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별따기 보다 어렵다는 대물을 만났을때 바늘털이 없이 꺼낼 수 있는 노하우는 어떤게 있을까요?
간만에 만난 대물님을 어이 없이 발 앞에서 떨구었습니다...................
물론 제 복이지만..... 특별한 방법이 있으시면 비법을 전수 해주십시요~!!
남은 한해 잘 마무리 하시고 늘 안출하시고 건강하십시요..
걸림이 잘되었다고는 하지만, 어찌되었든 붕어가 끌려 나오면서 바늘이 끼워진 주둥이는 헐거워져있죠. 찢어져있다는 겁니다.
거기서 붕어가 몸부림치면 빠질 확률이 있는데, 몸부림 치고 안치고는 붕어 마음이죠.
그래서 끌어낼때 일단은 물밖으로 꺼내면서 공기를 들이 마시게하고, 발 앞의 수초 위를 미끄럼 타듯이 끌어내고, 발 앞에서 들어 올리거나 한손은 봉돌, 한손은 물속에 넣어서 붕어를 떠내면 그렇게 퍼덕 거리지 않겠죠.
그리고 붕어를 손바닥 위에 살며시 올려 놓으면서 감싸야 하고, 붕어를 올려놓는 손의 온도도 붕어와 너무 차이나면 퍼덕거립니다.
붕어는 소중하니까요.
저도 일체 유심조님 방법을 씁니다. 어신감지후 챔질 준비하고 찌올림시 짧고 빠르게 손목 스냅을 이용하여 훅킹을 시킨뒤 대를 늦추지 않고 끌어 냅니다. 힘으로 강한 챔질을 하는것보다 고기를 끌어낼 확률이 더 높더군요... 그리고 고기 힘에 맞추어 대를 늦추지 않는다면 웬만한 수초지대에서는 감지를 못합니다... 줄의 여유가 없기에 붕어가 이리저리 난동을 부려도 수초에 감지를 못합니다....
대물을 올리는 경우 고수들 사이에서도 의견의 차이가 있는 줄 압니다.
대게 뜰채를 쓰는데, 뜰채를 사용시 약간의 느슨함이 발생하면 그냥 아웃 !
(대물 걸었을 경우 뜰채는 낚시대의 아래, 옆에 있으니 발생 가능성 높음)
원줄을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는 경우도 많은데, 이경우에도 대물의 몸부림으로
바늘이 이탈되거나 낚시대가 순간적으로 운명하는 경우를 목격하기도 했습니다.
결론은 대물을 끌어올리는 방법도 사람마다, 주변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물낚시의 여건상 주변의 환경이 일괄된 방법을 통일적으로 적용하기 힘듬)
미끼와 채비의 운용에 의거한 정확한 챕질에서 끌어올리기 까지의 전개가
붕어가 정신 나가게 신속하고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순간의 여유나 방심은 '만물의 영장 사람'이 미물이라 생각한
'어류 붕어'에게 패배하는 경험을 낳습니다.
아꿉....
일단 바늘 긑이 안으로 굽은 바늘은 바늘털이시 덜 빠지는걸로 압니다.
후킹이 덜되었던 건 아닐런지요..(챔질 타이밍이..)
다음 기회엔 꼭 안아 보시길 바랍니다.
새벽날이 매우 차갑습니다.
방한복 꼭 챙기시고 출조 하십시요.
저는 바다 농어낚시,민물 배스낚시에서 걸어서 릴링할 때 1m이상 튀어오르며
대가리를 털어 바늘이 빠지도록 하는 것을 바늘털이라고 하는데,
붕어 잉어는 안끌려 올라고 발버둥 치는 정도라서 바늘털이로 표현하지 않는 걸로 압니다.
강제로 펄떡 일 틈을 안주고 신속히 끌어내면 되겠습니다만,
낚싯대의 강도. 줄의 튼튼함.붕어 주둥이의 안 찢어짐이 전제되어야 겠지요.
발 앞에서 떨구시는 것은 뜰채를 사용하지 않고 줄잡아 들어 올릴 때
두레박 처럼 달려 오지않고 펄떡이면 빠지기 쉽습니다.
월척하세요.
어저께 저두 7번 당했습니다.
타이밍이 늦거나 빠르면 입걸림이 제대로 안이루어지면 저항시 터져 버리죠.
경산의 일체유심조입니다.
챔질시
정확한 타이밍
짧고 강하게 챔질 후 제걸림 시킨 후
힘이 빠지게 가지고 물속에서 끌어 당기시면 됩니다.
또,포인트의 수초형성도 상당히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정수수초가 많은 곳은 속전속결로 흔히 개끌듯이 땡기시고
요즘처럼 침수수초가 삵아드는 포인트는 여유있게 갈무리 하시면서 손맛보고 꺼내세요.
미천한 경험이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걍 낚시가면 대로 잡는것이 아니고 뜰채로 막 퍼 담습니다..^^
낚시로 행복만 낚으시길 기원합니다..(_._)
나도 가끔은 막 퍼 담습니더.^^*
정확한 입질 타이밍에 정확환 챔질이 중요 합니다...
후킹이 정확 하다면 어제간 해서 수초 바닦에서도 쉽게 올릴수 있습니다.
행운을 기원 합니다.
거기서 붕어가 몸부림치면 빠질 확률이 있는데, 몸부림 치고 안치고는 붕어 마음이죠.
그래서 끌어낼때 일단은 물밖으로 꺼내면서 공기를 들이 마시게하고, 발 앞의 수초 위를 미끄럼 타듯이 끌어내고, 발 앞에서 들어 올리거나 한손은 봉돌, 한손은 물속에 넣어서 붕어를 떠내면 그렇게 퍼덕 거리지 않겠죠.
그리고 붕어를 손바닥 위에 살며시 올려 놓으면서 감싸야 하고, 붕어를 올려놓는 손의 온도도 붕어와 너무 차이나면 퍼덕거립니다.
붕어는 소중하니까요.
물위로 올려서 공기를 마시게 하면 조용히 끌려옵니다.
넘 급하게 하셔도 떨구는수가 있죠^^
아침저녁으로 공기가 마니 찹니다.
보온에 신경쓰시고 즐낚하세요.
일체유심조님 말씀에 한표 합니다..
저도 막 퍼담습니다..ㅋㅋ
흔히 사용하는 돔바늘은 정흡이 되었을 경우 수초에 걸리거나 해도 왠만해서는 빠지지 않습니다.
제대로 토종 윗턱에 걸린 바늘은 힘주고 잡아 빼도 쉽지 않습니다.
붕어가 바늘털이 되는 경우는 대체로 설걸렸을 때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바늘털이를 방지하는 방법은 역시 챔질타이밍을 놓치지않고 정확하게 챔질하는 것입니다.
사실 노련한 조사님들도 이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입질이 자주오는 경우는 여유가 생겨 금방 타이밍을 잡게 되지만 입질이 아주 드물 경우 찌가 올라오면 마음이 급해져 타이밍이
빨라 지더군요. 이럴땐 설걸리기도 하지만 턱 걸렸다 그대로 빠져버리기도 합니다.
또 드문 경우이지만 찌가 두어마디 오르고 마는 찌올림이 나타 날 때는 더 기다리다 챔질이 늦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가 항상 염두에 두는 것은 챔질을 여유있게 하자는 것입니다. 챔질이 늦는 경우는 딴짓하다 늦는 경우 빼고는 드물기 때
문에 항상 찌올림을 여유있게 즐긴 후 챔질한다는 생각을 가지면 타이밍이 더 좋았다는 것이 제 경험입니다.
맹탕에서는 물속에서 충분히 힘을 빼고 물위로 끌어올려 발앞으로 당겨냅니다.
그러면 붕어가 힘이 빠져 파닥임이 거의 없습니다.
입질오자 7~8치는 날라서 의자 뒤로 가게 만들고...
월척급이상은 수상스키 태우면 걍 모든것이 해결됩니다..
찌.......
맛충분이 본다음 그냥강제집행하십시요 8치이하면 얼굴때립니다
일체유심조 님말에 동감합니다.
정확한 채질에 정확한 후킹이면 충분히 끌어낼수잇으며 제 스타일도 그냥 무대뽀 강제집행입니다..ㅋ
정확하지 않단말은 집중하지 않았다는 말처럼 들려
아예 잠을 자버리지 않으면 전 무조껀 전투입니다....ㅎㅎㅎ
다시한번 답글 올려주신 조사님들 감사드리며 늘 건강하세요.
군보 올림
대게 뜰채를 쓰는데, 뜰채를 사용시 약간의 느슨함이 발생하면 그냥 아웃 !
(대물 걸었을 경우 뜰채는 낚시대의 아래, 옆에 있으니 발생 가능성 높음)
원줄을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는 경우도 많은데, 이경우에도 대물의 몸부림으로
바늘이 이탈되거나 낚시대가 순간적으로 운명하는 경우를 목격하기도 했습니다.
결론은 대물을 끌어올리는 방법도 사람마다, 주변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물낚시의 여건상 주변의 환경이 일괄된 방법을 통일적으로 적용하기 힘듬)
미끼와 채비의 운용에 의거한 정확한 챕질에서 끌어올리기 까지의 전개가
붕어가 정신 나가게 신속하고 끊임없이 이어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순간의 여유나 방심은 '만물의 영장 사람'이 미물이라 생각한
'어류 붕어'에게 패배하는 경험을 낳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