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새우 미끼 사용시 꿰기 방법의 따라 찌의 채질 시기 ...

IP : d910538f63eddb3 날짜 : 조회 : 6191 본문+댓글추천 : 0

반갑습니다 ^^.. 구미 사는 초보 대물 낚시 꾼입니다 . 저는 주로 새우 미끼를 잘 사용 하는 편입니다. 실전의 낚시를 하다가 보면 새우의 미끼 꿰기 방법의 따라 찌의 채질 시기가 똑같은지 찌의 채질 시기가 다른지 의문점이 생깁니다 .저는 등 꿰기를 주로 하는편입니다. 1.등꿰기 2.꼬리꿰기.......... 선배님들의 많은 가르침을 부탁 합니다.

1등! IP : 5f35e64b00aa675
제경험으로는 등꿰기 꼬리꿰기 챔질타이밍은 동일하다고봅니다 생미끼낚시가 그러하듯 찌가 정점에섯을때 챔질이 들어가기때문에 등이나 꼬리나 일맥상통하다고봅니다 언제나 안출하세요 철수길 10분만 청소합시당
추천 0

2등! IP : 12b75eac92e68ae
질문이요....


갑자기 궁금한것이 있는데...제 밑에 댓글 다시는분 제 질문도 답글좀 부탁할게요.....

대물낚시나 준척급 밤낚시를 할때 새우 크기는 크게 상관없나요? 대물낚시를 할때에도 어느정도 크기 이상은 안되다고 들은거 같아서...

그리고 낮 낚시에서도 새우가 통할까요???
추천 0

3등! IP : 5139bdcc01b7b5a
쿠마님 말씀데로 우선 찌가 정점에 섰을때 챔질이 들어가기 때문에 등이나 꼬리나 챔질타이밍은 거의 같습니다.

하지만 꼬리꿰기중에서 잔챙이가 너무 많을때 사용하는 새우의 3개의 꼬리중 중간꼬리에 꿰셨을때에는...

정점에서 약간 늦게 챔질해주시는것이 더 후킹률이 높더군요.^^ 참고하시고요...

그리고 허접한 강태공님 답변입니다.

대물낚시시에 새우의 크기는 거의 상관이 없습니다. 새우가 아주 크지는 않거든요^^~*

중요한것은 새우의 크기보다는 바늘의 크기가 더 중요합니다. 바늘이 작은데 새우 큰것을 끼운다던가...바늘이 큰데..

아주 작은 새우를 끼운다던가... 오히려 이런것이 더 문제지요^^

징거미야 아주 커지지만 새우의 경우에는 징거미에 비해서 그리 크지는 않습니다^^~*

바늘크기에 맞춰서 미끼를 껴주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그리고 낮에 새우가 통할까요? 라는 질문에는 통합니다.

낮이라고 대물붕어가 새우 안잡아 먹는것은 아니거든요^^ 배고프면 밥먹어야죠.

개인적으로 계절과 날씨와 관계가 깊다고 생각을 하고요... 밤낚시에 비해서는 아무래도 확률상 적습니다 .

참고하시고 늘 즐거운 낚시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추천 1

IP : d4592036346950f
4짜급 붕어의 주둥이를 보니 엄지손가락이 아니라 엄지 발가락도 들어가겠던데요 ㅎㅎ

새우 아무리 굵어도 한입거리지요^^
추천 0

IP : 8612a343f403133
1. 새우를 미끼로 사용할때는 챔질을 달리해야 합니다.
떡밥콩알. 지렁이 미끼를 사용할때 찌상승은 약
10cm 상승 했을때 챔질을 했었다면 새우 미끼는
15cm 상승할때 챔질을 하십시요.
어느 한기준을 두고 챔질을 해야만 정확성이 있습니다.
때로는 10cm 정도 올리는 입질 때로는 20cm 이상 올리는 입질도 있습니다.
낚시터 여견의 따라 입질의 폭이 각각 다르게 나타날때가 있습니다.
같은 찌올림의 폭이 두번정도 반복이되면 챔질을 하셔야합니다.
찌 상승의 기준은 15cm 이지만 실지 입질의 찌상승은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므로 상황에 맞는 판단을 잘하셔서
챔질을 하셔야합니다.
여러가지 내용의 찌올림은 본인의 판단이 가장 중요합니다.
새우낚시 두번정도 출조를 하시면 나름대로 노하우를 알수가 있습니다.
추천 1

IP : c66c3d40a353897
채비와 찌맞춤, 찌의 재질이 제각각인데 어찌 정답을 말하리오...

정상적인고 보편적인 채비일지라도 저수지에따라 틀리고.. 당일 활성도에 따라 틀리고.. 씨알에따라 틀리고..

찌놀음은 현장에서 그때그때 달라요~ 요게 정답인거 같습니다. 자신만의 노하우를 쌓으시길...
추천 1

IP : b634bfdc0cab625
지나다... 아주좋은 정보를 얻어 갑니다...

허접한 댓글을 조금만 덧붙인다면...

건곤일척님의 말씀따라 새우의 크기는 대물크기와 아무 상관이없습니다... 경험상...

붕어가 있는 수족관에 새우를 한마리 넣어보세요... 낮에는 모른척... 어두워지면... 사냥을 하기 시작하죠...

새우와의 거리 10cm이상의 거리에서 쭉쭉빨아 들이는 붕어를 보면... ㅎㅎㅎ... 새우의 크기는 문제가 안될듯 합니다...

그리구... 찌올림에 대하여... 경험으로 설명드리자면...

붕어의 찌올림은 3단계로 나뉘어 집니다.

1단계.. 붕어가 먹이를 발견하고 툭툭 건드려서 자기가 먹기 쉬운(바닥이 깨끗한 곳)곳으로 옮겨 놓죠
이때 찌가 깜박깜박 합니다.
2단계.. 붕어가 먹이를 취하기 시작합니다...
찌는 살짝 들어 올려집니다.
3단계.. 먹이를 먹은 붕어는 삼켜서 씹습니다.
찌가 정점까지 올린뒤 휘청합니다. (이때 챔질을 하시죠??? ㅎㅎㅎ)

p.s 붕어의 구조상 이빨이 입(주둥이 앞)에 있는것이 아니라 아가미 안쪽에 있습니다..

대물붕어 챔질시 늦게 챔질하라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 생미끼 낚시의 경우 빨리 챔질시 손해입니다.

-5분만 청소합시다...
추천 1

IP : 1c014f3bd2a2294
저도 이왕이연 조금 늦게 챔질하려 합니다만...
그게 그렇게 쉽지 않더군요...
정점에 올라오고 좀 더 기다리고 싶은데...

"이러다 내 고기 놓치겠다" 는 생각이 앞서는 듯 합니다...^^
어차피 꽝~이 대부분인데 뭔 욕심이 앞서는지...
추천 0

IP : effd674b01f9541
등.꼬리,머리.궤기등이 많은데 붕어가 먹이 활동을 활발이 한다면 입질해서 찌올리는데는 별영양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저수지 지형에 따라 지저분한 입질이 이루어질수도 있고 ..점찬게 올리는 찌올림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새우크기는 아무래도 붕어의 선별력을 많이 좌우한다고 생각합니다..작은새우를 끼워놓으면 대물붕어가 접근하기전에 잔챙이 붕

어가 덤빌확률이 높이 때문에 될수 있으면 대물낚시을 한다면 이왕이면 크고 튼실한 놈이 좋다고 생각듭니다..

그리고 찌맞춤은 주로 생미끼을 많이 사용하므로 다소 무겁게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듭니다..

그리고 붕어가 낮에도 활성도가 좋다면 당연 새우미끼가 으뜸이라 생각듭니다..저수지에 새우가 자생하지 않더라도 새우미끼는

잘듣는다고 봅니다..
추천 0

IP : 4acba523df7f5c6
전 새우낚시를 즐기는편이데 전항상 꼬리꿰기를 합니다 꼬리쪽 등 껍질에 살작끼우면 새우가 오래동안 죽지않고 살아있죠^^
그리고 붕어가 다가오면 새우가 저항하기위하여 앞발을 번적 치켜들죠(수조에서확인) 이때 붕어가 조심스레 먹어도되는지 한번 쪼아 입에넣곤 밷습니다 물론 새우도 저항을 합니다 이때 찌가 살짝올라오죠 1차어신입니다 붕어가 새우주위를 한두바퀴돈후
바로 입으로 넣습니다 새우가 붕어의입속 반정도 들어가죠 이때 찌가 멋있게 상승합니다 2차어신이죠 이때챔질하시면 꽝입니다
잠시후 새우의남은반쪽 을 입안으로 빨아넣음과동시에 자리를 이동하려하죠 이때3차어신 그야말로 환상의 찌올림을 구경할수있습니다^^이런 찌올림을 본다면 대부분 월척이상 일겁니다 낮으로는 주로 붕애들이 서로 새우를 쪼아대죠 산 새우가 금방 너덜해집니다 하지만 새우낚시는 인내력이 좋아야합니다 성격이 급한분이라든지 빨리 고기를 잡고싶으신분들은 새우보단 지렁이나
떡밥낚시를 하시는게 덜 지루하실 겁니다^^
추천 1

IP : 6305ac144d5235d
꿰기 방법은 틀려도 동일한 여건이라면
챔질시기는 같다고 봅니다.

오분만 청소합시다.
추천 0

IP : e2573d24ff8b061
쿠마님 말씀데로 우선 찌가 정점에 섰을때 챔질이 들어가기 때문에 등이나 꼬리나 챔질타이밍은 거의 같습니다.
단 바늘의 모양에 따라 약간 다름니다
감성돔 바늘 가은 경우 좀 늦게 챕질을 해야 되고
벵어돔 바늘일명 이두 바늘 같은 경우에는 감성돔 바늘 쓸때 보다는 빨리.
그리고 허접한 강태공님께서 질문가운데, 바늘의 크기기를 말씀 하신것 같은데요
바늘의 크기는 미끼의 크기에 따라 씁니다.
저 같은 경우.
메주통.옥수수.에서는 10호 (이세형) 바늘을 쓰고요
참붕어 새우 같은 경우 . 새우와 참붕어의 크기에 따라
지누(5호에서 6호를 ) 주로 씁니다.
추천 0

IP : ab8ae49a5380b6d
좋은 정보 잘보고갑니다
근데 찌가 올라오는거라도 봤으면 좋겠습니다 ㅜ.ㅜ
요즘 꽝이 너무 많아서...
추천 0

IP : 9aa419b1e9db053
새우 생미끼 낚시는 ....

찌가 올라오는걸보고 챔질 바로 들어가서 잡는 마리수나....

못 보고 찌가 서서 있는걸 챔질해서 잡는 마리수나... 같습니다...

아니... 오히려 후자가 더많이 잡습니다.

왜냐구요. 빠른 챔질에... 설 걸려 터지면 붕어 다 내보내게 됩니다.

늦은 챔질에 깊숙히 박힌 놈만 잡아낸 다면 실수는 없읍니다.
추천 0

IP : 9d4d763317549eb
좋은글 읽으면서 많은 공부 하고갑니다 ..
초보자?? 들은 찌가 올라오는데 참고 기다릴수 있을지 ..ㅎㅎ
일단 올라오면 머리보다 손이 먼저 반응하는 내손을 한탄해야지여 ..ㅎㅎ
더운날 건강 유의하십시요 ..
추천 0

IP : ff7883e25cdbeec
위에서 고수님들이 다좋은 말씀을 많이 해주셧는데여!!

가끔은 바닦상태에 따라서 찌올림의 폭이 다를수 있고 저수지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질수있습니다...그러므로 그러한 입질을 빨리 파악하고 챔질시기를

가져가시는게 낚시꾼이 해야할일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추천 0

IP : dd4917896218078
선배 조사님들의 많은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열심히 활동 하여 "월척" 하겠습니다 . 다음에도 많은 지도 부탁합니다
" 쓰레기 회수 철저히 합시당"~~ 감사 합니더 ~ 꾸벅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