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머리가 나뻐서 이해를 몬하는 것 같습니다만, 잠시 챙피하고 궁금증 해결하는게 낫겠다 싶어 고수님들께 문의 드려요;;
"카본줄 같이 무거운 줄로 분할 채비할 때는 모노일 때 보다 무겁게 맞추어라" 고 하시는 고견들을 많이 접했습니다.
아울러 "카본줄의 경우는 침력으로 작용해서 찌의 부력을 감소 시킨다" 등등..
그래서 헷갈립니다;;
제 짧은 식견으로는 카본줄이 찌의 부력을 감소 시키면 그만큼 채비가 무거워 진다는 건데,, 찌맞춤시 가볍게 맞추는게 아니라
되려 무겁게 맞추면 찌맞춤 후 수심 맞춰 투척하면 카본줄 땜에 더 무거워져서 중간목줄이 C자 형태로 되지 않는지요??
제가 낚시할 때 찌 2단 입수가 싫어서 다음번에 낚시가면 더 가볍게 맞춰봐야지 하던차에 오늘 게시판에서 고수님들 의견 일람후
이렇게 질문 드리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맨꽝조사 배상.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하지만 저부력 찌를 쓰시는데 카본 4호 이상 쓰시면서 수심이 1.5미터 이하면 찌가 3목이상 내려 갑니다.
카본줄 쓰시면 찌를 고부력찌로 부력 5호이상으로 케미만 노출로 맞추시고
3미터 이상이면 약간 무겁게 2메터 이하면 좀 가볍게 써보시고 이것 저것 많이 실험해보시면
나중엔 원봉돌 이봉채비로 돌아옵니다.^^;;
틀린 말 이고요, 혹 질문자님께서 잘 못 이해하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우선 사용하려는 찌의 부력, 원줄의 굵기, 미끼의 종류등을
말씀 해 주시면 조금 더 정확한 조언을 들을 수 있으며
분할채비의 장점을 살릴려면 정확한 찌맞춤이 가장 중요
합니다.
카본줄이 무게로 작용하게되어 안착된 스위벨을 당기는현상,또는 대류나 물 흐름이 두꺼울 카본줄을 밀게됩니다.
하여 되려 더 지져분한입질을 보실수있습니다.스위벨이 살짝 떠버리는 현상이겠지요..
그래서 조금 더 무거게 맞추어 안정정으로 바닥에 안착시키기위함입니다.
언젠가 이런말을 들었습니다.
이해가 안되면... 그냥 외워라~
이런문제로 자꾸 머리속이 복잡해지면 포기단계가 오실수도있습니다.
스위벨은 내것으로 만들면 엄청 좋은채비이지만..
욕심이 과해지면 엄청 피곤한 낚시가됩니다.
부디 좋은 결과가 있으시길..
이상.. 허접조사의 주제넘는소리였습니다^^ 언잖으시더라도 너그러이 이해부탁드리며..
안출하세요~~^^
뭔지 슬슬 감이 오기 시작했습니다 ㅎㅎㅎ
맞춤시 찌탑 전노출후 좁쌀 스위벨쪽을 살짝 무겁게 맞추면 중간이 휘지 않겠네요
저는 원봉돌만 무겁게 생각했었네요;;
앞으로 무조건 외우겠심다 ㅋㅋ
원줄 카본 호수가 높아질수록..
스위벨 호수를 높이는 쪽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참고 하셔요.....
카본줄이 굵을수록 원봉돌을 누르는 침력이 크므로 이를 상쇄할만큼
찌맞춤에 있어서 스위벨 또는 좁쌀봉돌의 비중을 더 높이라는 것입니다.
여기 고수님들이 많이들 계셔서 금새 헷갈림 해결이네요^^
분할은 요기까지만,, 더 이상 안파고 들겠슴다.. 이정도까지만 맞추고,
올리던가 말던가 신경 안쓸라고용 ,, 더 하믄 머리에 쥐날 것 같아서 ㅋㅋ
기본적으로 카본줄이 가장 무겁고 그다음 세미플로링 카본
다음 모노줄인데요
스위벨 채비하고 카본줄인데 무겁게 맞추라구요?
카본줄이 무거운데 대류에밀리면 모노줄은 쓸려다니겠네요
요즘은 낚시참 힘들게하시는 것같아요
스위벨. 방랑자.해결사.편대.사슬.옥내림.슬로프 낚시등등
기본적으로 봉돌 바닦안착시키는 방법부터 이해하시고
변형채비는 사용하세요
그리고 수조통에 풍텅채비로 스위벨 만들어서 넣어보세요
원줄 c자모양으로 절때 휘지않아요
수고하세요
카본줄의 찌맞춤은 줄무게에 의한 원줄의 당겨짐을...제어하기위해 무겁게 하는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찌와 봉돌간의 문제에는 카본원줄이 큰문제가 되지 않겠지만..찌와 초릿대와의 문제에서는 모노줄과 큰차이가 나겠지요..
원리를 이해도 못한 분들이 질문 내용에 아는 척 댓글을 달고 있으니 오히려 질문자 분들에게 혼란만 야기 시키고 있네요~
글구 카본줄 사용시 찌맞춤을 좀 더 무겁게 하면 스위벨 채비인데 둔해지는 것이 아닐까??...그런 개념이 아니라는 겁니다~
현장 삐맞춤시 원줄이 모노줄인뎡우 찌고무가 살짝닫게 맞춤과
커본줄경우 케미 절반노출 또는 수면일치 정도....
되려 너무 예민하면 득보다 실이 많다는것만 기억해두세요^^
생각하심이....물보다 비중이 높으면
원줄은 안정적으로 물에 가라앉일 수는
있지만 찌를 물 아래 쪽으로 당기는 힘이
생겨서 찌상승 등 미세한 반응에 표현이
절감될 수 있다구 봅니다만....소견으로
이해바라오며 늘~건강에 유의하시구여
사짜두 마니하시구여 어복이 충만하시길
바랍니다.
직접 해보세요...
그게 정답입니다.
비중이 카본줄이 더 무거운데 되려 무겁게 맞춘다? 고 이해하기 힘든 부분일수도있지만
낚시행위를 하실때 1.초릿실 ~ 찌 까지의 원줄과 2.찌 ~ 봉돌까지의 원줄이 있겠지요.
이때 1번의 경우 카본줄일때 무거운비중으로 인해 시간이 갈수록 줄의무게로 찌를 낚시대쪽으로 끌어오게됩니다.
정말 가벼운 채비인경운 봉돌까지 당겨지는 경우도 있을수있다는 우려때문이긴합니다.
뭐랄까...원리의개념에대한 이론이긴합니다만,
정말 찌탑이 많이 올라올정도로 가볍게 찌맞춤을 하지않는이상 실제 낚시엔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듭니다.
오히려 다른 원인때문에 채비의 안정성이 떨어지는게 아닐런지요?
카본줄인데 더 무겁게 맞추는건 먼 소린가 하시는분들은 이해안되시면
자기생각대로 낚시하시면 됩니다
제가 내린 결론은 성제현 사장의 이론이 잘못되었다 입니다
카본줄에 스위벨 채비는 현장 찌맞춤이 필수이고
성제현 사장이 주장한 결과를 얻으려면 풍덩채비보다
훨씬 둔감해진다는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