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물색(탁도)

IP : ede7e0f4f58eff5 날짜 : 조회 : 2516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모르는게 많으니 ...원~ 님들~물색.물색(탁도)하시는데... 기준이있나요?? 아님 경험인가요??

1등! IP : b081cfa3d1608d9
낚수놀이에선,, 탁도 or 물색은..
흐리멍텅한게~~ 조과에,, 잔뜩~~ 도움을줍니다!! ^^

ps. 걘적으로,, 아주뽀얀~~ 계곡지의 "우유빛물색"을 너무너무 좋아라합니다~~^^
추천 1

2등! IP : b743ccb9b910718
말 그대로 탁주를 풀어놓은듯한

그런물색이 가장 좋습니다.

깨끗한물엔 고기가 없단말있잖아여.. 반대로 생각하믄 쉽져.^^
추천 0

3등! IP : 1388a844b82333f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물속을 보았을때

물이 맑아 물속이 훤히 보이는 곳은

가급적 피하고

어느 정도 탁도가 있어 물속이 잘 안보이는 곳에서

하룻밤 노숙을 하게 됩니다

이것도 늦은 시간 출조를 하게 되면

완전 무시하고 ...

물색 맑다고 붕어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니나

확률적으로 보았을때 조금은 탁한 물색이 나을 겁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추천 2

IP : 6c468efee2419b3
안녕하십니까 권형님.

밤 낮 모두 낚시에서는 물에 탁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에 탁도...물에탁도는 물속에 식 동물성 플랑크톤 즉 영양분에 활성도에 따라서 물색갈이 틀려지는 것입니다.

즉 부 영양화 현상으로 어류들에게 플랑크톤 먹이감이 풍부하고 햇빛을 많이 받는 평지형 저수지 수초또한 많은곳이 초봄에

기준으로 볼때 물색갈이 빨리 돌아오는 현상이 많습니다.

물색이 맑은곳 보다 탁한 물색에 저수지에서 조과가 좋은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이런 초봄과 늦은 가을에 물색이 맑아 지는것은 수온이 떨어저 플랑크톤이 활성화가 않돼다 보니까

수온이 올라가면 물색또한 탁한 색갈로 변해갑니다...이때는 우리 꾼"이 물가로 나설 때라고 보시면 될것 갔습니다

권형님께~~~대구리에 행운을 기원합니다..
추천 1

IP : a820b0046ecebec
폐수로 오염된 간장색만 아니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오염은 안된었으나 너무 맑아도 좋지 않구요. 황녹색이라고 해야 하나? 약간 누런빛을 띄는 물이 가장 좋으며 그다음으로 회색빛이 약간 도는 물색도 좋다고 봅니다.
추천 0

IP : 7c0701debcf544b
물의 물색(탁도)

출조시 좋은 미끼와 채비와 포인트만 완벽하게 결정이 되었다고 대상어가 잡히는것이 아니라.
수온,물때,물색,바람,파도 등 그날의... 환경에 따라 조황이 좌지우지 합니다.

특히 물색은 낚시의 80~90%를 찾지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색(탁도) = 수온(물속온도) = 붕어 활성도(붕어의 움직임)

물색은 수온과 관계가 있고 붕어의 활성도를 결정합니다.

물색이 흐린 것은 수온이 적당해서 플랑크톤이 많거나 황토 빗물이 유입됐거나, 비록 맑은 물이 유입되더라도
저수지의 바닥을 뒤집어놨을 때 떠오른 부유물 등이 원인입니다.

비가 오지 않았는데도 물이 흐린 것은 플랑크톤 때문입니다.

수온이 높으면 플랑크톤의 밀도가 높아지고 적당히 흐려져서 낚시가 잘 되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면
고기들은 먹이를 적게 먹게 됩니다.

이걸 부영양화 현상이라하는데 심할수록 더욱 탁해집니다.

이 상태에서 비도 안오고 수온만 높아지면 저수지 수면에 짙은 초록색 녹조가 생기고 플랑크톤 죽은 찌꺼기가 쌓이면
붉은 적조가 됩니다.
이 정도되면 그 물은 죽은 것입니다.

플랑크톤으로 수면에 막이 형성되면 물과 공기가 차단되어 고기들은 완전히 먹이활동을 중단합니다.

그렇다고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들이 사람을 훤히 보고 있으므로 잘 접근하지 않습니다.

물이 너무 차서 플랑크톤이 적으면 물은 맑더라도 고기들은 살 수가 없습니다.


대충 이렇게 정리됩니다.

기준은 없고요. 저수지나 둠벙등 낚시할때 고수분들은 경험상 알수있습니다.....

만약 물색(탁도)측정기를 발명하면 아마 대박날수도 있을까 생각합니다.

월척 캠폐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p/s 요사이에 월척이 몇몇 못된 놈들로 인하여 뒤숭숭합니다.......
중고거래시 충분한 생각과 한번더 확인하시고 거래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1

IP : 00cd752be57846f
반가버요 권형님!

나름데로의 기준은 없습니다.

저수지 결정하고 달려가서

자리만 있다면 물색 무시하고 낚시합니다.

물 맑은 곳에서도 손맛본 경험이 많아서요.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단지 조과는 물색 좋은 곳이 조과는 더 좋겠죠.

물 맑은 곳은 그 물이 좋아서 걍 전피고 즐깁니다.
추천 0

IP : e3d4dae9ad5e3ed
일년내내 맑은 물색?

....참 붕어 잡기 어려운 곳입니다.

단..봄이면 ....틀립니다.

일단 얕은곳으로 나와야 되니깐요...^^
추천 0

IP : 56a0bac7f0f1169
대체로 평소에 물색이 맑은곳은 자원이 적을 가능성이 많읍니다.

또 밤낚시에 씨알이 많이 나올 가능성도 많구요..아니면 깊은수심이 좋지요..

저는 간혹 그런경험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뭐던지 정답은 없지만 정답을 찾아다니고 있지요...그러다가 정답에 가까워지면 ....ㅎㅎ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