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3미터 수심에서 최저 찌부력은?

IP : 9c91a750159c8fd 날짜 : 조회 : 6871 본문+댓글추천 : 0

깊은 수심일수록 고부력을 써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3미터 수심일 때, 찌의 부력은 최소한 몇 그램 이상은 되어야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원줄은 1.5호 정도 기준.

1등! IP : 7527d7fa75e3bd1
원줄의 재질에 따라 틀려질거 같은데요
체비가 분할이라면 현장 상황에 따른 쇠링소짜를
안정적으로 박아주시고요
외봉돌이면 그냥 하셔도 무방할듯 합니다
추천 2

3등! IP : 3ffe2dd96dd13e5
제가 요새 고심하는것중 하나인대요 수심과 찌의 부력관계 가라않는 카본원줄이냐 아님 모노원줄이냐..등등 ㅠㅡ
수심이 깊어질수록 부력도 높아져야 하는건 맞는대
얼마전 경험상 3미터권이면 5호이상 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얼마전 3미터조금넘는 잔잔한 곳에서 4호봉돌을 깍아서 표준찌맞춤한 찌가 제대로 정렬이 안되는 느낌을
아주 심하게 받았습니다.모노원줄 1.5호 원봉돌채비였습니다.저수온기라 부력을 낮은찌를 사용한건대 겨울은 수심이 더 깊어진다는게 또 문제였습니다.ㅠㅡ
그래서 한대는 부력을 5호정도 찌로하고 일단 찌맞춤은 무겁게 가져갈 생각입니다.
두대만 같은 칸수로 할 생각이라 나머지 한대는 6호봉돌로 찌맞춤은 가볍게 가져갈 생각입니다.
그외 원줄 목줄 바늘호수등은 동일하게요
추천 0

IP : 2752a4e85841d85
찌가 자립할 정도의 저부력이면 아무런 문제가 없읍니다
원줄은 찌고무에서 봉돌까지는 채비일뿐입니다(부력맞춤)
(찌고무에서 초릿대까지는 영향을 미칩니다)
내림낚시는 원줄이 영향을 미치지만 올림은 무관합니다
왜 ?
깊는곳은 고부력찌를 사용해야 하는지요?
겨울은 수온이 낮기때문에 상대적으로 깊은 수심층을 공략할뿐입니다
추천 0

IP : 3ffe2dd96dd13e5
날다붕어님 예를 들어 찌맞춤할때 먼저 수심을 측정하고 찌맞춤은 그 수심에서 30cm 띄워서 하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3미터 30센치수심이다 그러면 3미터 정도에서 찌맞춤하라는 얘긴대요.제가 느낀점도 그렇습니다.깊은곳 수압증가로 인해
저부력이면 제대로 입질표현이 힘들다는건대요.3미터 이상되니 많이 느꼇습니다.저만 그런가요 ㅠㅡ
추천 0

IP : 2752a4e85841d85
찌는 수압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읍니다
(항상 자신이 원하는 일정한 위치에 있읍니다)
봉돌이나 원줄이 영향을 받으나 미미하고요
근본적으로
찌맞춤을 하기때문에 (현장)
문제가 되지않읍니다
추천 0

IP : 205f300e4475795
제가 생각하기에는 수심이 깊으면 찌가 저부력이냐 고부력이냐를 따지기 전에 먼저 생각할 것이 찌맞춤이 아닐까 싶습니다.

수심이 깊다는 것은 물속으로 들어가는 원줄의 길이가 그만큼 늘어나는 것이라,

원줄이 대류의 영향을 수심이 깊을 수록 더 받기 때문입니다.

이 대류의 영향은 당연히 줄의 굵기가 굵을수록 더 영향을 받기에,

사용하는 원줄의 굵기에 따라 찌맞춤의 노하우를 알아가야 한다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군계** 성** 사장님 말을 인용해 보면,

3m가 넘어가는 수심에서는 일학 스위벨 2호(가장 작은거)를 사용하기 보다는 3호 정도는 사용하라고 권하고 있습니다.

이때 역시 원줄은 모노 1~1.2호 일테고요,


이는 어차피 스위벨 채비 자체가 민감하고 예민한 채비이기에,

겨우 바닥에 봉돌(스위벨) 닿을랑 말랑 하는 맞춤을 전제로 하므로,

이때 수심이 3m 이상의 비교적 깊은 수심이라면 비록 1~1.2호의 얇은 원줄이나 물의 대류 등에 의해 원줄이 영향을 받으면서,

봉돌(스위벨)이 안정적으로 안착하지 못한다는 그런 뜻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말 스위벨(2호)과 같은 초저부력찌라면 깊은 수심에서는 사용하기 힘들 것 일테고요,

일반적인 저부력찌라면 찌 맞춤을 극도로 예민하게 하지 않는 한 큰 상관은 없어 보입니다.

허나 안정적인 운영이 먼저라면 어느정도 부력을 가진 찌로 깊은 수심을 공략하여,

비록 바닥에 닿을랑 말랑 하게 예민하게 맞추더라도 봉돌 자체의 절대 질량이 저부력 찌의 봉돌 보다는 무겁기에,

대류등에 의한 봉돌의 이동은 저부력찌의 경우보다는 그 폭이 많이 적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래서 깊은 수심에서는 어느정도 고부력 찌를 사용해라 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추측합니다.


제가 알고 느낀 바를 그저 적어 봤습니다.

판단은 월님들께서 잘 하시리라 믿고요,

그럼 이제 곧 본격적인 시즌 시작이니 모두들 어복 충만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0

IP : 3ffe2dd96dd13e5
제가 고민을 한 이유는 2월24일 백봉수로 u자 석축 깊은 수심에서 2.6칸대에 저부력찌와(7푼아래) 2.7칸대에 4호봉돌깍은 찌 둘다 표준찌맞춤했구요 원줄등 나머지 채비 동일 4호봉돌은 예신들어오면서 캐미가 떠버리는 현상 자주생김(한목내놓고 하다 2목두 내놨지만같은현상발생)7푼찌는 빠는입질 2회 어쨋든 찌를 올리는 본신이 안들어왔네요 예신에서 봉돌이 바닥에서 뜨는건 왜 그럴까요 저부력찌는 바닥에 바늘이 닿는 내림형태가 된거라고 생각하는대 아닌가요?
얼마전 제가 제목에 채비정렬에 관해 올린 질문 입니다.댓글이 안달려서 삭제시켰어요 ㅠㅡ
이번주에 첫 댓글대로 두대 준비해서 도전할 생각입니다.잘 먹힌다면 좋겠지만요 ㅎㅎ 투척도 봉돌떨어진곳에 찌가 떨어지게 할 생각입니다.
주희파파님도 차근 차근 준비해보시고 문제를 해결 나가시면 재밌으실거에요
owl님께서 제대로 설명해주셨네요 ㅎ그런거군요 이론적으로는 잘 몰랐는댕 배우고 갑니다.
몸이 또 근질근질하네요~이번주는 꽝안쳐야지 ㅠㅡ
추천 0

IP : 2752a4e85841d85
부력을 맞추는건
찌와 (찌고무에서 봉돌까지원줄포함)봉돌의 균형을 잡는것이고
원하는 찌맞춤을 하면 봉돌이 크든 작든 같은힘을 작용하면
상승합니다

분납은 찌의 자중을 높여 저부력화시키는것입니다
분납의 크기를 키우면 저부력화시키는 분납효과가 떨어집니다
분납봉돌은 수심에 따라 달리할 필요는 없읍니다
추천 0

IP : 9c91a750159c8fd
owl님 의견처럼, 제 경험상에도 저부력찌는 찌와 봉돌이 서로 당기는 힘(상하로 작용하는 힘)이 약해서
깊은 수심에서 대류(좌나 우로 작용하는 힘)가 조금만 있어도 원줄을 옆으로 계속 밀어서
봉돌이 바닥에서 뜨는 현상이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저수지라도 흐름이 완벽하게 없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하고요.

깊은 수심 3미터 이상에서 부력이 최소 어느 정도 이상이 되는 찌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님들의 경험을 듣고 싶었는데
수심이 깊다고 왜 부력이 큰 찌를 써야하는지에 대한 얘기로 넘어가버렸네요.ㅜㅜ
물론 대류가 강한 날과 약한 날의 차이가 크겠지만 일단 봉돌 몇호 이상의 찌로 낚시를 시작하시는지...
추천 0

IP : 624afbbf2a1e288
저는 이런 경우가 없어서 모르겠네요. 5년가량 저수지 수로 낚시 다닐때 온리 저부력만 썼습니다 2호 이하 . 바늘 달고 찌맞춤 했을때인데요

강에서는 -1맞춤 저수지에선 0맞춤 하고 썼는데 아무 이상 없었는데요 1.5호 줄에 찌가 사선으로 누워도 안끌려가던데요 그래도 누워서 쓸려내려 갈정도면 안합니다 이때는 3호 끼워도 짜증나서 접을테니까요.. 저수지에서는 한번도 못느껴봤습니다 ㅠㅡㅠ ..

제가 운이 없는건지요.. 오히려 수심 깊은곳에 장대만 아니면 저부력 사용합니다. 입질표현도 더 좋고 이물감이 적어 후킹 확율도 더 높구요..

혹시 목줄길이 얼마나 주셨습니까?? 좀 길게 주지 않았나요 15cm가량.
이럴때가 있었죠 한마디 올리고 원상태로 돌아가고 흐르는 것처럼 옆으로 이동할때요! 붕어가 끌구 가는 겁니다. 몇일 전에 콩알 낚시하는데 자꾸 옆으로 흘러서 바람 불어서 그런가도 했지만 반마디 꿈벅하길래 입질이규나 하고 같은상활에서 챔질 했습니다. 붕어가 걸려 나왔죠. 윗입술에 걸리긴 했으나 설걸려서 목줄을 7센치 정도로 줄이고나니 괜찮아 졌습니다 흐르는 것도 없고 입질 표현도 정확하구요!

저랑 다를 수도 있지만요.
추천 0

IP : 624afbbf2a1e288
지금 쓰시는 채비에 목줄 길이 줄인 채비랑 두대 해보시면 바로 답이 나올겁니다
추천 0

IP : 3ffe2dd96dd13e5
아 저번주에 차를 정비소에 맡겨서(이번주 수요일정도 된다고 합니다. ㅠㅡ) 낚시 못갔네요 ㅎㅎ 주희파파님에게 시원하게 말해드릴수있었을텐데 아쉽네요.의견들 참고하시고 준비하신뒤 현장가셔서 체험해보시는게 확실하겠지요
싸그리님 답변 감사합니다.쪽지주신분들도 다시 한번 감사드림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