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봉돌을 바늘에서 30센티 떨어트리고 바닥낚시 할수있나요?

IP : 77fe8c92da5ffc0 날짜 : 조회 : 5423 본문+댓글추천 : 0

수심1미터50정도 칸수3.2칸...아마도..관통형 꿰미추 이용해서...바늘에서30센티 떨어트려서....낚시하더군요.. 넣자마자 입질받고 기냥...막......,,강제집행...부러웠읍니다...밤새...붕어한마리 잡았는데......그사람은,,,온지.. 1시간만에....뚜껑열리더라구요...내림인가 자세히봤는데.....바닥낚시였읍니다.....제가 잘못본건가요? 원줄과 바늘연결부위는 도래를사용하고있었구요.....봉돌을 이렇게하고 바닥낚시할때.........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는지요.....고수님 답변을 기냥 막~~~기다릴께요.

2등! IP : d66f8e108a34ead
분할봉돌채비인듯합니다....제가 즐겨쓰는 방법입니다....저같은 경우는 이노피싱 관통형을 찌몸통과 찌다리 만나는지점을 맞추고 그아래 좁쌀도래로 찌톱을 내립니다...도래로 가라앉지않되면 접착편납감아 사용합니다..
이채비는 양어장이나 저수온기에 추천드립니다...단점은 꼬임이 자주 발생할수 있으며 자주 투척하시다보면 요령이 생기며 실보다는 득이 많은채비라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추천 0

3등! IP : fb3cb739be74bb5
제가 지난 목욜 황청지에서 그 낚시 해 보았습니다.
낚시대을 안가지고 따라가서 지인의 낚시대를 받아보니 위에서 말씀 하신 채비더군요.
던지자 마자 첫번부터 바로 입질 들어오는 건 맞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언제 챔질을 해야 할지 올때까지도 모르겠더군요.
물론 고기는 엄청 잡았지만 정확한 챔질에 의한 포획이 아닌 교통사고가 엄청 많더라구요.
하루동안 낚시해본 결과는
장점 - 입질이 쉴새 없다. 고기들이 옆으로 지나만 가도 반응이 오는 듯. 조황이 좋다
단점 - 챔질 시기 파악이 까다롭다. 쉴새가 없다. 계속 긴장...
추천 0

IP : 6962794638bc320
설명하신걸로 봐선 중통채비이지 싶습니다

중통채비이면 바늘을 무미늘 4호나 5호를 쓰시구요

단점은 찌맛이 없다는것이고 장점은 분납채비도 깔짝되는

지저분한 입질에 정확하게 한두마디가 빨려들어가서 정흡이 됩니다

중통채비에서 저는 교통사고를 경험치 못했습니다

글럼 손맛 많이보시길..
추천 0

IP : 93b449f804a1fa7
어리버리 채비입니다...
바닦낚시대로 내림채비를 해서 사용하면 내림 못하게 하는곳에서도 어리버리 채비 가지고 뭐라고 않합니다..
한동안 어리 버리 가지고 재미좀 보긴 햇는데 아 그것이 좀 힘들어요..
너무 낚시가 여유가 없어서, 요즘엔 조금 마릿수 줄이기로 하고 그냥 바닦으로 합니다..
원 봉돌에서 한 2~30 cm 되는곳에 좁쌀이 물려 잇으면 분할 종돌 채비고 좁쌀이 없으면 무조건 어리버리입니다..
예신 없고 무조건 본신입니다..
근데 마당쇠님 옆에서 하신 분이 어리 버리를 햇다고 해서 무조건 잘 잡는 것은 아닙니다..
어리버리도 제일 중요한 것은 집어입니다..
집어가 안되면 아무리 찌가 예민해도 허당입니다..
그럼 내림 공부좀 하시고 바닦대에다 내림 채비하세요..
추천 0

IP : d66f8e108a34ead
저같은경우는 어리버리나 중통채비는 아니며...찌맞춤은 관통형이든 편납 홀더든 이걸로 몸통과찌다리만나는지점 맞춤하고...밑에 좁쌀도래로 케미고무와케미만나는지점 맞춤합니다...
너무 예민하면 좁쌀도래가 뜰수 있으며...던지시면 이단입수가 나타나는걸 확인이 될겁니다...
작은 입질 파악이 되며...본신은 적게는 4마디 많게는 몸통을 다 들어올려서도 챔질이 가능합니다...
추천 0

IP : a01101bdbb324a2
마당쇠님의 질문 내용이 좀 알쏭달쏭 하기는 합니다만................
제가 알기로는 이노피싱의 관통추는 원줄에 단 상태에서, 줄을 끊지 않고 추를 가감할 수 있는 추로 알고 있습니다.
무게조절이 가능하니까 어리버리 채비로도 얼마든지 사용은 가능하리라 생각이 드는군요.
그러나 아무튼 예민한 찌맞춤은 추의 무게조절만으로는 불가하겠지요?
이노피싱에 직접 문의해 본 바로는, 추만으로는 정밀 찌맞춤이 안되고, 반드시 부력조절장치를 겸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추는 무게조절을 통해 부력조절장치의 부력조절 능력 범위 안으로 좁혀주는 1차적인 역할을 하고, 정밀 찌맞춤은 2차적으로 부력조절장치가 달린 부레찌나 찌부레를 사용하여 조절하는 것이지요.
제 나름대로는 이 방법이 추의 정확한 사용방법으로 알고 있습니다.
추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