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대물 붕어에 대한 기억!!

IP : a11f4ebb92159f0 날짜 : 조회 : 3577 본문+댓글추천 : 0

'대물붕어'의 진위여부와 기록에 대하여 제가 기억 하고 있는대로 글을 올리니 저보다 잘 알고 계시는 조사님들이 계시면 틀린점을 댓글이나 전화 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아래의 박제 사진은 현재 제가 보관하고 있는 사진이며 얼마전에 여기 월척 사이트에 제가 올렸던 사진 입니다 제가 이 사진을 입수 하게된것은 1988년도 당시에 십수년간낚시를 하면서 출조시에 월척을 잡으면 개인 기록갱신을 위하여 출조지 등을 같이 적어 박제를 해왔었었는데 당시 서울에는 유일하게 동대문구 창신동에 소재한 "한국 야생동물 학원" 이란곳에서 어류의 박제를 했었으며 또한 원장님이신 "전대식"씨는 어류 박제 계통에서는 인정을 받으시는 분이셨읍니다 당시 저역시 4짜정도의 붕어를 잡아 박제를 하기위해 "동물학원"에를 가게 되었는데 원장님이 냉장고에서 보관이 잘 안되어서 심한 악취를 풍기는 큰 고기의 사체를 보여주시며 "이것이 송악지에서 잡힌 64센티 붕어다"라고 하시며 "박제 의뢰가 들어왔는데 많이 상해서 잘 될려나 모르겠다"고말씀 하셨고 그후에 제가 제 붕어의 박제를 찾으러 갔더니 64센티 붕어의 박제 사진 이라며 사진을 3장 주셔서 조우들에게 2장은 나누어주고 나머지 1장만 보관하고 있는것입니다 그때 본 대물붕어는 상하기도 상했지만 어딘가 모르게 2년전인 86년도에 온 낚시계를 떠뜰석 하게 했던 86년도에 낚시 잡지에서 사진으로봤던 62센티 붕어 하고는 좀 다르게 느껴졌읍니다 첫째는 붕어 체형이 비록 죽어 있는 붕어라 해도 좀 길다랗게 말라 보였고 비늘 역시도 둥그러운 붕어 비늘 형태 보다는 날카로운 각을 이룬 마름모 형태의 잉어 비늘 형태 같이 보였으며 암튼 당시에도 잉어 붕어는 구별 할줄 알았던 제눈에도 순수한 토종붕어로 보이지는 않았읍니다 토종붕어의 공식 기록이 없던 그시절! 86년의 아시안 게임에 즈음하여 86년도에 62센티 토종붕어를 충북 육령지에서 "김종인"조사님이 대낚시로 잡아내심으로 당시의 낚시계나 학계에서 공식기록붕어로 인정을 하게되었읍니다 당시 62센티 토종붕어의 출연은 많은 학계 관계자들의 검증을 거쳐 순수 국내산 토종붕어로 인정을 받았으며 당시에 아시안게임에 경사로운 기록 이라며 떠들썩했던 기억은 낚시를 오래 해오신 조사님들은 모두 아실겁니다 62센티의 붕어 기록이 20세기에는 깨지지 않을것 같더니 불과 2년후인 88년 올림픽 해에 충남 송악지에서 64센티 붕어가 잡힘으로 당시에 새 기록경신이다 뭐다 해서 무척 시끄러웠는데 이 붕어에 대한 화제는 이상하게도 얼마 지나지 않아 잠잠해 졌읍니다 당시에 제 기억 으로는 "릴'낚시로 잡았다는게 첫째 이유였고 두번째는 "토종붕어'가 아닌 잡종붕어 같다는거 였읍니다 암튼 당시 낚시 잡지사 초보기자의 오보 였는지 아니면 잡지사의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 일으키기위한 의도적인 오보 였는지는 몰라도 64센티 붕어의 출연은 88 올림픽의 흥분된 분위기에 편승 하였었지만 대물 붕어 사진과 토종붕어의 진위여부는 86년도의 62센티 붕어가 당시 5대일간지의 지면을 장식 했던 것에 반하여 별반 큰 화제를 불러 일으키질 못하고 잠잠해지고 말았읍니다 그후 90년대에 철원의 토교지에서 60센티가 넘는 "혹부리붕어"의사체 사진이 낚시잡지에 실리면서 또다시 대물붕어가 낚시인들 사이에 화제가 된적도 있었읍니다 당시에 저는 철원의 모 낚시점을 방문 하여 냉장고에 보관된 60센티 정도의 혹부리 붕어의 사체를 직접 보고온적도 있읍니다만 당시에 대물붕어를 본 느낌은 "와! 대단하디" 였고 바다 고기인 도미 같이 대단한 체구의 붕어 였으며 순수한 토종 "혹부리 토종붕어'라고 보고 느끼고 왔었읍니다 다만 아쉬운점이 있다면 왜 해마다 토교지에서는 60센티가 넘는 대물 혹부리 붕어가 낚시로 잡은거든 그물로 잡은 붕어 이든 죽어서 물에 떠 있는 붕어이건 여러마리가 목격이 된다는데 왜 공식적으로 체계적인 조사가 안되냐는것입니다 제가 아는 대물 붕어의 공식 기록으로는 86년도 육령지의 62센티 붕어가 순수 토종 붕어의 기록 이라 생각 합니다 아무리 큰 대물 붕어라 하여도 공인 받지 못한 붕어는 기록 붕어가 안되는것입니다 이 글을 마치면서 조만간에 제가 10여년전쯤에 "토교지"에 대물 혹부리 붕어 잡으러 갔다가 낚시대는 펴보지도 못하고 대물 붕어 구경만 하고 총맞아 죽을뻔한 이야기를 간략 하게나마 올려 보겠읍니다^^
대물 붕어에 대한 기억 (월척지식 - 대물낚시)

1등! IP : a11f4ebb92159f0
* 사진 첨부가 잘 안됩니다
'파란물고기'님이 올리신 대물 붕어 박제 사진을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3등! IP : 21ab0d2d360c1d4
토교지 공식적으로 체계적인 조사가있으면 진짜 좋을거 같습니다
추천 0

IP : 4211a0b4bb9531e
국현성재님의 글이 많은걸 느끼게 합니다...

어쩌면 이게 우리나라 낚시계에 현실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그리고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겸비된, 그런 공인낚시문화단체가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어쩌면 국내 어류학자들 보다 우리 뭇꾼들의 현장속에 눈이 더 예리한것같이 느껴져 드리는 말씀입니다..

저 역시 충북음성 육령지에서 낚인 붕어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어쩌면 64cm 송악지 붕어(?)때문에 62cm 육령지붕어가 묻히게된것 같아 참 안타깝습니다..
추천 1

IP : 5079663bdc5a591
강녕 하시온지요.

장문의 글 올리시느라 수고 많으셨읍니다.

잘 읽고 상식 하나 얻어서 갑니다.

내내 건강 유의 하시길 바라오며..(_._)
추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