되니까요. (붕어가 이물감을 빨리 느끼겠죠.)
긴찌는 그만큼 오랫동안 부력이 봉돌을 잡고있기 때문에 아름다운 찌올림을 한껏 감상 할수 있는 것입니다.
고로 찌의 길고 짧음은 낚시대와는 관계가 없읍니다.
참고 : 개중에는 어떤찌는 다른찌보다는 많이 올린다 하고 허위광고를 하는데 절대 그런찌는 없읍니다.
찌는 거짓말을 하지 않읍니다. 찌올림은 붕어가 올려준 만큼만 올려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