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 낚시를 하려고 지렁이미끼로 채비를 드리웁니다...
바늘 끝이 보이지 않게 미끼를 달던 습관이 생겨 늘 그렇게 미끼를 달고 투척...
입질이 오기 시작합니다...
잔챙이 붕어가 성화를 부리는 듯...
깔짝 갈짝거리다가 잠시 후...
미동없는 찌를 바라보게 됩니다.
건져보면 바늘끝이 나와 잇는게 보입니다...
다시 바늘 끝을 가리고 지렁이를 달아 던져 봅니다...
입질 다시 시작...
잔챙이들이 바글 바글한 모양입니다...
입질이 끊어집니다...
다시 채비 확인하면 또 지렁이는 달려 있어도 바늘끝이 노출...
여기에서 옥수수 미끼 투척...
같은 결과를 만듭니다...
왜 바늘 끝이 보이면 오던 입질도 끊어지는 걸까요?
바늘 끝을 붕어들이 보고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여러분들도 저와 같은 경험을 하시는지요?
바늘 끝이 보이면 바늘 끝이 보이지 않는거와 차이는 없으신지?
낚시를 하면서 바늘 끝이 보여도 대물 입질을 받은 기억이 많은데...
왜 요즘은 이런 차이가 눈에 보이게 되는지...?
고수님들께 여쭤 봅니다...
바늘 끝이 보이고 안보이고의 차이가 얼마나 될런지 문의 해 봅니다~~~~
많은 답변 기다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정확한 답변주시는분이 없네요.
행여 아시는 분이 없으실런지???
바늘에 꿰어져있는 부분은 이빨없는 붕어가 발라먹기에는 무리인가 봅니다.ㅎㅎ
붕어가 아니고 참붕어나 다른 잡어일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채비가 바닥에 닿자 십여 마리의 잡어들이 지렁이나 옥수수를 뜯어먹다가 한두 마리가 배를 채우고 그 자리를 벗어나거나 멀찍이 떨어져 있으면 괜히 다른 개체도 바늘에 달린 미끼를 공격하지 않는 것 같은데요.
그러다 채비를 회수하고 다시 던져넣으면 공격성을 보이고요.
다만 지렁이 반 잘라먹고나면 그대로 두면 입질없던데요
저의경우 입니다 ㅎㅎ
밥을먹다가 혀바닥에 머리카락 혹은 이물질나오면 알듯이 붕어도 잘먹다가 쇠조각대이면 싫어하지않을까요?
소박사님이였나 무슨 박사님이였는데 나름 일리있더라구요^^
괜찮은 결과를 얻었을때 그 채비를 맹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루텐사용시 딸기글루텐으로
재미를 보았을때 다른 미끼보단 재미를 본 글루텐을 맹신하는것이죠..저두 이런 경향이 많습니다.
때에 따라선 이런 경향이 자신의 채비에 믿을가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수 있지만 반대로 편견에 사로잡히는
딜레마에 빠져버리는 경우가 있는듯합니다. 상기의 예와 같이 마치 다른 많은 글루텐의 종류도 엄청 많은데
딸기 글루텐만 고집하고 그 제품만 사용하게되는 경향 말이죠..^^
미스테리.
있어서 자리를뜨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