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혹부리

IP : 0a3df300137e14c 날짜 : 조회 : 7523 본문+댓글추천 : 0

월척님들 안녕하십니까? 4월15일 조그마한 소류지에 낚시갔다가 조사님들 간에 혹부리붕어 대한 논쟁이 있어서 월척님들에게 조언을 부탁 드려봅니다. 1) 혹부리는 토종이 자라면서 변형되는 돌연변이다 2) 혹부리는 별도의 토종이다 3) 혹부리는 무조건 잡으면 4짜이상이다(이건 아닌것 같고 저도 혹부리 월척급은 간간히 ..)

1등! IP : b5ac9319769344a
저도 자세히는 잘 모릅니다만

혹부리 붕어가 나타나는 저수지, 수로 등을 보면 공통적인 면이 있습니다.

바로 우리 토종붕어과 토종 물고기를 끝없이 먹어대는 망할 배스가 있다는 것입니다.

바로 그런 배스와 붕어가 같이 공존하는 서식지에서 혹부리 붕어가 나온다는 공통점으로 미루어 볼때

혹부리는 토종이되, 배스와 치열한 생존경쟁으로 스스로 배스에 대항하기 위해

몸집을 불리는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그런데 이 글을 쓰다보니 제 스스로에게 의문이 드는 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배스와 같이 생존하는 곳의 붕어의 절대 다수가 혹부리인가? 하는 것입니다.

그런 것 같지는 않아 보이는데 궁금증이 있습니다. 제가 잘 다니는 수로의 예를 보면

배스가 많습니다. 그러나 보통의 토종붕어 : 혹부리 = 7:3 정도의 비율로 보입니다.

아, 머리 아파...그러지 않아도 머리 아픈데...ㅎㅎ

그냥 참고만 하세요
추천 0

2등! IP : 1f93c7c4e51ed49
2번~~ 우리나라 별도의 토종입니다.

군포지역에서 많이 난다고 해서 군포붕어 라고도 합니다.ㅎㅎ~
추천 0

3등! IP : 0a3df300137e14c
조우회 선배님께서 언젠가 어느싸이트 에서 읽은것 같다며
잠깐바리님 께 한표라 하시네요
추천 0

IP : d250e5a736f0f91
저도 2번... 별도의 토종 붕어라고 알고 있습니다...

혹부리대물붕어..저의 꿈이기도 합니다..^^*
추천 0

IP : f65ee7ae3e6db4d
안녕하세요? 방실이님!

반갑습니다

혹부리 붕어의 원래 이름은 건포붕어 이구요(생긴 모양새 때문에 혹부리 붕어로 불림)

옛날부터 우리토종 붕어와 살아왔기 때문에 토종과 흡사한 대우를 해 주는데요

중국종에 가깝다 하네요

이상 허섭 답글 이었습니다

항상 건강 하시고 안출.즐낚 일생일대물 하세요
추천 0

IP : eed26f0a565b3c6
배스가 많은 곳에서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몸채를 키운게 혹부리 붕어 아닌가요???
추천 0

IP : 8dec7195d4423a4
일반적인 토종붕어는 전국적으로 공통이고

영남의 희나리가 있듯이

충청중부지방의 혹부리가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희나리,혹부리 모두 토종의 한 종류라고 들었습니다

영남=희나리,충청=혹부리

하지만 요즘은 일반적인 토종처럼 전국적이 된것 같습니다

아직 그 숫자는 적어도 희귀해서 감동으로 다가 오지요!!!
추천 0

IP : 3b98cfea0723e3b
찌불을밝히고님이 정확히 아시고 계시는것 같습니다. ^&^
추천 0

IP : 25cd18b5119690e
번포붕어는 (일명 혹부리 붕어)
압록강유역 함경북도 번포라는 곳에 어러한 형태에 붕어가 많아 이름을 그렇게 지어었다고 합니다

덩치에 비해 힘도없고,입이 잘룩하고 작으며 입질이 까탈스럽기도 합니다만
오랜시간동안 서식을 하여 토종으로는 인정을 합니다
퍼온글입니다...^^
추천 0

IP : 440ac04e1d4921c
어디서 들렀습니다 혹부리붕어는 중국계열에 붕어라고 하더군요

그 계체수가 그리 많지않아 토종과 같은 대접을 받는다라는 말을 들은적이

기억이 납니다 들은 애기라 100%확답은 못드리네요
추천 0

IP : 81911f7a6069a46
저도 몃년전에 논산지에서 42.5짜리 붕어를 잡앗는데 혹부리가 잇더라고요
4짜이상은 혹이잇는걸로 믿엇엇는데 그게 아닌가바요,,,
추천 0

IP : dba9eb71303c6ba
저도 어디선가 들은 말입니다...

혹부리라는 종자가 따로 있습니다

떡붕어라는종자가잇드시 혹부리라는 종자가 있구요 토종입니다

무조건 4짜가되면 혹부리가 되는것은 않입니다
추천 0

IP : 3961771f7f424ff
윗글 도움 많이 됩니다.

남부지방의 김해주변 수로에도 있습니다.
머리(얼굴)부분에서 완만하게 몸체로 이어지는 붕어와 달리
급경사로 솟아 몸체가 되므로 덩치에 비해 머리가 작아 보이는게 기형처럼 보이죠.

저는 지금껏 우리나라 토종의 한 종류로 귀한(희소가치?)어종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추천 0

IP : 26af0e737d5e26e
차종환 붕어 연구소에서 해부를 했던 리포트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뱃속에 지방덩어리가 가득 차 있더군요. 돌연변이로 결론 지었던 기억이 납니다.
추천 0

IP : 02b8e775dfe5e27
얼마전 희나리,토종,혹부리 얘기를 친한 형님과 하다가 너무 궁금하여 한국 민물고기 보존협회란
곳에 전화하여 물어 봤습니다....그 분께서는 희나리도 토종인지 일제시대때 들어온 떡붕어가 토종화한
것인지 학계에서도 의견이 다르다네요...저는 f tv에서 어류학자가 희나리는 일제시대 들어온 떡붕어가
토종화가 된 것이라고 얘기한 걸 본적이 있었거든요....그 분이 혹부리 붕어는 교잡종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하시네요....저는 관리형에 자주 가는 편인데 방류하는 붕어중에 혹부리와 형태가 거의같은 월척급 이상 붕어를 방류하는걸
보기도 했거든요......
추천 0

IP : dc69ebee4f796be
저도 혹부리붕어는 북한압록강 근처 번포지방에서 일제시대때
쪽바리들이 전국에 퍼트린걸로 알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토종으로 알고 있읍니다
경북 하빈에 하빈지에가면 두마리잡으면 한마리는 혹부립니다
추천 0

IP : 4a2f0c204a0fb0e
저도 많은분들이 말씀하셨듯이 별도의 토종이라 알구있구요

혹부리가 꼭 4짜는 아닙니다..30중후반대의 혹부리두 많이 봤습니다..

그리고,,제가 좋아하는 저수지에 혹부리가 좀 많은데(충북음성) 거긴 배스 전혀 없고 토종만 있는곳입니다
배스때문에 몸을 불렸다는건 틀린걸로 알고있습니다~
추천 0

IP : da2b602cbdf2cea
안녕하세요 송귀섭붕어낚시QNA34회출연자입니다 저도찰영할때 송선생님께여쭈어본적 있습니다
붕어가 체구가커지면서 혹뿌리붕어로 변하지않나 질문을햇지요
답은 혹뿌리종이따로 있습니다 체구가 커지면서 혹뿌리로 변하는건 않입니다....
추천 0

IP : 6535137b190ab5b
그럼 혹부리 치어나 중치급도 있을텐데요?
혹 잡으시면 사진이라도 하나 올려주세요...
추천 0

IP : 37da5ba1a41288b
소인배님 입큰붕어에가시면 FishmanTV 김태우님의 동영상 방랑자의 붕어낚시 충주호 여름낚시편 보시면

20cm급 전후한 혹부리붕어가 낚여오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추천 0

IP : f50bd63d34571a1
아~ 저도 그점이 궁금했는데 ㅋㅋ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혹부리가 우리의 토종인것이 맞는것인것 같습니다. *^^*
추천 0

IP : 5f76da5310fb081
어제 댓글을 달아서 지나다가 어떤 의견들이 있나 보았어요
저도 얼마전까지만해도 오리지날 토종인지 알랐지만 ,,, FTV출현하는 유명한님께서 혹부리 붕어를
잡으시며 스쳐지나듯이 하시는말 듣고 긴가민가 했습니다
얼핏듣기로는 혹부리 붕어가 중국계열의 붕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찾자보다가
어떤 싸이트에서 담긴 글을 퍼왔습니다 주인장 허락없이 퍼왔는데 여러 조사님들의
궁금증을 풀러드리고자 한것이니 널리 이해해주시리라 봅니다 ^^10번 글 유심히 보세요~
~~~~~~~~~~~~~~~~~~~~~~~~~~~~~~~~~~~~~~~~~~~~~~~~~~~~~~~~~~

1. 토종붕어: 우리가 가장 혼동을 일으키는 것은 '참붕어’이다. 본래 참붕어는 붕어 또는 토종붕어와는 완전히 별개의 종임에도 '참’이라는 말 때문에 '토종붕어’를 일컫는 말로 잘못 쓰여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우리 낚시인들은 최소한 우리가 낚시로 잡는 대상어 들에 대한 정확한 명칭 및 구분법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관련된 어종들에 대한 명칭 중,,,,,,,,,

붕어: Carassius auratus, C. carassius
붕어는 온수성 민물고기로서 빠르게 흐르는 물이나 계류를 좋아하지 않으며, 물빛이 적당히 흐린 평지의 못에 많이 서식하는 종입니다,,
사는곳마다 모양새와 체색이 다르며, 심지어 체고까지 조절을 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토종붕어는 다양한 먹이를 섭치하는 동시에, 탐식성이 유다른게 특징입니다,,
성장이 더디며, 어종중 유일하게 월척으로만 칭하는 순수 우리 토종붕어 입니다,,,
낚시꾼의 목표 1호 대상어종입니다,,,

* 붕어의 명칭
붕어를 지칭하는 이름은 매우 다양한데 각 지역별로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황금붕어,강붕어,갯붕어, 검은붕어, 꽃붕어, 깅깅우, 납대기, 납재기, 넙적붕어, 넙적이, 넙적붕어, 넙적이, 넙죽이, 논붕어, 땅붕어, 때붕어,땍붕어, 떡잎붕어, 검둥붕어,독붕어, 땅송어,돌붕어, 똥붕어, 먹붕어, 박씨송어, 맥붕어, 쌀붕어, 알붕어, 봉애, 송어, 송애, 왕붕어, 은붕어, 송에,호박씨, 희나리, , 희나리배기, 희나리송어, 라고 불리 웁니다,,

크기에 따라 호박씨, 담배곽,전차표(1치 내외), 밤잎(3치 내외), 팥잎(3치붕어)콩잎(4치 전후), 감잎(4~5치), 자치(30cm급), 월척(30.3cm 이상), 짚신(대형월척), 점보,4짜(40cm 이상), 5짜(50cm 이상)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요즘은 기대치 이하의 어린 붕어를 붕아, 붕애등의 속어로 부르기도 합니다,,

2. 희나리
붕어의 한 종류. 몸에 흰빛이 나고 꼬리가 긴 형태의 재래종 붕어. 쉽게 말하자면 일반 붕어와 떡붕어의 중간쯤에 해당되는 종이라고 하겠습니다,
얼핏보면 바다 쪼기와 흡사 하기도 합니다,,,ㅋ,ㅋ
이 붕어는 일반적으로 낙동강 이동(印)지역의 저수지와 기타 낙동강 수계의 늪, 수로에 많으며 영남지방에 많이 분포한다. 주로 바닥 층에 떠서 산다고 하는데.70% 중층,,나머지는 바닥권을 회유하며 식물성 미끼를 선호합니다,,
희나리는 일단 토종 붕어는 아니지만 토종 희나리로 봐주어야 할 것 같습니다,,

3. 참붕어 : Pseudorasbora parva
재래종의 토종붕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이나, 정확한 이름은 아니구요,,
묵납자루의 방언으로도 쓰이기도 합니다,,
크기가 1-5센티 가량,,,, 옆줄이 잇구요,,,
이참붕어를 끼워 대물 토종붕어를 잡기도 하구요,가물치 도 잡을 수가 잇습니다,,,


4. 납자루(각시붕어) : Acheilohnathus
잉어과의 민물고기로, 강의 흐름이 완만한 곳이나 강계,수로,강줄기와 연관이 잇 는곳에선 흔히 볼 수 있는 소형 어종 입니다,,
이 납자루를 이용한 대물낚시도 가능합니다,,
늪지,강계류의 대물낚시에 사용하기도 합니다,,

5. 버들붕어
20여년 전만 하더라도 전국의 강이나 하천에 지천이던 물고기였지만, 지금은 희귀어가 되었을 정도로 거의 사라져 가고 잇습니다,,
지금으로부터 30년전인가요,,,
초등학교 운동회를 할때면 작은 어황에 이놈들을 두마리씩 담아 팔정도로 흔했었죠,,,
지금은 멸종 단계에 들어간듯 싶습니다,,

6.잉붕어:잉어와 붕어의 교배종 입니다,,,
주로 하우스 낚시나, 유류터에 방류하며, 중국에서 들여온듯 합니다,,,
이교배종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혼란을 주기도 합니다,,,
얼마전 5짜가 잡혀서 난리를 치던 종입니다,,,

7.에프원(F1);향어와 잉어의 1세대 교배잡종으로 향어를 닮은 잉어 입니다,, 낚시인들 사이에서는 이들 F1 향어를 ‘짬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8.주걱붕어(헤라):떡붕어란 일본명(헤나부나의 줄임말): 덜좋습니다,,,
일본에서 도입한 헤라부나, 즉 떡붕어를 초창기에 부르던 이름. 헤라부나의 헤라가 구둣주걱(shoe-horn)이라는 뜻이므로 이것을 그대로 우리말로 옮긴
이름인데, 지금은 떡붕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고 잇습니다,,,. 중층에 떠서 먹이활동을 하며 입질또한 깔딱 스럽습니다,,
구루텐 류의 떡밥을 사용하며,당기는힘도 약하며 , 발광을 하다,,, 짚신끌려 나오듯 하기도 합니다,,

9. 점박이붕어
물이 탁한 강 하류나 일부 지역 저수지에서 붕어를 낚아보면 비늘 표면에 검정 깨와 같은 점이 박혀잇는 '점박이 붕어'를 볼 수 있으며. 표면이 거칠며,당길힘 또한 우수하며, 힘이셉니다,,
점이 생기는 이유는 Metagoniums란 흡충류 때문인데 이 기생충이 붕어의 살갗에 피낭을 형성하여 기생하면, 그 피낭유충 주변에 흑색소포가 모여서 검은점처럼 보인다 합니다,,
그러나 사람에 해를 끼치지는 않습니다,,

10,건포붕어(혹부리)
이붕어는 체고가 높아 낚시꾼의 사랑을 받기도합니다,,
댐이나, 특정,저수지에서 잡히기도 하는데,
우리 토종 붕어와 아주 오래전 옛날이라고 하나요, 그때부터 살아왔기 때문에 흡사한 대우를 해 주 기는 하나, 중국종에 가깝다고 합니다,,
아주 소수 골수꾼들은 토종 붕어와 비교를 두기도 합니다,,
산란철을 제외한 계절에는 생미끼 보다는 떡밥에 오히려 잘낚이는 종입니다,,,

11.짜장붕어;(중국붕어)
이붕어는 거의 토종붕어와 흡사합니다,,
토종과 달리 체색이 검고, 입주변이 몽땅합니다,,한마디로 자브라가 작다고 할까요,,
그래서 입질도 깔딱 스럽고,바늘도 작은걸 사용하여야 합니다,,
머리부터 등까지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자브라가 작고, 까므짭잡 합니다,,,
덜좋습니다,,,


** 토종붕어와, 흡사한, 희나리,떡붕어,혹부리 붕어,이붕어들은 생긴 모습 으로도 구분이 가능하나, 점선과,비늘수, 세파,등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추천 0

IP : 1332c456b9e3e8a
몇년전 TV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배스가 유입된 못에 대한 다큐가 방송된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다른일을 하면서 흘려봤었는데...새벽여명님 말씀처럼 붕어가 배스와의 생존경쟁서 이길려구 저렇게 체고를 늘린다는걸로 들었습니다...우연찮게 그렇게 들은듯...^^
추천 0

IP : c541c911e9b7850
1번인줄 알고있었는데 ..

또 다른 종일 가능성도 있군요
추천 0

IP : 6535137b190ab5b
어떤 척추동물이 몇십년만에 체형을 이처럼 바꿀 수 있을까요?
수백년도 아니고....
다른 종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토종이던 중국종이던 많이만 있었으면 하네요..
추천 1

IP : c50cb21d6d60956
저도 예전에 혹부리 붕어 체고에 반하였던적이 있었는데요
수질은 별로이지만 경북 소재 하빈지에서 낚시를 해서 얻은 조과를 살펴보면은
토종인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여섯 ,일곱치 혹부리붕어도 낚여 올라오곤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순수 토종붕어보다 외모만 따진다면 더 멋있더라구요~~
제가 낚시를 한참 할때는 기본이 36~45급 혹부리 붕어가 많이 낚였습니다.
저도 실제 많이 낚아봤습니다.이저수지에는 45밑으로는 사짜로 인정을 안해주더라구요 ㅎㅎ
그런데 저수지 환경에 따라 틀릴수도 있겠지만 손맛이 너무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챔질을 강하게 하면 붕어몸무게가 많이 나가서입술만 바늘에 달려 나오고
후킹에 성공하면 별저항없이 물위로 허연 배를 들어내고 질질 끌려 나옵니다..
덩치는 산만한데 정말 웃기던데요ㅋ
정말 덩치는 한덩치 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