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용품

· 낚싯대에 관한 내용은 낚싯대포럼을 이용해 주십시오.
· 구체적인 제품명과 업체명의 언급을 권장합니다.

[질문/답변] 원자캐미 위험성은 없나요??

IP : 5aa0e7367fbccf9 날짜 : 조회 : 11362 본문+댓글추천 : 0

며칠전 중고 받침대를 두개 구입했는데 운이 좋았는지 그중 하나에 원자캐미라는것이 장착되어 있더군요. 원자캐미 원료가 방사능 물질이라고 알고있어서 사용하기 좀 찜찜하더라구요. 그래서 제 친동생이 실험실에서 방사능 물질을 다룬다고 그러길래 한번 검사해보라고 줬는데 뜻밖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방사능이 누출되더군요.ㅡㅡ; 원자캐미가 겉으로 봐선 깨지거나 하지는 않았는데... 너무 오래되어서 그런것일까요?? 아니면 원래 이렇게 방사능이 나오는 것일까요?? 며칠전 티비에서 비행기만 타도 방사능에 노출된다면서 난리던데... 이런거 사용해야 할지 고민해 봐야 할것 같습니다.
원자캐미 위험성은 없나요 (월척지식 - 낚시용품)
아래는 측정 전후 사진입니다. 0067_fishing_qna04144642.jpg └→ 원자캐미 방사능 수치 측정 전입니다. 0069_fishing_qna04152588.jpg └→원자캐미 방사능 측정 수치입니다. 위에서 보시다시피 방사능 수치가 올라간것을 확인할수 있으실 겁니다. 너무 오래돼서 그런걸까요?? 횐님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2등! IP : 50a4165102c0787
원자캐미의 경우 방사능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이 인체에 해를 끼치기 때문에 국내 유통이 제한된 것이구요.
월끄자바내라 님의 말씀처럼 엑스레이를 찍어도 방사능에 노출이 됩니다.
단 짧은 순간 노출에 의한 인체의 유해성은 떨어집니다.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지요.
그러나 종사자들은 방사능에 장기간 노출되면 위험하기 때문에 별도로 독립된(차별된)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구요.
원자캐미는 인체에 유해하니 어서 떼어 내시길 바랍니다.
늘 안출하시길 기원합니다. ^^
추천 0

3등! IP : 317644c01b97830
위 측정기구의 단위가 무언지 궁금하네요?
사진상으론 counts per sec 로 단위당 방출되는 입자의 수를 표시한거 같은데 사람이 살아가며 자연에
방사되는 양도 있는데 어느 정도의 수치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지 알아야 유해한 정도를
알수있지 않을까 싶네요?
방사능에 노출이 장시간 되면 발암 물질에 의해 인체에 해를 끼치는데 방사되는 량과 몸에 흡수되는
량과는 차이가 있는걸로 압니다
우리 낚시인들도 편리성 때문에 사용하는데 정확한 원자케미의 유해성과 그 정도에 대해 회원님들 중에
전문 지식을 가지신 분이 자세한 설명 올려주시면 많은 회원에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추천 0

IP : d476fcfcc13a02b
밤낚시를 즐기시는 월님들에게 필요한 물건중 하나인데~~~~;;;

꼭 좋은것만은 아니군요...
추천 0

IP : a7601ac97370562
측정기가 단순히 붕괴율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1초에 몇번 붕괴 했다는 것만 보여주기에.. 애석하게도.. 몸에 흡수되는 양은 알수 없습니다..^^;;

저에게 샘플이 있다면 직장에서 측정해 볼수는 있는데.. 저도 궁금하네요.
추천 0

IP : c896fae5c12116e
원자케미 방사선 노출에 대해선 대부분의 꾼들은 알고 있는 사항입니다.

꿈꾼붕어님, 지적만 하시지 마시고 좀 더 상세히 말씀해 주셨으면 합니다.
아우님께서 관련 부서에 근무하신다니 위에 나타난 수치는 어떤 수치고
어느 정도의 방사선이 인체에 해로운지 구체적인 정보를 부탁드립니다.
추천 0

IP : 1ec02e8eeccddd8
기준치는 말그대루 평균적인 측정치 아닌가요??
개인마다 적용되는게 아닌 대중적인 수치,,,
옛날에 유행한 원자찌가 사라진 이유가 아닌듯 싶습니다
편리함보다는 안전을 선택하는게 좋지않을까 합니다
추천 0

IP : 70bc81b5cb3d54d
헉 몸에 좋지 않다는데 저도 옥션이나 이곳저곳 알아보고 있는데 사지 말아야 겠네요
추천 0

IP : 21beca75bcb4780
방사능 노출이 어느정도인지 확인 가능한 분 계신가요?

+ 제가 가지고 있는 원자 보내드릴테니
+ 어느정도인지 분석해 주실 수 있는지요.

제 회원정보 보시고 연락 주세요

카운터 퍼 세컨.
-시간당 반감기를 나타낸것인지.
-유출의 단위인지. 매우 불명확한 자료입니다.

꿈꾼붕어님 측정기계의 제품명 알려주실 수 있는지요?


+++++++++++++++++++++++++++++++++++++++


군 복무 때 h3라는 방사능 물질(가늠자와 조준경등등)과 관련된 일을 했습니다.
제가 알기론 저 수치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자연상의 수치.군병기에서 나오는 수치등등 보다 낫다고 생각합니다.


불명확한 근거.
심증의 근거.
막연한 생각등등.

타인에게 불안한 감정을 조장 할 수있는 글을 게제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사람들은 점점 잊고 혹은 잊혀지고 있습니다.

100분 토론에 자주 나오는 주제와 유사하네요.

아무것도 모르는 서민들은 화들짝 놀라며 경제가 더 어려워지는건 아닌가.
기타 등등..

^^
추천 0

IP : 5aa0e7367fbccf9
주영님 전 어떠한 단정도 내린적이 없답니다. 단정은 커녕 몰라서 질문하는건데...제가 언제 불안감을 조성했다고 그러시나요.
여기 질문코너 아닌가요? 제가 알았다면 여기에 글을 올리지 않았겠죠? 제글 제대로 읽어 보셨나요? 제가 뭘 단정지었죠?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수치상으로 감지됐다 이정도인데 도대체 제가 무슨 불안감을 조성했다는건지...
제 아우는 단지 생물학적 실험을 하는데 이용할뿐 방사능을 취급하는 전문가의 입회하에 실험을 하는 거랍니다.
그러기에 정확한것은 알수 없구요. 단지 측정 기계가 있다길래 한번 측정해보았을 뿐이구요.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여기는 질문하는 곳입니다. 그래서 전 궁금한걸 질문했고 혹시 아시는 분이 계시면 답변을 해주십사 하고 글을 올렸답니다.
글을 분명히 그렇게 썼는데 댓글들만 읽으셨나...
추천 0

IP : 50a4165102c0787
^^ 주영이 형님 ^^
여기서 뵙네요.
대삼팀 멤버들은 다 여기서 활동하시는군요.
꿈꾼붕어님 오해 마시구요.
지금까지 원자캐미에 대한 논란은 개개인의 의견에 따른 것이었습니다.
꿈꾼붕어님처럼 측정 정보를 통한 논란은 처음인 듯 합니다.
그만큼 꾼들의 마음이 많이 가기 때문에 논란의 파장도 큰 법이지요.
함께 지금 그 논란의 요지는 무엇이며, 어떠한 결론을 이끌어내야 할지를 생각해봐요.
좋게 생각하면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을까요?
모두가 붕어를 만나고자 밤을 낚는 사람들 아닙니까.
서로를 이해하면서 웃으면서 대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나날 되세요.
그리고 주영이형님, 주말에 시간 되면 당구에 맥주 OK? ^^
추천 0

IP : 317644c01b97830
꿈꾼 붕어님
월척에서 많은 회원님들의 관심의 대상이고 다른 쇼핑몰에서 경매까지 이뤄질 정도의
인기 품목인 원자케미가 인체에 유해하단 소소한 의견들이 있어왔지만 정확한 유해성과
그 정도 등에 대해선 구체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접하지 못했던 대다수 회원들에겐
님의 글과 곁들인 화보에 측정전 ,측정후 수치를 대비하여서 올려주셨기 때문에 받아들이는 입장에선
어느 수치가 인체에 치명적이냐를 따지기 전에 충격으로 받아들여지는 상황이 된겁니다
저 또한 글과 그림을 보고 얼마나 놀랐는지 모릅니다
사람은 잘 모르는 부분에 대한 것에 활자나 화보등을 곁들여 어떤 매체에 표현된 것에
절대적인 신뢰를 갖게되고 판단은 차후에 하게되거든요
주영이님 말씀도 아마 저의 생각과 비슷하다고 느껴지고 꿈꾼 붕어님이 불안감을 조장했단건 아니고
인체에 유해한 수치가 얼마인가를 덧 붙이시거나 수치가 이렇게 나오는데 어느 정도 수치가
인체에 해로울까요 하고 물으셨으면 대다수 회원들이 불안하단 느낌은 조금 덜 하지않았으까
생각됩니다
꿈꾼붕어님 하얀곰님에게 샘플을 보내서 측정결과와 유해도를 알아보시면 어떨지요?
추천 0

IP : 21beca75bcb4780
알고 피하는 것과 모르고 피하는것은 다릅니다.

"꿈꾼붕어"님의 글을 문제 삼는것이 아니라
"얼추" & "대략" & "이정도면" 기타등등 의 의심 혹은 오해를 일으키는 사항에 대해
좀 더 자세히 확인하고 알아보자는 이야기를 한것입니다.

좋으면= 우아 좋구나 하며 무작정 달려들고.
나쁘면= 우아 나쁘다 하며 무작정 배척하고.

방송에서 뭐가 정력에 좋다하면 품절되고
방송에서 뭐가 안 좋다 하면 창고에 재고 쌓이고..기타등등.



위의 수치가 2.5를 가르키고 이예 "250밀리시버트(리퀴드)"라면 문제 없습니다.
다만 수치의 단위 측정이 /s가 아니라면 밑의 도표에 의거 계산을 해야합니다.
거리와 관련하여 가장 큰 수치의 차이를 보이며 단위면적당 수치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원자캐미같은 조그만 물체에서 "반지"처럼 끼고 다니지 않는이상. 별...



[.방사능과 방사선의 단위가 다르다..]
[.방사선의 경우 아래의 수치가 나와있다.]

----------------------

방사선 250밀리시버트=이상없음
방사선 500밀리시버트=백혈구감소
방사선 1000밀리시버트=구토
방사선 3000밀리시버트=탈모 방사선
5000밀리시버트=화상 방사선
7000밀리시버트=사망 방사선
9000밀리시버트
----------------------


++++++++++++++++++++++
이 후의 글은 발췌 혹은 원자력연구소의 인용문에 의거합니다.
출처와 원본글은 사이트 링크했으니 참조 바랍니다.
++++++++++++++++++++++


1. 방사능의 단위


「방사능」은 어떤 물질중의 어떤 방사성핵종이 단위시간내에 몇 번 붕괴를 일으키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주목하고 있는 물질중에 함유되어 있는 그 방사성핵종의 양과 반감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소위 발생원의 강도에 상당하는 것이다.
방사능량의 단위로서 종래엔 Ci(퀴리)가 사용되어 왔으나 국제도량형총회의 결의에 따라 Bq(베크렐)을 일본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1978년 5월). 종래의 Ci단위는 보조단위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타 중성자원 등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에 입자방출률, 바꿔 말하면 단위시간에 방출되는 입자의 방출수(/s)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1) Bq(베크렐)
주목되는 핵종의 방사능을 단위시간당 붕괴하는 원자수로 표시하는 것이다. 국제단위로는 방사능의 발견으로 알려진 베크렐(Antoine Henri Bequerel, 프랑스, 1852-1908)의 이름을 딴 베크렐(Bq)로 하고, 매초 1개의 붕괴수(disintegration per second : dps)를 1 Bq로 했다.
1 Bq = 2.703 E-11 Ci = 27.0 E-1 2Ci =27.0 pCi



(2). Ci(퀴리)
라듐을 발견한 여성물리학자 마리퀴리(Marie Curie, 폴란드태생 프랑스과학자, 1867-1934)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현재 보조단위로서 사용되는 Ci는 역사적으로 1g의 Ra-226의 방사능량을 기준으로 해서 정해진 단위로서, 매초의 붕괴수가 3.7 E+10에 상당하는 방사능의 강도라고 정의된다.
1 Ci는 3.7E+10 Bq과 같다. 여기에는 mCi(3.7E+7 Bq), μCi(3.7E+4 Bq), pCi(3.7E-2 Bq)가 있다(통상, Ra-226의 방사능에는 그 딸핵종도 기여하고 있으므로 1 Ci는 3.7E+10 dps로 고쳐 정의하고 있다.)
1g의 백금(Pt)판속에는 천연방사성핵종인 Pt-190이 약 3.4 pCi(피코퀴리 0.125 Bq) 함유되어 있다. Pt-190은 α붕괴하는 핵종으로 1g의 백금은 매분 7∼8붕괴의 비율로 α붕괴하고 있는 계산으로 된다. 현재의 일본인 체내에는 0.1 μCi(3700 Bq)의 방사성칼륨(K-40)이 함유되어 있다.
1Ci = 3.7E+10 Bq = (3.710 Bq)


(3) 입자방출률
중선자원 등의 강도를 나나태는 단위에 입자방출률, 바꿔 말하면 단위시간에 방출되는 입자의 방출수(/s)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4) 방사능단위의 변환
http://www.atomic.or.kr/atomica/figure.html?chapter=18-4-2-1&fig=T&num=1 에 신구 방사능단위의 변환을 보여 준다.



2. 방사선의 단위


「방사선」의 양은 방사능과 같이 발생원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어떤 주목하고 있는 물질중의 어떤 장소를 통과하는 방사선의 수, 또는 방사선이 통과함으로써 그 물질이 흡수한 양(예를 들면 전리량, 발생이온쌍의 수, 흡수에너지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소위 방사선의 「장」의 강도, 혹은 방사선의 통과량에 상당한다. 따라서 방사선의 통과에 따르는 어떤 양에 주목하는가에 따라 많은 종류의 「방사선의 양」이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는 주요한 몇 가지에 대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1) 입자플루언스
어떤 장소를 통과하는 단위면적당의 방사선 입자수. 입자 플루언스 「율」이라고 하는 경우는 단위시간당의 입자플루언스를 나타낸다(이하 같음).


(2) 흡수선량
어떤 장소에서 어떤 물질중에 흡수된 방사선에너지양. 구단위계에서는 방사선의 통과에 의하여 주목물질 1g중에 100 erg가 흡수되는 것을 1 rad(라드)로 표시해 왔으나 현재는 Gy(그레이)를 사용한다( Gy=100 rad).


(3) 조사선량
방사선의 통과에 의하여 발생한 전하량을 기준으로 하는 개념. 표준상태(0℃, 760 mmHg)의 건조공기 1cc 중에 1 esu의 전하를 발생한 경우를 구단위계에서는 1R(뢴트겐)으로 했다. 이것을 신단위계에서 나타내면 2.58E-4 C(쿨롬)/kg에 상당하는데 이미지가 잘 떠오르지 않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한편 조사선량은 공기에 대한 흡수선량과 같은 것이며, Gy단위란 1 R=8.7 m(밀리)Gy의 관계가 있다. 보통의 자연γ선 선량률은 수μ(마이크로=1.0E-6)R/시이며 이것을 Gy로 표시하면 수 10 n(나노=1.0E-9)Gy/시로 된다.


(4) 선량당량 및 실효선량당량
신체의 일부 또는 장기(예를 들면 위)에 주목하여 그 부위가 받게 되는 흡수선량에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를 고려하여 결정한 선질계수 QF를 곱한 양을 선량당량이라 한다. 이것은 그 장기에 대한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방사선방호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단위는 rem(렘: 구단위계)과 Sv(시버트:신단위계, 1 Sv=100 rem)를 사용하다.
실효선량당량 HE는 체내의 모든 장기 i에 대하여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과 발암리스크를 고려한 가중계수 Wi를 정해 두고, HE=∑Di×Wi(Di는 장기선량)에 의하여 주어진 것으로, 신체 전체의 방사선영향을 나타내는 양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실효선량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정의는 거의 같은 것이다.
이상의 것들을 정리해서 http://www.atomic.or.kr/atomica/figure.html?chapter=18-4-2-1&fig=T&num=2에 보여 준다.



자세한 내용은 출처의 사이트를 보세요.



출처: http://www.atomic.or.kr/atomica/list.html?chapter=18-4-2
추천 0

IP : 317644c01b97830
주영이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위에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요즘 밀리 시버트란 단위는 안 쓰고 예전에 아는 분이 원자력 분야에 근무하시다
몇해전 스웨덴으로 가셨는데 인체에 흡수(?) 되는걸 렘이란 단위로 쓴다고 하셨던거 같아서요
물론 정확하게 제가 기억하는건지도 자신이 없습니다
논란의 요점은 우리가 사용하는 원자케미 하나의 유해정도를 아는건데 주영이님 좋은 방법 없을까요?
꿈꾼 붕어님의 측정기구 단위만 알더라도 주영이님의 지식으로 계산공식에 넣는 방법이
있을거도 같은데요
추천 0

IP : 5aa0e7367fbccf9
제가 글을 올렸던 첫번째 이유는 제가 소지하고 있는 케미가 균열등으로 인한 이상때문에 방사능이 누출하는가 하는 거였습니다. 그러니까 원래는 방사능이 누출되지 않는데 실험에 쓰인 제품만 그런것인가 하는 거였죠.
아무튼 어쨌든간에 회원님들게 불안감을 조성했다면 정말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일단 하얀곰님께 측정을 의뢰하고자 쪽지를 보냈는데 아직 답변이 없으시네요. 답변 오는데로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그리고 위 실험 기계의 이름은 모르겠고 단위는 chosa님의 말씀대로 cps 랍니다.
추천 0

IP : 55070f56ee86d70
주영아~~~~

거 왜 이해하지도 못하는글 올려놔서 머리복잡하게 만들어?
그러지말고...
이기회에 주영이가 모든낚시인이 불안해하고 찝찝해 하는 원자에 대해 속시원히 해답좀 줘바.
윗글같은 방사능 이론말고...
낚시인이 원하는 1차적인 궁금증에 대해...
먼저....우리가 쓰는 원자가 우리인체에 어느정도 유해한지..??
또 누구나가 경험해봤을 ....
원자가 깨지고 그 깨진원자를 만졌을때 어느정도 인체에 유해한지??

내가 한..15년전 쯤에 받침대에 끼워져있는 원자를 뭔지모르고 떼어버리다가 그만 깨진적이있었거든..
다른회원님들도 아마 ...
끼워진 원자를 다른받침대에 옮겨 붙히려다가 깨뜨려본 경험들이 있을겁니다....
그땐몰랐는데....지금생각해 보니 좀 찝찝하네...

이런 궁금증을 좀 속시원히 해소시켜주면 안될까??

알켜주믄... 내가 나중 출조때 햇반하고 우거지해장국 쏜다!!!!!
추천 1

IP : a6fea485821e4da
주영이님

원자를 남대문에서 구해다 주시질 안나

원자캐미를 분석 결과까정 대단하십니다

그런데 열받느것은 뭐냐하면

낚시대 만들고 낚시용품 팔고 낚시싸이이트 운영하고 기타등등

각 생활체육협회라든지 하요튼 낚시에 관련되있는 모든 분야에서는

그어누 한군데에서도 다만 판매 중지만 되있었지

원자에 대한 인체에 유.무해에 대한 경고 아님 안전에 대해 언급을 안하니

쓰는 더덜이 알아봐서 유해하면 쓰지 말구 무해하면 쓰라 이것인가 ~~~

좀 답답할 노릇입니다

야밤에 또 주저리 떠들었네요

아무튼 주영이님에 열정은 대단하십니다
추천 0

IP : e28c27336aa0da6
맨날 눈팅만 하다가 글을 써보네요... 방사선사인 제가 봤을땐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될꺼 같습니다... 저희는 평생을 살아가면서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방사선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면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 입니다.. 자연방사선은 고도가 높을수록 더 쌥니다.. 그래서 항공승무원들이 많이 노출되어있죠... 새로 지은 집에도 자연 방사선이 쌥니다... 인간이 평생을 살아가면서 자연방사선에 노출되는 양은 결코 무시 못합니다.. 그거 무서우면 납으로 집짓고 태양한번 안쬐고 평생 거기서 살아야 됩니다..인공방사선에는 대표적인 경우가 의료용 방사선이죠...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중 거의 대부분 병원에서 사진 한번이상은 찍어 봤을 겁니다.. 가장 많이 물어보시는게 방사선 많이 쬐면 몸에 나쁘지 않아요??? 이겁니다.. 차라리 커피 한잔과 담배 한대를 줄이십시요... 원자캐미로 목걸이를 만들어서 걸고 다니시지 않는한 저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물이 자정작용을 하듯이 사람도 방사선에 노출되어도 정말 많은 양이 아니면조금 시간이 지나면 원래로 돌아갑니다.. 방사선과 사람들은 대머리만 있고 정자 꼬리가 짤려 나온다더라... 저희 병원 방사선과 70명 중에 대머리 한명도 없고 기형아 출산자 한명도 없습니다... 다 소문일 뿐입니다.. 말이 길어졌는데 물론 좋은건아닙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그렇게 걱정하실 정도는 아니라는 겁니다.. 근데 아직도 저는 원자캐미가 방사능 물질이라고 믿기질 않네요... 혹시 정확히 성분을 아시는 분 계신가요???
추천 7

IP : 532b4640feeba8c
"하늘이 무너질까? 땅이 꺼질까?" 어디 무서워서 살겠습니까.
아는게 병이고 세상에서 아는게 가장무섭습니다.
모를땐 그냥 모르고 맘편히 살았는데...,

내 낚시 받침대마다 두개씩 원자가 장착 되었는데 어찌 해야하나?

"폭탄방사" 님께 추천 한방 꾹 누르고 가렵니다.
추천 0

IP : bb5079a2548222d
원자캐미에 참 많은 내용의 꼬릿말이 달렸네요.. 참 민감한 부분이죠..

자연과 함께 낚시를 즐기는데.. 난데없이 원전도 아니고 방사선 이라니.ㅎㅎㅎ

꿈꾼붕어님이 원자캐미를 하나 선물로 주신다고 하셔서..(사실은 제가 꿀꺼억~ 냠냠냠)

받는데로 측정을 해볼 생각입니다..

일단 ion-chamber로 해보고.. 구워놓은 TLD가 준비되어 있다면... 착 붙여서 24시간동안 둬 보면 알수 있을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c896fae5c12116e
원자케미 필요없으신분 버리지 마시고
착불로 보내 주셨으면 합니다.^^*
추천 0

IP : 55dc20da61b983c
원자캐미 제가 아주 어렸을때로 원다 알파라는 받침대에서 도 봤는뎅
그땐 더구하기 힘들었을까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