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계일학 스위벨채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찌맞춤 하고 낚시하다가 집에와서 수조에서 확인해보면
스위벨이 떠있고 바늘만 바닦에 닿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현장에서 찌맞춤했을때는 좀 무겁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좀 혼란 스러워서 질문 올립니다.
거꾸로 수조에서 스위벨이 바닦에 닿을락 말락 맞춰서 현장에 가보면
찌가 좀 빨리 내려가면서 쿵하고 떨어지는 느낌이구요.^^
고수님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현장찌맞춤이 가볍게 맞춰집니다
제가 알기론 2마디 정도라고 읽은것 같아요
(원줄무게, 각종 채비 요인포함)
동일 찌맞춤시, 현장 적용해보면, 수조 찌맞춤 보다 무겁게 표현됩니다.
대부분 사용하는 찌 맞춤통 지름이 작아.. 원줄이 벽에 붙거나 찌가 벽에 닿아서인것 같습니다.
1호 이하 얇은 원줄은 그나마 원줄 간섭이 적어 비교적 찌맞춤통과 현장과 큰 차이가 없는경우가 많은데..
원줄이 굴을수록, 오랬동안 대 케이스에 꺽여있던 줄일수록 차이가 좀 더 날수 있어요. 약간이나마 원줄 간섭을 피하기는 힘들어보입니다.
찌 맞춤통이 크면 좀 낫겠지만... 30cm 이상 폭 찌 맞춤통 사용하는 분은 별로 없을꺼에요
대개 저부력찌일수록, 원줄이 굵을수록 차이가 더 많이 나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전...집에서 모든 찌를 케미꽂이에 잡히도록 ( 수면위에서 천천히 내려와서 케미꽂이에 잡히게 ) 찌를 맞춘뒤 현장에서 사용해보면 대부분 케미꽂이는 보이지 않고 케미 2/3 정도 노출이 되는 상태가 되더라구요
그만큼 눈대중 맞춤이라는것,
수조있으시면, 쇠링 두개정도 넣고 맞춤하시고, 현장가셔서 낚시하시는데 퉁 떨어진다, 쇠링하나 빼고, 또 퉁 떨어진다 그럼 쇠링하나 빼고
하시면, 됩니다. 복잡하게 생각하시면, 머리터집니다...쇠링두개뺐을때는 스위벨이 바닥에 닿는지 여부를 잘 확인하시면 됩니다.
기왕이면, 3개가 좋겠네요.
아마도 수심차에 따른 원줄의 무게, 수온에 따른 부력변화가 원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전 대충 맞춰놓고 쓰는지라... 수조 맞춤을 조금 가볍게 하고, 현장에선 별 신경 안쓰고 그냥 낚시 합니다ㅎㅎ
1 수온에 따른 부력변화(물의 밀도 와 찌의 체적변화)
2 수심에 따라 원줄의 무게가 달라진다
(찌고무에서 납추까지의 원줄은 채비다
~수심에 따라 원줄의 길이는 변한다)
3 초릿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