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납추와 황동추

IP : 2ca7c0d6c91bc75 날짜 : 조회 : 3847 본문+댓글추천 : 0

앞으로는 납추가 판매금지가 되니 사용을 할수가 없습니다. 얼마전 내림낚시를 접고 바닥낚시로 되돌아와서 찌를 다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옥내림을 할때에는 5푼짜리 옥내림찌로 채비를 하면 편납홀더 1개에 편납을 조금만 감아도 부력이 맞았습니다. 올림찌도 7푼짜리 저부력찌로 채비를하고 편납이 판매가 되질않아서 황동편납추로 채비를 하여 부력을 맞추니 예전에 편납추로 할때에는 편납홀더 1개에 편납을 감아도 충분하였는데 황동편납으로 편납홀더에 감으니 부피가 너무커서 편납홀더 2개를 사용하였습니다. 황동편납이 예전 납편납보다 부피에 비해 비중이 얼마나 가벼운지 아시는조사님이 계시면 한수 가르침을 받겠습니다. 알고 계시는분이 계시면 도움 부탁을 드리겠습니다.

2등! IP : 045d6066e11751b
1) 공기중에서
황동 단위중량을 8.73g/cm^3
납 단위중량을 11.4g/cm^3 라고 했을때
일반 공기중에 있을때 무게의 비는 납에 비해 황동은 공기중 중량비 8.73/11.4=76.58%정도 되고요.
이는 공기중에서 황동크기가 30.6%정도 납보다 더 커야 납과 중량 비슷합니다.


2) 수중에 잠기게 되면
황동 단위중량을 8.73g/cm^3
납 단위중량을 11.4g/cm^3
물의 단위중량을 1g/cm^3 라고 했을때

* 특정물체의 수중단위중량 = (단위중량-물의 단위중량)
황동의 수중단위중량은 (8.73-1)=7.73g/cm^3
납의 수중단위중량은 (11.4-1)=10.4g/cm^3

수중에 있을때 무게의 비는 납에 비해 황동은 수중 중량비 7.73/10.4=74.33%정도로 떨어지게 되고요.
이는 수중에서 황동크기가 34.5%정도 납보다 더 커야 납과 중량 비슷합니다.

# 이 정도로 봤을때 기본 단위중량이 높은 재료 일수록 봉돌로 쓰기에 부피부담이 적게되니 유리하다고 봐야죠.
납봉돌의 대체 재료로서, 황동외에 텅스텐(중석)추도 나오는데
텅스텐의 단위중량은 19.25g/cm^3나 됩니다. 텅스텐(중석)은 황동보다 같은 부피에서 두배이상 무거워서,
봉돌을 만드는 치장재료(회전도래 같은 스테인레스 잡철류)를 제외하고,
봉돌의 순재료 부피면에서 보면 이의 부피가 비약적으로 줄일수가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