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로에서 월척. 준척을 여러 수 했습니다. 그런데 4마리의 붕어 아가미에 이상한 것들이 붙어 있네요. 좀 큰 거머리 같은데 색깔이 약간 흰색 계통이고, 거머리 보다 넓적하고, 크기는 일반 거머리 보다 좀 큰 말거머리만 합니다. 마치 맛조개의 촉수처럼 생기기도 했고요. 아가미에서 떼어 냈는데 좀 찜찜 하네요. 거머리라면 맑은 물에 사는 것이니 상관 없겠지만 .. 거머리와는 색깔이 다르고 좀 더 넓적해서 거머리 같지 않군요. 이 것에 정체가 무언지 아는 분 좀 가르쳐 주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특히미호천 금강 쪽에많이보입니다 3월~6월까지많이보임
좋지는 않겠지요..
산란기 붕어는 가급적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물론 괴생명체는 제거해주어야겠지요...
중국 붕어가 전혀 살지 않은 곳에서도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기생충이 있는 것도 있습니다
영산강, 금호호 지류에서 많이 발견되어 현재 조사 중이지만 어느종인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여러 회원님들 손맛에 굶주려 계신 줄 압니다 만 수질이 양호한 곳에서 즐기심이 좋을 듯 합니다
해서 저는 좀더 멀리 좀더 깨끗한 곳을 찾느라 매주 고민합니다
대상어를 포획하고 나서 이러한 모습을 보면 귀가 길이 즐겁지 않을 것 입니다
이래 저래 우리나라가 오염에 많이 노출 된 것 같아 안타갑습니다
항상 안출하시고 주변을 항상 깨끗하게 보존하려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산란기도 아닌데 포획한 붕어가 이상하리 만큼 만삭인 붕어 또는 머리 바로 뒷쪽이 홀쪽하게 비어 있는 듯한 모습을 가진 붕어는 촌충에 감염되어 있을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배를 갈라 흰색의 충이 보이면 이게 촌충입니다 한번 발견된 저수지는 오랜세월(10년이상) 기생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허나 촌충의 기생은 수질과 큰 관계가 없습니다
촌충은 수질이 3급수 이상되고 께끗한 물과 해변가에 있는 저수지가 더 감염될 확률이 높습니다
라마스케님이 발견하신 아메바같이 흐물흐물한 녀석은 주로 오염이된 곳이나 진행중인 수로(금강,연산강,금호호,) 특히 같은 물이라도 뻘층이 두꺼운 곳에서 종종 발견됩니다
하지만 아직 어떤종인지 어떻게 발생되었는지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발견된 곳은 피하시는게 즐거운 마음으로 출조한 기분을 상하게 하지 않을 것 입니다
인터넷상 수질이 좋지 않은 곳에서 사는 거머리로
나와있습니다
해남 산이수로란 곳에서 나왔는데
2년전이후로 전혀 안다니는 곳입니다
동전크기보다 조금작으면 하얀색에 말미잘처럼 촉수가 있으면서 아가미에 기생한것이 맞다면
그곳의 수질이 약간 의심되네요
인터넷에 찾아 봤는데 잘 모르겠더라구요.
요놈은 꼭 큰붕어에 붙어 살데요.
kdw44님의 의견이 맞는 것 같습니다.
아가미에 둥그런 점이 있다면 그 놈이 붙어 있는 겁니다.
아! 금강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