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바늘, 동절기, 예민한입질, 지렁이 떡밥 강냉이사용, 7호사용했는데 가끔씩 제대로된찌올림 100퍼센트타이밍에서 헛챔질하더라고요.. 주로8~9치기준으로.. 혹은 발앞에서 털어버림.. 바늘어디꺼 몇호를 써야할까요..
2. 오렌지색 시가2호원줄에 맞는 몇호목줄사용해야할까요? 모노줄을 추천하시던거같은데.. 부탁드립니다 ! 답변보고 내일 구입후 묶어쓰려구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제 생각엔 바늘이 좀 작은듯합니다. 외바늘도 미끼를 어떻게 운용하는냐에 따라 바늘크기나 목줄의 종류 호수가 다르게하는게
자신의 채비에 믿음이 더 가고 조과도 조금 나아질듯 합니다.
옥수수, 새우, 지렁이에는 목줄 모노필라멘트 1.2-1.5호 , 카본은 1.2호 정도면 될것 같구요.
수초가 많은 곳에서는 원줄을 한호수 올리시는게 좋지 않나 생각듭니다.
떡밥낚시일 경우는 모노줄보다는 합사줄이 더 부드러워서 흡입이 부드러워집니다.
PE 0.8호도 떡밥낚시엔 충분합니다.
케블러 1호나 PE줄 1호이상쓰시고 원줄이 카본 2호일때 물밑 장애물이나 억센 수초에 걸리면 원줄 흠집이나,
초릿대부분, 혹은 매듭부위가 터져나갑니다.
인장강력체크하시고 채비하시길 바랍니다.
바늘은
옥수수,새우,지렁이등 일때는 저 같으면 이세형 바늘 3호정도 (요즘시기) 권해드리고
떡밥낚시일 경우엔 가마가츠 다나고 8호 혹은 9호 권합니다.
8-9치급의 붕어는 9호 바늘정도는 쉽게 흡입합니다.
급격한 수온저하일때는 7호 혹은 6호까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채비의 답은 없는듯 합니다.
부지런한 출조와 현장상황 파악에 따른 채비변화속에 나날이 익어가겠지요..
두서없이 제 개인적인 사견이오니 참고만 바랍니다.
혹시, 미끼 끼우실때 미늘부위를 완전히 노출시키시고 계신지요.
잔붕어나 참붕어등의 입질에 옥수수가 쉽게 이탈됩니다.
붕어가 미늘끝을 보고
" 앗! 미늘이다. 위험해" 이러지는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