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나이좀 있으신 조사님이 하는말이 메기나 장어가 걸린 바늘은 다른 고기들이 잘 안문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저의 지난주 낚시에서 보면 32쌍포 34 36쌍포 총 5대를 폈는데 초저녁에 34에서 메기가 물렸는데 밤새 다른대에서만 붕어입질이 들어오고
34대에서는 누치만 그리고 아침에 블루길만 나오더라구요~ 제생각엔 포인트때문이라고 생각했었는데요~ 문뜩 정말 메기나 장어들이 물린 바늘은
붕어들이 싫어하는걸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님들 생각은 어떻다고 생각 합니까요?? ^^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저 같으면 그게 미신이얼진정 일단 배제하는족으로 가겟네요~~
그러나 저는 경험한 바가 없으므로 패쑤...
앞으로 이 글때문에 메기가 걸리면 그대를 유심이 봐 둬야 겠군요~~~
혹시 베스는 해당이 된단느 얘긴데...
베스가 물어준 바늘에 붕어가 물던데요~~ㅋㅋㅋ
심리적 요인이거나 미신일걸로 생각됨
장어채비는 그래서 목줄까지 새로 교체하여 다시합니다.
기피 하는것 같습니다. 제가 어릴때 어른께 들은 이야기 입니다.
잘나오는대에 메기물었던 바늘쓰자 바로 입질 끈겼다 하지만 다시 다른바늘끼니 입질이 들어온다면 가능성있겠네요
붕어가 바늘을 문다기보단 먹이를 문다가 맞자나요~거기속에 바늘이 들어가있으니 ㅎㅎ
메기나 장어와 같은 어종이 다닐 땐, 붕어들이 한동안 그 근처로 오질 않는다고 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어종이 한번 물었다고하여, 그 바늘을 물지 않는 것은 아닌것 같네요
장어낚시는 한번 걸면 채비 교채한다는 말은 들었습니다
괜히 읽어봤네
님때문에 징크스하나 더 늘었슴다
책임지세효!
아마 거기서 나온 말같은데요
장어꾼도 간혹보면 한번잡으면 챠비 바꾸는 분들 있습니다
목줄자르고갈아서하심이..
근데 다른물고기가 물은 바늘을 안문다 글쎄요...
메기 있는 저수지서 낚시해보면 밤새도록 번갈아 나오든데요...
바늘 목 긴 것..
전..
장어낚시 할대는 장어용 바늘 따로 사용해요.
묶어서 작은 책 사이에 묶음바늘 따로 가지고 다녀요..
아무래도 진액 때문인지...
하지만 장어낚시중 장어 낚은 뒤 붕어 도 낚아 봤어요.
장어 낚은 바늘에서요..
산지렁이가 주요 미끼라서 그런지 붕어 낚입니다.
사용하심이 경험상 순리임다.(메기밭,장어밭,붕어밭 이라 부리는 포인트가 있음다)
허면 어쩌다 잡고기가 잡혓지만 다시 원하던 것이 잡히는게 당연함니다.
축산농가에서 들짐승으로 피해가 심할땐 상위포식자인 호랑이 응가를 구해서 대처하는걸 보았습니다.
분명 물속생태계에서도 서열이 있을테니 상위포식자의 냄새가 베어있는 채비는 아무래도 꺼리거나 기피하겠죠.
어르신들의 말씀은 때로는 어느 과학과 이론보다... 맞을수도있습니다.
질문자님도 아예 안무는게 아니고 잘 안문다 라고하셨으니
전 어르신말씀에 동감합니다.
찝찝한 생각으로 밤새지마시고... 채비를 바꾸는게 좋을듯도합니다.^^
붕어드리 아주 예민한때 최대한 맞춰줘도 먹을까 말까한데 그런 요소가 조금이라도 작용한다면 안먹겠죠..
반대로 아주 활성도가좋아 새우깡을달아 던져줘도 먹을때는 그런 작은요소는 신경안쓰고 먹을거락 생각됩니다.
아마 조금은 영향이있을거에요..제 생각입니다.^^
상관없어용~ㅎㅎ
아무상관없이 잘물고 많이 잡았습니다.
아무래도 포인트 선정에 관계되는것 같습니다.
정답은 아닙니다만 나름 제가낚시하는동안 격은것을 설명드릴게요
물에사는모든 고기 들은 나름 장소를 정해놓고 먹이활동을합니다
거의 겹치는경우는 없습니다
우리내가 집에갈때 골목길이 있지요?? 마찬가지입니다
한길이 아니라는거지요 ...장어나 메기...가물치가 낚이는곳은 그넘들이 다니는길목이고
그넘들이 먹이활동을하는 곳이라 생각하심될듯합니다
붕어는? ..귀찮은존재들이 먹이활동을하는 라인에서 굳이 먹어야할까요??
피하게되겠지요...그래서 그..낚시대에 입질이없을확률이 높지않을까 싶습니다
손으로 메기굴 찿아서 잡고나면 그굴엔
그다음부턴 어떤고기도 숨지않고요
나중엔 바닥이 뻘처럼 변하더라구요.
그걸 알고부터는 잡았던굴은 다시
안가는 노하후가 생겻던 추억이 있슴다.
어릴적 일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