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쯤에서 가장많은 궁금증은 산란기포인트와 청태문제인거
갔습니다.
청태가 저한테는 문제인거 같은데여..
월님들의 명쾌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1 청태는 왜 발생하는지?
2 언제 발생해서 언제쯤 없어지는지?
3 어떤 바닥지형에서 발생하는지? ( 뻘 바닥 아님 마사토?)
4 같은 저수지중에도 어떤곳은 청태가 있고 어떤포인트는없고
수심과 청태와 관련이있는지?
요즘 울월님들 손이 근질근질하시죠?
저 또한 그렇습니다..
날만 잡고있습니다.. 이번주말부터 추위가 있다는데 이추위가 지나면
출조잡아야겠네여.. 도저히 더는 못기다리겟습니다,,
손이 근질근질해서..
월님들 올한해 건강챙기면서 손맛들보세여...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과수나무와 밭에 뿌리는비료 그리고 축산폐수가
제일 크게생각되내요 햇볕이잘들어 수온이 적당하면 더잘생기겟죠
이런 현상이 두드려 지더군요
보통 비오고 수위가 회복되는 5월경에 없어지는 경우가 많더군요
어떤곳은 낙시못할정도는 아니지만, 사계절 청태가 보이더군요
어쨋던 청태가 많이 보이는못은 물순환이 잘안되는곳이라 보시는 됩니다
계곡지 맑은물 저수지에도 상류에는 청태가 있고..
고기많이 나오는 뻘밭 저수지에도 청태가 있던데..
청태가 왜 생기는지 궁금하네여~
스텐방열판 (코베어센스) 구해서 스텐봉(지름 5m/m)3개 길이 20cm 짜리 3개 구해서 스텐용접 하여 옛날 시골에
재치는 고물개처럼 만들어서 수초제거기에 연결하여 청태 근방을 한두번 훝어낸후 낚시를 했더니 아주 좋은 조과가 있었어요
그런거 비슷한거 파는데가 없고 또 너무 무겁게 만들면 수초제거기가 확 휘어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수 없어요
그러니 스텐봉은 3m/m 짜리도 적당합니다 가능하면 무게를 줄이시고요
한번 경험삼아 만들어 봤어요 전에는 삼지창처럼 배닻모양으로 10m/m 철봉으로 만들어 사용하니 너무 첨벙거려서 힘들더라구요
청태 너무 걱정 마시고 나름대로 개발해서 만들어 사용해 보심이 좋을거 같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