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곡지...
1.배수가 계속되면 조황은 더 좋을수 있습니다.
2.그러나...
3.배수가 멈추면 오히려 입질이 뚝 끈어집니다.
4.물색이 맑아지면 조황에는 별로입니다.
5.붕어는...
6.그곳에...
7.찌밑에 있습니다.
8.다만 먹이 활동을 중단했을 뿐입니다.
9.자주 찾아가서...
10찌를 세워 보십시요.
11.먹이 활동을 시작하는 때를 만날수 있습니다.
12.즐거운낚시...
13.언제나...
14.(안출)하십시요.
배수에 온도가 급상승하면 산소부족 불안감 등등 본능에 의해서 찌 밑에 고기가 있지만 먹이활동이 급격히 줄어들고 입질 또한 아주 미약합니다
부력을 극예민으로 맞추고 넓은 지역의 밑밥 투여 보다는 바늘에 달아서 정확하게 적당량의 밑밥 투여가 중요하고요
미끼를 다양하게 또 극소량만 달아야 유리하고
대간격을 평소 보다 넓게 펼쳐서 최소한의 낚시대로 하심이 유리합니다
물론 평소 보다 더 긴대 위주로 한 자리에 정확하게 반복 투척이 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1.배수가 계속되면 조황은 더 좋을수 있습니다.
2.그러나...
3.배수가 멈추면 오히려 입질이 뚝 끈어집니다.
4.물색이 맑아지면 조황에는 별로입니다.
5.붕어는...
6.그곳에...
7.찌밑에 있습니다.
8.다만 먹이 활동을 중단했을 뿐입니다.
9.자주 찾아가서...
10찌를 세워 보십시요.
11.먹이 활동을 시작하는 때를 만날수 있습니다.
12.즐거운낚시...
13.언제나...
14.(안출)하십시요.
부력을 극예민으로 맞추고 넓은 지역의 밑밥 투여 보다는 바늘에 달아서 정확하게 적당량의 밑밥 투여가 중요하고요
미끼를 다양하게 또 극소량만 달아야 유리하고
대간격을 평소 보다 넓게 펼쳐서 최소한의 낚시대로 하심이 유리합니다
물론 평소 보다 더 긴대 위주로 한 자리에 정확하게 반복 투척이 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렇게 한번해보시죠?
긴대든 짧은대든 1~1.5 미터 수심으로 찌를 새워보시지요.. 아마도 2.4칸을 치셔도 정면으로는 이수심을 마출수 없을거에요
좌우로 각 2~3대 정도씩 극도로 좌우 낮은 수심에 새워보시지요?? 아마도 좌측 3대 우측 3대 핀다고 했을때 육지에서 가장먼찌까지 거리가 3미터가 채안될꺼에요..
저같은 경우 급경사 깊은수심대 강 저수지 수로 이런 스타일의 포인트 많이 접했구요.. 희안하게도 약 1.5 미터 이상 수심층에 새운 찌는 밤새도록 단한번의 입질도 없는 것을 경험으로 많이 겪었습니다..
속는샘 치고 한번 해보세요.. 대박 칠거 같은데요??
그리고 집어도를 높이기 위해서 신장 1봉지 보리 한봉지 개어서 해지기전에 1번 새벽 입질 뜸할대 한번 아침 해뜨기전에 한번.. 이런식으로 그냥 주먹으로 뭉처서 찌옆에 던져서 집어하시고요..
급심, 수심 깊은 곳은 고기가 도는 길이 정해져있습니다.. 고기 안노느데 아무리 집어해봤자 낮마리 조과에 그치는 경우가 태반이지요.
밤에 낮은수심층 갓낚시로 해보세요.
오늘도 가르침 받아 실행해 보겠읍니다
짧은대 긴대일침밑밥투척 갓낚시등 경험이 많이 부족한가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