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대물낚시 수평찌맞춤에 함정있다?

IP : 3cfc16ba6ceee12 날짜 : 조회 : 7764 본문+댓글추천 : 0

대물낚시 찌맞춤의 기본은 무거운 찌맞춤인데 좀더 예민하게한다고 채비다하고 수평찌맞춤을하면 어떻게될까요? 가끔 댓글을읽다보면 대물낚시는 찌맞춤 무거울필요없다고하는 글도많이보게되는데 저는 무거운찌맞춤의 가장예민함은 채비다하고 봉돌이 바닥에 억지로 닿는거고 수평찌맞춤은 바보낚시라고봅니다. 예민할려면 내림찌맞춤에 미끼만 살짝들려도 찌가올라오게맞추던지 아니면 봉돌이 살짝바닥에 닿게하던지 둘중에 하나라고보는데 내림찌맞춤은 채비안착에 어려움때문에 힘들것같고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왜 수평찌맞춤을 바보낚시라고했냐면 집에 수조통이나 욕조에 물을담고 직접실험해보세요 보통 대물낚시하는분들은 목줄을 평균적으로 10센치 길게는 15센치까지 쓰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수평찌맞춤을하고 미끼를끼우고 수조통에 넣고 미끼나 바늘에 가는줄같은걸 묵고 한번들어올려보세요 그러면 왜 바보낚시라고했는지 알수있을겁니다. 목줄15센치쓰고 수평찌맞춤을하면 붕어가30센치를 들어올려도 찌에는 아무반응도 없습니다. 붕어로서는 최선을다한거죠 목줄곱하기2가 사각지대가되죠 수심50에서 목줄15를쓰고 수평찌맞춤을하면 붕어가 31센치들어야 찌는 1센치올라옵니다 수평찌맞춤은 미끼만들면 찌가 올라온다고 착각하시는분들은 지금바로 수조통에서 직접실험해보세요 착각하고 계신분이 많을거같아서 한번올려봤습니다.

2등! IP : cf47795325d7a1b
설명 들어갑니다

수평찌맞춤을 낚시할때 봉돌을 땅에 닿게하거나 아니면 약간 떳다하더라도 목줄이 15cm이면

목줄이 일자로 펴지지 않아서 봉돌과 붙어 있더라도 붕어가 미끼를 16cm만 덜어올리면 찌에

어신이 나타납니다 밤이 깊어서 긴글은 독수리라 시간이 걸리네요

저 채비를 잠깐 소개합니다

수평찌맞춤에 목줄 필라멘트사 30cm 사용합니다

만약에 미끼가 봉돌과 붙어있다면 30cm 이상 들어올려야 어신이 나타나지만 일자로 곧게 펴져 있다면

약간의 입질에도 어신이 나타납니다

대물낚시에서 채비안착은 무거운 찌맞춤에 있기보다는 채비가 떨어질때 관성에 의해서 안착이됩니다

글로 쓰기엔 설명이 매끄럽지 못하네요

한번 실험삼아 해보세요

사시는 곳이 경산인것 같은데 저도 경산 진못에서 자주 들이댑니다
추천 1

3등! IP : bf9cccd0875e29d
현장에서 케미.봉돌. 바늘달고 케미 삼분의일 나오게 맞추고 5cm 정도 찌를내놓고 하면 됩니다 [대체적으로]

목줄은 대체로 7~8cm 정도 사용하면 됩니다

수심이 80cm 이하에서 외바늘로 새우미끼로 갓낚시 할때는 목줄10cm 정도 사용합니다

만약에 수초가 많은곳 이라면 봉돌을 수초사이로 내려야할때는 찌를 10cm 이상 나오게하여 [찌를 올리면 봉돌이

수초사이로 안착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사용하면 됩니다 목줄이 너무길면 사각지대가 많이 발생합니다 15cm은 너무긴것 같습니다

사각 지대를 없애는 제일좋은 방법은 외바늘 채비 뿐입니다

목줄7~8 cm 에도 사각지대는 발생합니다 그러나 5치이상은 무리없이 찌를 올려줍니다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 합시다
추천 1

IP : 6c468efee2419b3
안녕하세요...

목줄이 길면 입질 받는데 유리하다는 라이온킹님에 설명을 기다려봅니다...

물론 바닦에 상태에 따라 틀리겠지만요...맹탕&수초

과연 우리가 미끼를 달아서 체비를10대를 투척하면 목줄이 일자로 곧게펴지는 목줄이 몇대일까요??

30cm 목줄을 사용하신다 하기에 깜짝놀라서 문의 드립니다...사각지대가 만만치 않을것 같아서요.^_^*

메리 크리스마스~~~
추천 0

IP : 6c468efee2419b3
참고로 저는 10cm이상에 목줄을 한번도 사용해본 경험이 없습니다.^^*
추천 0

IP : 2dbcb381f6077d7
목줄길이에 대해 사각지대가 생긴다는
말은 잘납득이 가지않습니다.
모프로그램을 보면 갓낚시를 하시는 분은 수심이 얇은
곳을 공략하기위해 목줄길이를 자유롭게 하기위해서 스톱파을
사용하고있습니다..그분목줄은 최소 20센치가 넘습니다.
그런데도 찌올림에는 변함이 없다는 겁니다..
그이유인즉 대부분 물고기는 수직상승을 못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느정도의 사각지대가 있겠지만 큰차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물낚시에서 수평찌맞춤를 하지않는 이유는 험한 수초대나,생미끼의 움직임
때문이 아닐까요?
오늘은 즐거운 성탄절 메리 크리스마스^^
추천 0

IP : 52bbb89f24c4120
저도 라이온킹님의 목줄 30cm???가 궁금합니다.

너무 생소해서리~~퇴적된 뻘바닥에서도 15cm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정답은 없다 보지만 그저 꽝꾼은 선배님들 노하우를 경청하겠습니다.^^
추천 1

IP : 892b6a23385d003
목줄이 15cm인데 어떡게 30cm를 들었는데도 찌가 안올라 옵니까>
상식을로 생각 해도 그건 아닌데 ~ 혹시 설마 수평맞춤하고 그상태에서 미끼달고 실험하신건 아니지요 ^^

수평맞춤을 하던 영정맞춤을 하던 마이너스 맞춤을 하던간에 어차피 붕돌은 바닥에 다아있어야 그것이

기본아닌깜유~~ 그렇게 따지면 떡밥 낚시에서 예민한 마이너스 맞춤으로 간다면 어떡게 기를 잡을까요~

수평맞춤을 하던 무겁게 하던 붕돌은 바닥에 닫도록 하는 것이 정석인디~ ^^
추천 0

IP : 56326e545a9bfae
라이온킹님께서 말씀하신 단순히 목줄 30센티는 의미가 없는듯 하구요

올리실때 찌길이 ,부력 ,찌맞춤 기타등등 찌에 대해서도 같이 올려주시면 좋겠네요

당연히 목줄이 길수록 입질 받는데는 훨 유리한게 사실이죠

요건 느린찌올림님께서 올리신 강좌란에서 이미 얘기가 되었기에 중복하지 않겠습니다

얘기가 조금 옆으로 빠진거 같은데 질문 올리신 오짜붕어님의 의견에 귀를 좀더 귀울여야 될것 같네요

사각지대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는데요

목줄이 10센티라고 해서 실제 사각지대가 그 숫자의 두배가 되진 않습니다

왜 그런가하면 봉돌과 목줄이 바닥에 안착되고 붕어가 접근하여 미끼를 흡입할때

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바늘에 줄을달아 살며시 드는게 아니라 말 그대로 흡입을 하기 때문입니다

물에서 순간적으로 빨아들이는 현상이기에

봉돌과 목줄이 이루는 각도가 15에서 20도쯤 이루면 봉돌이 들려지고 찌에는 예신이 오고 본신으로 이어집니다

수고하세요^^
추천 1

IP : 3cfc16ba6ceee12
채비를 다하고 수평찌맞춤을 하고 대물낚시 보통 밤이되면 케미를 수면과 일치합니다. 간혹 3센치를 내놓고하더라도 수초에걸려있다가 잔챙이가 건들면 수면과 일치하는건 흔히봅니다. 이렇게됐을때가 문제인데 이때는 목줄길이 곱하기 2가 그대로 사각지대로 생기게됩니다. 찌톱을 내놓고 밤에도한다면 문제는다른데 그러면 찌톱내놓은 양만큼 하중으로 작용되기때문에 내놓는양에따라서 봉돌이 바닥쪽으로 내려갑니다. 케미를 내놓고 낚시한다는게 눈도피곤하고해서..... 일반적인 수평찌맞춤에 케미를 수면과 일치시키면 바늘만 바닥에닿고 봉돌은 꼿꼿이 써 있게되죠 이러면 무조건 목줄길이 곱하기2가 사각지대로 작용합니다. 그래도 이해가 잘안가시면 직접 수조통이나 더확실히 현장과 똑같이할려면 욕조에 물담에놓고 한번실험해보시길....
추천 0

IP : bd400e2bd44d262
합사의 경우에 목줄 10센티 이상은 득보다 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목줄이 길다고 입질 받기가 쉬울 아무런 이유도 없는 것 같습니다.

바닥이 뻘층이라든가, 말풀이 올라오는 바닥이라든가..
너무 지저분하다 던가 해서 목줄을 길게 쓴 경우가 아니라면~
목줄은 6~7센티가 적당한 것 같습니다.

행여~붕어들에게 이물감을 주지않기 위해 목줄을 길게 사용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10 센티를 넘을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이야기는 합사줄을 목줄로 쓰는 저의 경우이지만~
모노줄을 목줄로 쓴다고 해도 15센티 이상은 무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추천 0

IP : 3cfc16ba6ceee12
내림낚시는 목줄30센치쓰도 바늘을 들면 찌는 잘만올라오는데 하시는분은 내림낚시는 찌맞춤을 수평찌맞춤을 하지않습니다.
그보다 훨씬가볍게맞추죠 몇목에 맞추고 몇목을 내놓고한다 이러는데 보통 그상황에선 미끼만들면 찌는 올라옵니다. 떡밥달았을때랑 떡밥이 떨어졌을때는 찌톱목수에 변화가생기죠 백번 말을하는거보다 한번보는게 낳다는 말이있습니다 수조통에서 직접실험해보세요 아니면 욕조에물담고 손을 집어넣어서 붕어같이 손으로 흡입하면서 똑같은상황으로 한번실험해보심이...
추천 1

IP : e6091c77fdb1e6a
1급 정보 유출 ㅎㅎ 메리크리스마스 부킹하러 고고고 하나걸리야될긴디 입질올려나 아우우웅
추천 0

IP : c17e06394caaf54
저도 송귀섭님이 발간하신 책을 읽었는데 예지인님이 올리신 글이 정답인것 같네요.

목줄이 너면 짧게 해도 안되고 또 너무 길면 붕어가 입질시 부담이 있어서 거부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보통 5~7센치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c78637bfc09dce1
많은 고수님들의 좋은 의견 잘 읽어 보았습니다

민물낚시 만큼 이나 다양하고 개인의 노하우까지 더해진 복잡한 채비는 없을것 같습니다

수평찌맞춤이나 가감을 하는 마이너스나 약간은 무거운 찌맞춤이나 정답은 없습니다

목줄의 길이에 따른 (길거나,적거나) 차이와 상관없이 찌올림은 항상 있습니다

목줄이 짧으면 제한적이나마 이물질에 대한 부담을 조금 더 빨리 느낄것이고

목줄이 길면 안정적인 챔질 타이밍을 잡기가 편할거라 생각 합니다

제가 알기론...............

붕어가 입질시의 반응을 수조 에서의 실험 방법은 제한적일수 밖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채비는 투척후 원줄과 함께 사선을 그리며 입수 합니다

그래서 봉돌과 바늘에 단 먹이와 따로(옆으로 벌려져) 바닥에 놓여 있는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생미끼를 사용하는 외바늘 채비의 경우 수심이 대부분 앝은 관계로 옆으로 벌려져 착수하는 경향이

깊은 수심의 떡밥낚시에 비해 더 많습니다

그리고 수조에서 처럼 수직으로 채비를 들어 올리면 문제 제기를 하신것처럼 목줄의 길이의 2배 가 되어야 찌가

상승하기 시작 합니다

하지만 현장에선 약간 다릅니다 수조처럼 수직이 아닌 먹이가 있는 측면에서 붕어가 먹이를 흡입 합니다

일자로 수직으로 채비를 드는것과 측면에서 흡입하며 드는 방식은 완잔히 다릅니다

좁은 수조에서 말고 동네 목욕탕 같은 넓은 곳에서 채비를 준비하고 측면에서 실을 묶어 바늘을 들어 보세요

수조의 실험과는 다르게 사각지대에 의한오차도 줄고 찌의 움직임도 생각처럼 목줄이 2배가 들리지 않아도 찌는 올라갑니다

외냐하면 붕어가 먹이를 흡입할때 원줄과 목줄과 먹이가 일직선으로 있다고 생각하면 같이 수직으로 일자로 서서

먹이를 취하여야 하는데 그건 불가능하고 보통 측면에서 먹이를 흡입하고,

모두들 아시겠지만 약간 45 도정도 몸을 기울인후 먹이를 취합니다

붕어의 배가 바닥에 닿지는 않는다는 겁니다

바닥에서 붕어의 배가 떠 있는 공간만큼 원줄의 길이가 줄어 들기 시작하고 측면에서 흡입하는 동시에 머리를 들면

또한 그만큼의 길이가 줄기 때문에 찌가 오를수밖에 없다고 생각 합니다

적당한 찌맞춤이 이루어졌을때 분명히 찌는 오릅니다

수평 찌맞춤후 케미의 일부를 내놓거나 찌톱 및 한마디 까지 내놓고 낚시를 하는 이유는

채비의 안정감(대류나 바람에 의한 채비의 흐름방지)과 봉돌의 안정적인 안착으로 붕어의 경계심을

덜기 위함이지 찌가 오르지 않기 때문은 아닌것 같습니다

글로 표현 하려니 어렵긴 하네요....

지식도 짧구요.......

다만 한가지 제가 확신하는 하나는 개개인의 어떤 채비든 모두가 맞다는 겁니다

**** 모든분들!! 내년엔 꼭 498 을 기원 해 드립니다 ****
추천 1

IP : c78637bfc09dce1
추가로 말씀 드립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채비를 다달고 하는 찌맞춤의 경우, 바늘이 크거나 고부력의 찌를 사용할경우 일수록

약간 무거운 찌맞춤이 찌의 상승이 더욱 좋아 집니다

그리고 케미나 케미꽂이를 노출시킬때와 시키지 않을때의 표면장력은 상당히 큽니다

약간 가벼운 찌맞춤의 경우 시험해보시면 압니다

잘 올라가던 찌라도 케미를 수면과 수평으로 할경우 찌는 물밖으로 올라가지를 못합니다

그만큼 표면장력의 영향이 큰것 이지요 ..........................
추천 0

IP : 45165f4d4b0a7e9
오짜붕어님 말씀처럼 찌맞춤을 한다면,

바늘 및 미끼 포함 수평찌맞춤이므로 봉돌만 단 상태에서는 자연히 마이너스 채비가 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붕어가 흡입 후 목줄 길이의 2배만큼 들어올려도 찌에 어신으로 표현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해합니다.

대물찌는 떡밥찌 대비 자중이 훨씬 많이 나가므로(부력 대비 자중비 높음) 바늘과 가벼운 미끼를 추가로 달아도 찌에 상대적으로 표현이 덜 될 것 같습니다.
따라서 수평찌맞춤을 하더라도 봉돌만 단 상태에서 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것 같으며,
그럴 경우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는 상태가 되므로 목줄 길이에 따른 사선이 감안된 만큼만 들어줘도 어신 표현이 될 것입니다.
물론 수조에서 찌맞춤을 한 것과 현장의 부력은 수온, 탁도 등에 의해 미세하게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미끼를 단 상태에서 수평찌맞춤을 한다면 어신이 초기에는 껌뻑이다 옆으로 기는 형태로 나타날 것 같다는 느낌을 가져봅니다.

연구하고 토론하는 스토브리그가 또한 묘미가 있군요^^
추천 0

IP : b1bbfbc6b7f0b1b
반가버요 오짜붕어님!

여기에 질문 올리시면 상반되는 답글로 더 혼란스러워 질수 있습니다.

댓글은 참고만 하시고 자신만의 노하우를 만드세요/\

자동빵전문ㅇ딘 저가 드리고 싶은말입니다.

걍 그데로 두면 뒤질놈은 걸려 있습니다. 공포의 자동빵~~하지만 방생합니다.(가끔은 매운탕하지만요)

자동빵이 잘되려면 목줄 30cm이 유리할수도~~~~~~~~~~~~~``
추천 1

IP : 3cfc16ba6ceee12
붕어선수님이 잘설명해줬네요 표면장력이생각보다 엄청나죠 그것때문에 어러각도로 흡입해도 못올라오게 표면장력이땡기는겁니다 수평찌맞춤의 시작으로부터 벗어날때까지 봉돌을깍아보면 상당한량이란걸 알수있을겁니다.
추천 0

IP : 448f8a7c8b66a52
찌맞춤

수평맞춤보다 아주조금 더 무겁게 합니다

목줄은 5~7센티정도로 사용합니다

복잡한 말은 쓰지 않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추천 1

IP : 9d125b916de8010
0점 찌맞춤과 수평 찌맞춤의 차이를 확실히알고 넘어가야 할듯합니다...
추천 1

IP : 470769dc90be33a
영점 마춤과 수평 마춤의 개념이 각각 다르게 이해 하는거 같은 느낌 입니다.,

어떤 사람은 봉돌만 달고 영점 수평 하시는 분도 있고,,어떤 분은 모든 채비 달고 마추시는분 있고,,

현장 마춤이냐,,수조 마춤이냐,,다 다른거 같네요,,

오짜 붕어님이 말씀 하신 수평 마춤이 모든 채비 달고 수평 마춤이신지? 아니면 봉돌만 달고 수평 마춤이신지 ( 수조에서 )

모르겠네요,,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만,

대물 낚시,,무거운 찌마춤,,큰바늘,,생미끼,,

자동빵 낚시라고 생각 합니다,
추천 0

IP : 470769dc90be33a
영점 마춤과 수평 마춤의 개념이 사람 마다 다 다른거 같어요

어떤 사람은 봉돌만 달고 영점 수평 하시는 분도 있고,,어떤 분은 모든 채비 달고 마추시는분 있고,,

현장 마춤이냐,,수조 마춤이냐,,다 다른거 같네요,,

오짜 붕어님이 말씀 하신 수평 마춤이 모든 채비 달고 수평 마춤이신지? 아니면 봉돌만 달고 수평 마춤이신지 ( 수조에서 )

모르겠네요,,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만,

대물 낚시,,무거운 찌마춤,,큰바늘,,생미끼,,

자동빵 낚시라고 생각 합니다,
추천 0

IP : 3cfc16ba6ceee12
제 설명이 모자라거나 이해가 덜됐다면 군계일학 홈페이지에 성제현씨가 동영상강의1편 2편에 자세히 설명해주네요
추천 0

IP : b081cfa3d1608d9
글을 첨부터 쭉~ 읽어보니,, 참으로 답답하다는 생각뿐이네요..^^;
위에,, nubirago님께서 말씀하시듯이..
" 영점찌맞춤 "과 " 내림.. 찌맞춤 " 또는,, " 중층.. 찌맞춤 "등등..
대물낚시에서 주로 사용하는,, " 수평찌맞춤 " 과는 하늘과 땅차이의 찌맞춤인것을~~ㅠ
이런 찌맞춤을 어떻게 맞추는지부터 알고서 찌맞춤의 논쟁이 될법한데.. 그렇지않나여~?? ^^

오짜붕어님의 궁금증에 대한,, 문의글..
남보다 다른 열정으로,, 찌맞춤을 열심히 하다보면..
당연히 의문이드는 점이며,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

오래전(약 7~8년전??) 영점찌맞춤이 대중들에게 소개되고 알져지기 시작하며..
5년전쯤 오짜붕어님의 궁금증에대한 그런 내용이,, 낚시인들에게 유포 되었었죠.. ^^
말씀드리기 상당히 많은 글이 되어질꺼란 생각에..(손가락이 넘 아플거예용~ㅋ)
짧게나마~?? 궁금증이 해결될진 몰라도,,

표면장력..
두바늘보단, 외바늘..
수평찌맞춤으로 현지서 낚시할땐~
되도록이면 캐미튜브까지 완전히 노출하여 사용할것.. 등등

오짜붕어님의 궁금증 내용중..
그러한 현상은,, 수평찌맞춤인데..
수조에서 실험중.. 캐미튜브 바로아래 약간만 찌톱이 수면에
노출되어있는 상태라면(이러한 상태는, 바닥에 봉돌이 완전히 닿아있는 상태이니~)
궁금증이 해소가 될거라 보여지는군요!! ^^

낚시에선,, 표면장력이란걸 절대~ 무시해선 않되며..
많은 꾼님들께서 잘못 알고 계신점중..
수평찌맞춤에서 흔히 말하는,, 영점이란것은 있을수도 없다란것 입니다!!
수평찌맞춤과 영점찌맞춤은.. 하늘과 땅차이의 찌맞춤법 이라는 것이죠!!

오짜붕어님~??
님께서는 수평찌를 맞추시다..
좀 예민하게 맞춰보신다고,, 수평찌맞춤과 영점찌맞춤의 중간쯤의 찌맞춤을 하시다
그런 경험을 하신듯 보여지는데.. 맞는지요~~?? ^^
그런현상은,, 주로~ 대물낚시서 쓰는 약간 무거운수평찌맞춤에는 거의 발생되진 않습니다
이유는,, 거의 봉돌이 바닥에 완전히 닿아있기때문이죠!!
하지만,, 수평맞춤도 약간 가볍고 예민하게 사용해볼까 하곤.. 봉돌이 바닥에서 떠있게끔 부력을 맞추면..
봉돌이 떠있다 하더라도 수평찌나 영점채비라는 채비는,, 항상 가라앉는 채비이기에 바늘을
들어도 봉돌이 다시 바닥까지 완전히 내려갔다가.. 올라오기 때문에,, 사각지대라는 거리감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

그래도 약간 예민한 수평찌맞춤이라도.. 현지서 낚시할때,, 캐미튜브까지 완전히 수면에 노출시켜 놓고
낚수놀이 즐기시면,, 그러한 사각지대에 대한 궁금점은 거의 해소가 됩니다 ^^

글구,, 내림채비나 중층채비는.. 잘 아시다시피 채비가 수중속에서도 채비자체가 더이상 바닥으로 내려가진 않으니..
당연 그런 사각지대는 이미 사라져있게 되는 것이겠고요 그쵸~?? ^^

손가락 넘 아프다~~ ^^;
이해하시는 꾼님들께선 얼마안될것 같다란 생각이지만, 그래도 도움이 되었음 합니다만,, 어떠실지 몰겠네요..!! ^^

나도 그만 자야쥐~~ ㅎㅎ
그럼 이만.... 꾸벅 ^^*


ps. 붕춤님 말씀대로,, 저 또한 자동빵을 위해서라면~
목줄을 아주아주 길게거니 사용하는것이.. 고넘덜 내 미끼 훔쳐먹을땐,,
이물감이 한결 덜할것같아서 매우좋타 봅니다요~~ㅎㅎ
추천 1

IP : b081cfa3d1608d9
99년인가 2000년에.. 조재성님의 " 정통찌, 영점찌맞춤.. "!!
이후,, 약 2년후.. 성제현님의 " 군계일학찌, 좁쌀봉돌찌맞춤.. "!!

여기서 한번쯤 짚고 가고싶은 것이라면..
수평찌맞춤이 대세였던당시,, 정통찌 영점찌맞춤이란건 타의추종을 불허하는 새로운개념의 찌맞춤이였다는 겁니다!!
당시 울 낚시인들에겐 잡는재미의 낚시가 이런것이란것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었죠..

그후,, 군계일학찌가 출시되며..
오짜붕어님께서 거론하신 글이 동영상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고요!!
당시엔.. 낚시업계에선 서로 못잡아먹어 안달이었죠! ㅠ

걘적으론,, 예나 지금이나 영점찌맞춤이 더욱 신임이 간다는것이며..
군계.. 또한 찌맞춤은,, 기본찌맞춤은 영점찌맞춤이란 것이기 때문이죠.. 영점찌맞춤에 좁쌀하나 달랑~~ㅋㅋㅋㅋ
그러고선 영점찌맞춤은 바보낚시라고~?? 했나머랬나.. 하여간 당시에 참으로 우끼지도 않더군요 ^^

당시에 정통찌 상당한 매니아였다라고 할까여?? ^^;
그로부터 정통찌출시된지 약 4년후인가 부턴.. 알기론,, 정통찌쪽에서 자존심때문에 찌생산을 아예 중단시켜버렸을 겁니다ㅠㅠ
어쨌든,, 당시 조재성님의 영점찌맞춤이란것은 울 낚시인이나 낚시업계에 상당한 밑걸음이되었다 생각됩니다..^^
그후 더욱 진화된,, 마이너스영점찌맞춤과 중층또는 내림등등....

진짜 자야겠당~~ㅋ
낼 하루도 월님들~ 좋은하루 되시길.... 꾸벅 ^^


ps. 이러한 말씀을 드리는이유는,,
오짜붕어님께서 군계일학 동영상을 보신다음..
궁금증에대한 말씀을하셔서 말씀드리는 것입니당 ^^
어쩐지,, 오짜붕어님의 궁금증이 쬠 수상쩍더라니~~~~~~^^;
추천 1

IP : e6091c77fdb1e6a
수평 찌맞춤 은 찌 한마디내면 봉돌 가라안고 물속에 팍 잠가가 낚수 하면 봉돌 목줄 일자 사각지대 쪼매마이생김 누구나다안다
그래서 슬로우로 내리가게 맞추어 난 낚수 한다 낚수 하면 언제나 꽝이다 슬프다 봄은언제 오려나
추천 0

IP : fd1db1a05c23024
개개인 의 취향 ,저수지 상황 에 따라 목출 길이나 찌 맞춤 을,,,,,,,,,
조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추천 0

IP : 4f8516125830526
shimanoman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수평찌맛춤과 영점찌맛춤은 상당한 차이가 있읍니다

대물과일반떡밥콩알낚시에서는 수평찌맛춤해서 현장에서 캐미위부분만 나오게하면

봉돌은 바닥에 안착이됩니다(줄의무게는무시)

영점찌맟춤은 줄의 무게까지 생각한 맛춤방식(현장수심고려)이기 때문에 봉돌이 떠있는 경우입니다
추천 0

IP : cef47edd202634b
시마노맨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군계일학 사이트에 들어 가셔서 동영상 보시고 공부를 하시는 것이,
좁살봉돌 체비????. 좋은 방법입니다.
생미끼를 쓰는 흔히 말하는 대물 낚시는 적당히 찌 맟춤을 해도 고기는 내것입니다.
문제는 떡밥이나 글루텐 낚시에서 문제가???????
제일 좋은 교육은 경험교육입니다.
일단 한번 해 보시고 나서........
월님들 늘 건강하시고 즐낚하시고 안출하시고 498하시길............................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