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영점 찌맞춤을 하여 콩알낚시를 주로 했었는데
올해들어 대물로 전환했습니다
문제는...
찌맞춤인데요
저는 현재 대나무 수제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부력은 1.2정도 되구요
이또한 영점 찌맞춤을 사용하고 잇습니다
원줄과 바늘의 무게로 내려가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구요
많은 조사님들께서 말씀하시기를...
봉돌은 무조건 무거워야돼....
좋은 찌는 굳이 쓸 필요가 없어...등등등...
저보다도 더 선배님이신 조사님들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대물낚시의 찌맞춤은 어떻게 하는 겁니까?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항상 안출하세여....^^
월척지식에 찾아보시면 많은글있어요 대물낚시도 미끼에따라 변화를 주면좋은데.....
참고로 저는원줄에 달리는소품과 감성돔6호바늘 달아서 영점 맞춤니다
올해조과는 월 여남수 사짜한수 꿩잡는게 매에요 정석은 없고 추구하시는 데로 하면...{제생각 입니다}
너무 깊게생각하면 머리에 쥐남니다
거기엔 가시면 조리있게 설명이 잘 돼어 있어요.
저도 가끔 거기서 공부를 합니다 ^*^
참고 하세요...
제가 거기서 보고 배운건데요.간단(?)하게 설명 드릴게요.
일단 대물찌는 삼나무(스기목) 이 제일 좋다고 하데요.
그리고 봉돌무게는 6~8호, 그 이상 쓰시는 분들도 있어요. 그 이하쓰시는 분들은 거의 못봤습니다.
그리고 찌맞춤은 케미,바늘을 꼽지않고 서서히 가라앉는 찌맞춤, 또는 가라앉았다가 서서히 떠올라서 케미꽂이가 수면과 일치하
는 찌맞춤을 하면 무거운 찌맞춤이 됩니다.
가벼운 찌맞춤은 케미, 바늘을 달고 영점 찌맞춤을 하면 돼고요.
대물낚시에서 무거운 찌맞춤을 하는 이유는 잔챙이 성화를 조금이나마 피해보려는 꾼들의 노력이 아닐까 합니다.
그렇게 무겁게 맞추면 고기가 들어 올릴수있을까???하는 의구심이 생기게 돼는 데요.
그런 걱정은 붙들어 매십시요. 5~6치 이상이면 충분히 들어올립니다.
참고로 가벼운 찌맞춤을 하면 낚시가 피곤해 집니다 ^*^
물론 가벼운 찌맞춤을 하는 시기가 있는 데요.
초봄이나 늦가을, 붕어들의 입질이 약해지는 시기엔 가벼운 찌맞춤을 하시는 분들이 있어요...
전 귀찮아서 그냥 무거운 찌맞춤으로 일년내내 합니다. ㅎㅎ
조금이나마 도움이 돼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이글을 씁니다...
안출 하시고,대물 하시길...
현장에서 케미 꽂고 바늘(감성돔 5호)달고 낚시합니다.
말 그대로 대물을 상대하는 찌맞춤이기에
일반 떡밥낚시보다 무거워야 잔챙이 입질을
어느정도 걸러주어 중후한 찌맛을 볼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6~8호 정도의 고부력 찌에 봉돌만 달고
바닥에 가라앉게 맞추어 사용합니다.
오분만 청소합시다.
약간의 무거운 채비가 대물낚시(잔챙이 퇴치등)에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점점 하다보니 문제점이 하나둘 나타나더군요....
대물낚시에 가벼운찌마춤을하면 잔챙이나 잡어들어
새우를 한입에 흡입을 못고 입으로 먹이를 건더리면 찌에 그대로
반은이나타나서 깔짝깔짝 대서 밤새 시달립니다...
바닥이 좀 지저분하면 채비안착도 어렵고요...
이제는 6~7호찌에 무거운 찌마춤 하는데
낚시를하다가 찌는 꼼짝도 않하지만 낚시대를 꺼내보면 새우미끼에
잔챙이나 잡어가 꼬리나 머리를 따먹고 없더군요...
만약 가벼운 찌마춤을 했다면 찌에 그대로 나타났겠죠 깔짝깔짝...
그래서 밤새 긴장해서 몸은더 피곤할테고...
굿이 글을 달 이유가 없을것 같아여 추운가울 채비 단단히 하시고 옷 두껍게 방한복 난로 챙기시고 월이 하세여
항상 내가 먹은 쓰래기는 내가 가져 오시는거 아시죠..
갑자기 배가 아프가 떵이 마렵다 하시면 멀리 떨어진 곳에 깊이 땅을 파시고 볼일 보시고 휴지랑 같이 묻어 주세여
확인해보세요^^"
영점 찌맞춤보다는 조금 무거운 채비를 하셔도 깔끔하니 입질하니다.
서서히 내려가게 맞춘다고 너무힘빼지마시구요.
서서히 내려가는거에 조금더무겁게 빠른입수봐도 좋습니다.
그것도 대물낙시에 좀 그러네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