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조사들의 꿈은 멋진 월척을 많이 잡는 것일 것입니다.
아무리 태연한 척, 욕심 없는 척하지만 꾼들은 월척에 대한 욕망은 버릴 수 없습니다.
그러면 갈망하는 월척을 어떻게 쉽사리 잡을 수 있을까요?지피지기면 백전 불패라 하였나요?
월척의 속성을 잘 이해하면 그에 적합한 대응책이 나오겠지요. 즉 월척은 어느 계절에 잘 잡히는가?
월척은 어떤 미끼를 좋아하는가?월척은 하루 중 언제 잘 잡히는가?
이러한 중요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꽤 과학적인 방법과 객관성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늘 "월척"에서 정보만 얻어가기만 하였는데 나도 무엇인가 작은 봉사라도 하여야겠다는 심정에서
이런 통계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
덩이를 고대하는 꾼들의 설레는 마음을 다소 달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통계는 "월척"의 "나도 월척조사"란의 기록을 기초로 통계 분석 처리하였습니다.
* 제1차 자료 : "나도 월척 조사" 중 2004년 1월 ~ 2008년 8월말
* 토종 붕어만을 대상으로 하였음, 즉 떡붕어는 제외하였음
1. 전장별 개체수(전장의 단위는 cm)전 장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개수 89 75 45 30 45 19 20 14 9 9 9 11 8 3 2 [전장별 개체수의 분석]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작은 크기일수록 많다는 점입니다. 31cm가 가장 많았습니다.(표에서 31cm라 함은 30.3~31cm를 말함) 그 다음은 32cm였으며, 의외로 33과 35cm가 같은 수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꿈의 4자는 20여수가 나왔고, 47, 48cm가 각각 1수였습니다.
조만간 환상의 5자로 출현하리라 기대합니다.
2. 월별 개체수 월 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개체수 0 2 12 61 91 56 33 34 22 48 13 0 [월별 개체수 분석] 아마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잘 알려진 것처럼 산란기가 있는 봄철이 단연 최고이 시즌입니다. 4~6월이 55% 이상을 차지합니다.그리고 10월이 그 다음으로 좋은 시즌입니다. 특이한 점은 한 여름에 잘 안될 것 같지만 꽤 많이 잡혔습니다.
한 겨울(1월, 12월)은 전혀 없습니다.(자료상으로)
3. 시각대별 개체수 시 각 0~02 ~04 ~06 ~08 ~10 ~12 ~14 ~16 ~18 ~20 ~22 ~24 개체수 17 27 28 24 11 3 1 3 2 7 14 17 [1일 시각대별 분석] 대물은 심야에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많이 잡힌 시각은 새벽 4시에서 6시 사이이고, 그 다음은 2시에서 4시 사이입니다. 그리고 낮에도 간혹 잡히는 수가 있습니다. 밤낚시는 밤에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아침 8시 또는 10시까지 가능하다는 점이 통계가 입증하고 있습니다.
4. 미끼별 개체수 미 끼 새우 콩 옥수수 떡밥 지렁이 참붕어 보리쌀 개체수 123 76 70 52 40 14 5 [미끼별 개체수 분석] 대물 낚시는 생미끼 낚시라고 합니다. 과연 생미끼인 새우가 단연 으뜸이고, 참 붕어와 지렁이도 꽤 많은 숫자를 차지합니다. 식물성 미끼인 메주콩과 옥수수로 많은 편이며, 의외로 떡밥로 많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떡밥은 여러 종류를 포괄하는 명칭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즉 글루텐, 어분, 건탄 등을 포함합니다. 주로 중부 지방에서 많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희귀하게 보리쌀밥으로 잡은 경우가 있습니다.
5. 낚시대별 개체수 대 ~1.9대 ~2.5대 ~3.0대 3.2대 ~3.6대 4.0대 개체수 9 23 18 14 12 7 [낚시대별 개체수 분석] 가장 어복이 많은 낚시대는 3.2대였습니다. 그 다음은 3.6대가 8수, 3.0대가 8수였습니다.
6. 저수지별 개체수 1) 유등연지(청도) : 11수, 2) 너불못 : 9수, 3) 소월지(경산 와촌) : 7수, 4) 적중지(합천) : 7수, 5) 신동연밭 : 6수, 6) 내곡지(칠곡) : 6수, 7) 연지(경산) : 5수, 8) 문천지(경산) : 5수, 9) 기리지(경산), 가마골지(영천), 만천지(의성), 지당못 등 : 4수, 10) 영지못(경주), 백현지(산동면), 내실지(영천) 등 : 3수
7. 기 타 이 자료 분석은 원자료의 수집상의 문제점으로 해서 아주 정밀한 통계가 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지만, 그래도 대략적인 감을 잡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더 분석하고 싶은 분야가
1) 조사별 개체수입니다. 그냥 떠오르는 이름이 "붕둘이님"이 가장 많이 잡은 것 같고, 말술님도 기억에 납니다.
2) 연도별 분석도 가치가 있어 보이지만 다른 분들이 동참하여 주기 기대합니다.
앞으로 더 정밀하고 더 많은 자료를 의미있는 분석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하면서 여기서 줄입니다.
조악한 글을 읽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눈에 확 들어옵니다.
知彼知己면 百戰百勝...........
대단하시네요
이런통계까지.....
하지만, 저하고는 거리가 좀 머내요...전 충청도 살거든요...ㅠ.ㅠ
충청도 지역에 대해서도 이런 통계를 좀 내주시지요...
일단 붕어의 움직임이나 회유시간에 대해서는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지싶습니다...
아랫녁 조사님들은 복도 많으셔라...^(^
이런 통계를 접하고도 출조시 "꽝"이시라면 운이 엄청 없는거라구여...ㅎㅎㅎ
짝짝짝..~~!!!
이런 정성이을 붕애들이 알아줘야돼는디...
항상 안출하시구 498하세요
*5분만 청소 합시다*
수고 하심에 감사드립니다..
아~!! 워리가 저렇게 많이 줄다니...
점점 없어 지는가 봅니다.
저기에 전국적으로 곱하기 100은 해야 할것인데.... 아니 그이상을 곱해야 올해 없어진 월척이 집계 될지도 모릅니다.
붕어야 살아 남아다오!!
표에서 "~2.5대"라는 것은 2.0~2.5대를 말합니다.
단독으로 가장 많이 잡은 낚시대는 3.2대라는 것이지요.
>참고로< <br/>2.0대 : 2수
2.2대 : 9수
2.4대 : 5수
2.5대 : 7수
좋은 정보 감사해요 추천 한방 꾹~~~~
정말 대단하시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근데 월은 언제하나?
저는 활성도가 높을때 1칸과 1칸반에서 월척을 가장많이 잡았습니다만, 3.2칸대 낚시대는 항상 3대를 가지고 다닙니다
3.2칸 사용이 저는 제일 마음에 듭니다...
앞으로 3.2칸에서 4짜 이상을 한번 잡아 내는게 소원입니다..ㅎㅎㅎ
""낚시는 나의 인생"" http://cafe.daum.net/chongjung
좋은자료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어복이 절로 생길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