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잉어 채비는 어떻게~~

IP : 097cfa9af035d6f 날짜 : 조회 : 5879 본문+댓글추천 : 0

저번주말에 충북 추평지라는 저수지에 가서 붕어는 못 잡고 50정도 되는 잉어를 한마리 했는데요.. 잉어 채비는 별다른게 있나요? 기냥 밑밥줄라고 떡밥몇번 끼웠는데 그거 물고 나왔거든요.. 낚시대 10대에 여기서 구한 메주콩을 사용했는데 입질을 한번도 못봤습니다. 정말 대형 계곡지에서도 메주콩이 먹힐까요? 수초는 하나도 없구요 가끔 수몰나무 있긴한데... 맹탕 저수지에서 과연 대물붕어를 만날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1등! IP : 60ddd5f9dd00543
초짜꾼님 안녕하세요.
50짜리 잉어를 거셨다니 아마 당분간 잉어 손맛
잊지 못하시겠군요.
님께서 질문하신 잉어채비는 멍텅구리, 3봉 2봉, 양2봉, 양3봉,
외봉등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들낚시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잉어채비는 2봉과 3봉입니다.
2봉과 3봉이라함은 봉돌에 바늘이 2개와 3개 달린 채비인데요.
전문잉어꾼이 아니라면 2봉정도면 무난하리라 생각되네요
원줄은 가급적 4호 이상 쓰시구요 목줄은 케블러 2합이상이면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되네요.
바늘은 찌누와 이두메지나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두자이상 대형잉어를 노리는게 아니라면 붕어도 같이
노릴수 있는 찌누 2호와 이두12호 이상이면 무난하겠네요

계곡지의 메주콩은 속단할 수 없으니 조금 더 두드려 보심이
어떠실런지 메주콩이 아니더라도 입질이 없는 날은 어떤
미끼에서도 입질보기기 쉽지 않으니까요
다만 계곡지라면 보편적으로 새우에서 보다 나은 입질을
보일 수 있으니 한번 다른 미끼와 병행하여 사용해 보시면
님께서 낚시를 하신 저수지의 미끼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즐낚. 깨낚, 건낚 기원합니다.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저는 이렇게 합니다.
먼저 대부터 말씀올리겠습니다.예전에는 경질대초보. 연질대는 고수. 이렇게 사용을 많이 했는데 요즘은 거의가 경질대를 선호하고 많이 사용들 하고 있습니다.왜냐면 일단 채비투척이 용이하다는거죠.정확한 위치에 넣을수 있고 고기의 제압을 빠르게 할수 있다는 잇점이있죠.그러나 대의 탄력이 그만큼 없는관계로 튼튼한 원줄과 목줄을 요한다는것도 필요하구요.잉어같은 고기는 순간적으로 끌고가는 힘이 대단하기에 아마도 경질대를 사용하신다면 원줄 5호 에 목줄은 케블라 3호 정도 또는 테크론사는 4호정도 까지 쓰야하지 않을까요.그래도 큰놈을 만난다면 대도 못세우고 대가 부러진다든지 약해진 부분에서 터짐이 발생 할 수도 있을겁니다.
그리고 잉어채비로는 향어같은 미세한 입질은 잘 파악도 할 수 없을거구요
서론이 너무 길었나요?
이제 본론
저의 채비 :게을러다 보니 때에 맞는 채비를 일일이 교환을 해서 낚시를 않습니다
한번 매어 놓으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잘 교환을 안하죠
경질대 .원줄 3호 .모노줄입니다.목줄 태크론3호 .2호 정도도 괜찮은데 10센티 정도 길게쓰다보니 자주 꼬여서 3호 입니다.케블라줄도 좋은데 너무 뻗뻗하고 한두 마리 걸어내다보면 바늘 매듭 부분 쪽 같은데가 헤어져 약해질 때가 있고 추운 날씨엔 더 뻗뻗 해 지더라구요.그러면 약하지 않나???
키 포인트: 원줄과 목줄의 이음 부분에 중층 낚시용 고무오링을 하나 붙여서 쓰면
순간적인 챔질에 원줄이나 목줄의 터짐 대의 부러짐 또 채비의 민감성에도 굳 입니다.한번 해 보세요.
추천 0

3등! IP : 60ddd5f9dd00543
이렇게 자세한 답변주실줄은 몰랐습니다.
질문을 성의 없이 한것같아 죄송하네요.
답변 너무 고맙구요..
계속 한번 파볼랍니다. 지금은 서울이지만 고향은 경산입니다.
경산의 저수지들만한곳은 전국어디에도 없는것 같아요..
모두들 즐낚 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