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글루텐,옥수수로 낚시를 많이 하는데 가끔은 지렁이를 사용할때도 있습니다
바늘 종류가 붕어바늘,감성돔바늘...망상어가어쩌고저쩌고(아~ 머리아파요~)
종류가 많던데요 글루텐이나 지렁이 전천후로 사용하려면
어떤종류의 크기는 어느정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두바늘채비를 쓸때도있지만 주로 외바늘채비를씁니다 (채비종류에따라 바늘크기도 달라지나요?)
아~ 낚시는 알면 알수록 어려운거 같습니다
붕어는 못잡아도 물가에 앉아만 있어도 즐거운 초보조사의 질문입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예민한 채비를 하려면 바늘 크기가 작아야 하겠고,
생미끼 새우낚시나, 지렁이 세마리 이상 다섯마리 끼우면서 수초 사이 풍덩 낚시할때면 감성돔 3호 이상은 서 줘야 겠고,
떡밥 낚시 위주라면 붕어바늘 8호 안팎 정도로 쓰실거고,
옥수수내림 낚시나 동절기등 입질이 예민한 상황에서는 바늘 크기가 붕어바늘 6호 안팎이 되어야 할때도 있고,
양어장 낚시라면 바늘이 더 작아질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상황 마다 다 다른데 질문하신 의도는 너무 복잡하니 그래도 통상적으로 어떤거 쓰면 그나마 무난한가?
뭐 이런것으로 이해됩니다.
그렇다면 먼저 본인에게 맞는 바늘 형태를 고르세요!
예를 들어 붕어바늘에 비해 이두메지나 바늘이 허리가 더 길고, 튼튼하며, 붕어바늘 같은 호수에 비해 크기가 작다든지...
뭐 이런걸 어느정도 공부하시면서, 본인이 구사하는 낚시 스타일에 맞게 바늘 형태를 골라야 할겁니다.
보통 이두메지나(향어, 벵에돔, 양어장용), 다나고(망상어,붕어용), 지누(감성돔, 콩, 생미끼용) 이러식 인데요~
여기서 본인이 현재 구사하는 낚시스타일에 따라 고르셔도 되고요,
떡밥과 생미끼 대물낚시까지 겸용하신다면 아무래도 가장 보편적인 지누(감성돔) 바늘을 쓰시는게 무난해 보이고요~
이때 전천후 개념이라면 감성돔 1~2호 정도면 될거 같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생미끼처럼 미끼가 크다면 바늘도 커져야 하고,
활성도가 좋으면 큰 바늘에도 잘 올라오지만 반대의 경우 작은 바늘로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하는게 기본인거 같습니다.
제 경우 감성돔 3~4호, 붕어바늘 8호(크기만 보면 감성돔 1호 정도), 이두메지나 8호(크기로는 붕어바늘 6호)...
이렇게 세가지 종류 정도로 바늘 묶어 사용합니다.
수초사이 풍덩 채비고, 활성도도 좋고 생미끼 스고 한다면 감성돔 3~4호~
글루텐 짝밥 낚시를 구사한다면 붕어바늘 8호 정도로~
예민한 입질 시기라면 이두메지나 8호 정도로 사용합니다.
일년에 한번도 꺼내지 않는 낚시대라고 하더라도 언제 어떤 칸수가 필요하게 될지 모르니 각 칸수별로 구비를 하듯이...
바늘이나 찌 역시 상황에 맞게 사용되도록 어느정도 준비를 해야 하는게 입질을 보기위한 노력이라 생각 됩니다.
그러니 일단 바늘 한종류만 구입해서 사용하시고, (바늘 형태 보다는 크기에 대한 고민이 먼저인거 같습니다)
여기저기 다니시면서 부족한 부분(크기, 강도, 대상어종 등)이 생긴다면 그에 적합한 바늘을 찾는 것 또한 낚시의 재미일 겁니다.
조그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좋은 선택 하시어 498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떡밥도 쓰신다 하면 감성돔 바늘도 바늘 귀에 미늘이 있는 바늘이 있습니다..
바늘 묶는거에 능하시다하면 그냥 4천원짜리 100개 알바늘 들어 있는거 쓰시면 됩니다..
새우나 옥수수 , 지렁이 달기에 그다지 작다는 생각은 별로 안듭니다.
오랜만 입니다
저는 떡밥낚시에는 이두메지나 9호로
대물낚시로는 지누 3호 사용합니다
도움되었음 좋을텐데..
붕어바늘7호 쓰고있는데 왠지 작은거 같은 느낌이 들어서요 ㅡ.,ㅡ;
떡밥낚시에도 바늘이 크지않아 좋고 새우
사용해도 크게 지장이 없는것 같습니다.
글고 지누바늘 후킹이 좋고 단단합니다.
여름,가을엔붕어바늘 7호 감성돔2호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