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관계로 하우스 낚시터에 갔습니다, 그런데 이상합니다. 저부력찌(1.3그램)로 3분할이 불가능한것 같아 2분할채비(소자 편납홀더와 롤링 스위벨)로 하였습니다
저의 찌맞춤 순서---1, 펴납홀더 : 찌다리에서 몸통 상단
2, 롤링스위벨: 몸통상단에서 찌탑 까지 하여 예민한 찌맞춤을 하였슴다, 바늘은 나중에 달았슴다.
3, 원줄 카본1.5호, 목줄 PE 0.8호, 바늘 무미늘5호 입니다.
그런데 찌가 사선입수가 됩니다. 무엇이 문제인가요? 그리고 입질에 의한 찌는 잘 올라오는데 헛챔질이 됩니다. 빠른타임과 늦은타임 챔질을 해도 헛챔질이 됩니다, 무엇이 문제인가요?
낮케미가 저부력찌에 비해 무거워서 사선입수가 되는지, 그리고 찌맞춤이 잘못되어서 헛챔질이 되는지 아님 다른 이유가 있는지 도무지 알수가 없읍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헛챔질 일수도 있습니다. 또한 찌다리와 찌탑의 균형이 맞지 않아 기울어져 입수 할 수 있습니다...
투척후 바로 받침대에 내려놓치 마시고 몸쪽으로 3, 40cm정도 당겨서 들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찌탑이 절반정도나 아예
안착한 후에 내려 놓으시면 많이 개선이 될겁니다.
다음은 김서방님의 채비에서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자면 첫째 3.5푼 찌의 경우 굳이 분할을 하지 않아도 될거 같구요, 작은바늘
님 말씀처럼 낮낚시 위주나 써치가 있는 곳이라면 케미꼿이 없는 그냥 찌탑만있는 형태의 찌가 올림낚시에 훨씬 유리합니다.
또한 3.5푼의 저부력찌를 사용하시는데 원줄이 모노도 아닌 카본 1.5호는 찌올림에 무리를 줍니다.
4푼찌에 1호 카본원줄 일때도 채비안착 후 약 2분 정도지나면 찌탑 1마디 내려갑니다.
따라서 잉어가 없는 곳이라면 요즘시기에는 모노 1호면 충분 합니다...
끝으로 스위벨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맞게 하셨는데 실제 낚시때는 한단계 더 무거운 스위벨을 사용하시는게 채비의 안정성면이나
찌올림에서도 유리할 경우가 많습니다. 한스위벨만 사용하기 보다는 무겁게도 가볍게도 사용해 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저부력찌는 입수시 찌가 잡아주지 못하기때문에 떡밥이 크면 무조건 사선입수됩니다. 특히 집어제 크기가 문제가 되죠
같은 떡밥 크기라고해도 수심이 깊을수록, 찌 부력이 낮을수록 사선입수가 더 심하게 됩니다.
떡밥찌로 다루마형을 선호하고, 5호내외 또는 이상을 선호하는게 사선입수 때문이라고 해도 틀린말은 아닐것 같습니다.
저부력찌를 사용할때에는 양바늘 콩알로 작게 하더라도 내림처럼 사선입수에 신경쓰는게 좋습니다.
요즘 초 저부력찌를 이용해 일부러 사선을 되도록 많이주는 사선 낚시도 유행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