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함 해 보시지요.
보통 케미 절반이나 3/2정도 맞추어 하는데 사실 현장에서 던져 맞쳐보면
케미가 3/2인지 절반인지 잘 보기 힘듬니다.
군계일학 채비에서 저는 케미 끼우고 바늘을 뺀뒤에 좁쌀봉돌만 끼워 던져서 케미꽂이 만큼만
나오도록 맞추어 바늘 달고 합니다.그렇게 해서 맞추고 낚시할때 케미꽂이 만큼만 내 놓으면
좁쌀은 무조건 바닦에 닿아 있고요,
월레 군계일학 채비는 좁쌀 봉돌이 바닥에 닿고 바늘과 목줄이 누워 있는데 굳이
바늘 달고 부력 맞출 필요가 없더라고요.그리고 바늘의 무게에 따라 부력 맞춤을 다르게 해야 되고요.
군계일학에서는 케미 3/2지점까지 부력 맞추고
낚시할때 1마디 내 놓고 낚시를 하라고 하지만,저도 그렇게 해 보았는데 밤에 입질이 약할때는
1마디 빼놓고 하면 구별하기가 상당히 힘들어요.
저도 아는 프로분 한테서 배웠는데 상당히 좋더라고요.
함 해 보세요.
그리고 목줄은 왠만하면 가늘게 쓰세요.
붕어낚시할때 PE사 0.6~0.8정도 쯤.
즐낚하세요.
저도 위의 유료터에빠져 님과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수조에서의 찌맞춤을 전혀 하지 않고 현장찌맞춤을 하는데
목줄 하단부에 핀도레를 달아서 바늘을 끼웠다 뺐다 할수 있게 채비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바늘을 달고 찌맞춤을 할경우 바늘의 종류와 호수에 따라 나가는 비중을 계산하기 어려워 지기 때문입니다.
바늘을 때고 캐미고무 하단에 맞추게 되면 자연스레 영점은 바늘을 달고도 캐미고무 하단에 맞추워 지게 되는거죠
좁쌀채비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군계일학채비자체가 예민해서 전 줄무게나 이런거 저런거 다 감안해서 현장 맞춤합니다
수조에서 맞춰서 가니 현장에서는 안맞더라구요..
수심 2~3M정도의 양어장에서는 "캐미 2/3나오게" 맞추시고
수심2M이하는 "캐미가 다나오게" 맞추시고
3M이상이면 "캐미 살짝 나올정도"로만 맞추시면 됩니다.
이렇게 하고 캐미고무밑으로 2CM정도 내놓고 낚시하시면
좁쌀이 바닥에 안착되고 좋은 찌올림 보실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써봐야 겠네요
테클 거는것이 아니라 말씀드리는겁니다 안졸리냐졸려 님 올리신건 옜날 이구 요즘 건 케미 꼽고 마추고
자세한걸 아시려면 군계일학 홈피에서 동영상 보시는게 최곱니다 그리구 현장 찌마춤 보다는 집에서 수조 찌마춤 하구가서
하는게 시간도 훨씬 절약되고 편리합니다 현장에서 하시려면 시간좀 걸립니다 그리구 좁살봉돌이 바닥에 잘 안착되는지
수조에서 확인하는게 더 믿음이갑니다 모든 자세한 내용은 홈피에서 동영상 보시면 수조 찌마춤 현장 찌마춤 표면 장력
전부 다 나옵니다 글로 보는거보다 동영상보고 따라하시는게 훨씬 낮습니다 그럼 좁살채비 쓰는 초보조사가...
보통 케미 절반이나 3/2정도 맞추어 하는데 사실 현장에서 던져 맞쳐보면
케미가 3/2인지 절반인지 잘 보기 힘듬니다.
군계일학 채비에서 저는 케미 끼우고 바늘을 뺀뒤에 좁쌀봉돌만 끼워 던져서 케미꽂이 만큼만
나오도록 맞추어 바늘 달고 합니다.그렇게 해서 맞추고 낚시할때 케미꽂이 만큼만 내 놓으면
좁쌀은 무조건 바닦에 닿아 있고요,
월레 군계일학 채비는 좁쌀 봉돌이 바닥에 닿고 바늘과 목줄이 누워 있는데 굳이
바늘 달고 부력 맞출 필요가 없더라고요.그리고 바늘의 무게에 따라 부력 맞춤을 다르게 해야 되고요.
군계일학에서는 케미 3/2지점까지 부력 맞추고
낚시할때 1마디 내 놓고 낚시를 하라고 하지만,저도 그렇게 해 보았는데 밤에 입질이 약할때는
1마디 빼놓고 하면 구별하기가 상당히 힘들어요.
저도 아는 프로분 한테서 배웠는데 상당히 좋더라고요.
함 해 보세요.
그리고 목줄은 왠만하면 가늘게 쓰세요.
붕어낚시할때 PE사 0.6~0.8정도 쯤.
즐낚하세요.
저의 경우에는 수조에서의 찌맞춤을 전혀 하지 않고 현장찌맞춤을 하는데
목줄 하단부에 핀도레를 달아서 바늘을 끼웠다 뺐다 할수 있게 채비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바늘을 달고 찌맞춤을 할경우 바늘의 종류와 호수에 따라 나가는 비중을 계산하기 어려워 지기 때문입니다.
바늘을 때고 캐미고무 하단에 맞추게 되면 자연스레 영점은 바늘을 달고도 캐미고무 하단에 맞추워 지게 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