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수심이 5~7m에서 새우미끼는?

IP : 59bd75ec938d669 날짜 : 조회 : 5069 본문+댓글추천 : 0

4천평쯤되는 계곡지의 수심이 엄청 깊습니다 배수량도 그리 많지 않고 이제는 배수도 그쳤습니다 상류의 수초가 분포되어 있는 2~3m권은 새우잡이꾼의 새우망이 있어서 줄걸림이 고민이고 조금 비켜나면 상류인데도 직벽으로 되어 있어 수초없이 수심이 5~7m로 3칸대가 짧지만 이지역을 공략하고 싶습니다 떡밥을 주무기로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자생 새우가 많은지라 새우등의 대물미끼를 넣어보고 싶습니다 입질을 볼수가 있을까요? 아님 맹탕포인트의 적정 수심권을 찾아야 할까요 GetFile.asp?mnf=1631653%3FGCOM22%3F3%3F1 봄철 수초지대 산실청은 배수로 바닥을 드러내고 발아래 바로 아래 직벽입니다

1등! IP : 60ddd5f9dd00543
저는 일단 수초재거기로 새우망을 끊습니다....ㅎㅎ
그리고 내가 원하는 포인트에 넣는 거죠....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붕어한마리님
구미팀 모임에서 함 봐야죠? 회원연락처는 이메일로 받아보셨죠?
그물이라면 그렇게 싹뚝 자르겠습니다만
새우채집하는 사람도 그것이 업인데 그러기는...
추천 0

3등! IP : 60ddd5f9dd00543
^^ 그렇네요...케미마이트님 말씀이 맞네요...
그게 업인 사람일 텐데....
네~ 조만간에 꼭 구미모임에서 보도록 하죠..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안녕하세요 북삼의 까치못 이야기 하시는것 같은데 맞는지요?
새우틀은 군데군데 있는데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될듯싶습니다.
중층에 떡밥은 일질은 하는것 같은데 낚는것은 보질 못했습니다.
새우미끼에 20cm정도는 몇마리 초저녁에 낚았습니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케미..님 언제 함 같이 확인하러 갑시다...
제 특기가 맹탕에 꽝치기 입니다. ㅎㅎㅎㅎ
좋은 곳 보이면 연락 주세요.....
기온 변화가 심한 날씨 입니다... 건강하세요.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북삼님 맞습니다
시간을 내어 수초지역을 좀더 확인해봐야겠네요
수심체크중에 걸려서 원줄과 찌를 버리고 왔거든요

얼큰붕어님 이번 주말에 가 볼 곳입니다
직장동료와 함께 가기로 했습니다
다녀온후 결과에 따라 같이 함 가기로 하죠?
한여름 무더위 속에서 대를 넣으면 그만일거 같습니다

붕어한마리님
메일주소가 .....@hotmail.com로 되어 있었네요
혹시 개인정보가 그렇지 않나요?
한메일로 다시 보내드립니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새우낚시됩니다 김천꾼들 5M수심에서 가지바늘로 많이낚아냅디다
4칸대이상으로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케미마이트님 어서 오십시오.
상류 일대의 뗏장밭이 드러날 정도라면 현재의 수면적만으로 본다면
마사바닥의 깎아지른 계곡지의 형태일것 입니다.

이런 정도의 모양이라면 상류를 고집할 이유가 별로 없습니다.
중류대의 직벽자리중에서 굴곡이 있다면 그 주변을 노릴수 있으며
중류가 끝나고 상류가 시작되는 부분쯤에 직벽이 끝나는 자리가
있다면 그곳도 좋은 포인트가 되겠지요.

그런 특징없이 양안으로 직벽만이 이어진다면
잘 살펴 보시면 암반이나 흩어진 돌이 많은 자리등이 있을수 있으며
그렇지 않다면 물도랑은 아니더라도 산에서 큰 비에 물이 흘러드는
골이 진 자리등이 있을것 입니다.

이런 자리를 포인트로 정하게 되면 대길이에 상관 없이 찌가 초릿대 바로
밑에 걸리게 될것 입니다.
정면으로 16대 정도로 가장 짧은 대를 펼치시고 그 옆으로 18,20,22등으로
점점 긴 대를 펼치시면 좋을것 입니다.
글이 길어지는데 (자료실)-(대물낚시업그레이드)-(대도 못세우는 계곡지 낚시)
편을 보시면 더욱 상세한 안내를 보실수 있을것 입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진우님 감사합니다

물사랑님의 댓글을 받으니 영광입니다
자료실의 글을 여러번 읽었습니다
이 못의 특징이 도로변 한쪽 중류대에서는 직벽지역이 없이 완만한 편이고
반대쪽의 야산아래가 직벽지역인데 진입이 어렵네요
오히려 상류 땟장이 드러난 바로 밑이 직벽지대입니다
직벽과 본바닥이 만나는 경계점을 포인트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곳의 수심이 5~7m 정도입니다
수초가 없는 관계로 오랜만에 두바늘에 새우와 콩, 옥수수로 밤을 세워볼 요량입니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이못은 만수위일때에 논두렁에서
뗏장을 넘겨 36,~44 대로 현재보이는 황도색의
논두렁 같이 매끌매끌한 곳에 찌를 새운다면
좋은 조과가 보장되는 못으로 알고있습니다.
만수위때 40대로 땟장을 넘겨서 찌를올리면
수심이 1m~1.3m 정도가 나옵니다.
겨울에 순덕이님이랑 같이 가본곳이네요!!
글구 북삼님이랑도 ㅋㅋㅋ.......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캐미마이트님
진입로쪽에는 수초가 조금은 있습니다만 2M정도앞에 바로 직벽으로 또 되어 있습니다. 이 까치못은 제방을 제외하면 거의가 수심이 바로 직벽이 되는 곳입니다.
사진촬영하신곳의 바로 20M뒷쪽에 산에서 내려오는 작은 도랑이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