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원짜리 수조통씁니다.
고정찌고무에 찌와 봉돌을 달아서 넣어서 수평맞춤을 하고
다시 유동채비 찌스토퍼와 유동찌고무 끼어서 카본2호줄까지 무게를
감안하여 넣어보면 찌가 수평으로 안대고 스르르륵 하고 가라 앉습니다.
카본줄이 수조통에 걸려서 수평이 안댄것 아니냐 그런말도 있는대.
현장에서 찌맞춤시에보면 캐미가 보일랑 말랑 합니다.
카본줄+유동채비에 합쳐져서 더무거운 찌맞춤이 댄것인지.
카본줄+유동채비까지 다하고 수평맞춤을 해야 하는건지.
예전에 수평맞춤을 하고 유료터에 가서 다시 현장맞춤을 하고
낚시를 하였는대 찌오름 내림이 엄청가벼워서 집에와 다시
수조통에 넣어 확인해본결과 반캐미 맞춤이 되어있더군요;
유동채비+카본줄 까지 해서 수평맞춤이냐
그냥 고정찌고무에 찌와 봉돌만 끼고 수평맞춤이냐.
고수님들의 답변을 듣고싶습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후자의 채비가 아주 살짝 더 둔하겠네요.
가을과전설입니다.
우선 모든채비다하시고 수평 찌맞춤 하시면 살짝 무거운
찌마춤인거 같습니다.
낚시터 수심도 중요하구요 쓰시는 낚시대칸수도중요합니다
모든 채비하시고 케미꽃이 밑부분에 맞추시면 딱좋을거
같습니다.낚시터 수심1.5m이상이시면 현장투척 하시면
케미수평 상태일거에요 한마디반정도 올려서 낚시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일예로 유동찌 고무도 각기 무게가 틀려서 찌 2~3마디 차이 확납니다.
이늠 저넘 사용하지말고 한 회사의 한가지 제품으로 가능하면 저울에 달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 그러면 엉뚱한 것 가지고 스트레스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찌맞춤, 참으로 어렵고 애매합니다.
딱히 정답을 알기가 힘이 듭니다.
* 어떤 분은 반드시, 현장 찌맞춤을 하라고 하시고....
* 어떤 분은 수조통에서 수평맞춤이면 된다고 하시지요.
저같은 경우는 집에서 수조통으로 찌고무달고 케미달고 천천히 떠오르는 수평 찌맞춤으로 합니다.
노지, 양어장, 손맛터 등등.. 대부분의 장소에서 사용하는데 정상적으로 입질 식별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가끔은 수심의 깊이가 다른곳과 양어장에서 비정상적인 애매하고 지저분한 입질도 있지만, 찌보다가 챔질 타이밍 가능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이 판단이지만 저는 현장 찌맞춤에 신뢰가 그리 가지 않습니다.
저도 몇번을 현장에서 찌맞춤 해보았지만 현장의 여러가지 상황을 분명,인정도 합니다.
하지만 그곳에서 과연 정확한 찌맞춤에 자신이 없더라구요..
수심/줄의 무게/찌의 입수과정/수질의 탁도등..이러한 여러가지 상황에서 중요한것은 정확한 봉돌의 컷팅이
솔찍히 자신이 없어서 믿음이 가질 않습니다.
그래서 전, 단순한게 좋다는 생각으로 집에서 수조통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가능한 찌가 천천히 떠오르는 수평 찌맞춤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낚시를 하는데 여러장소에서 큰 불편함을 모르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찌 맞춤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데 본인이 편리하다고 판단이 들면 그게 최상이라고 생각합니다.
*----- 가끔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식이 스트레스를 덜 받게하는 것 같습니다.
그냥 하세요 하다보면 고기 잡힐때가 있으겁니다. 그러면 그 조건을 기억했다가 다음 낙시에
응용해서 하다보면 저절로 나의 노하우가 생길겁니다.
그것이 진정 나의 실력이 된다 이거지요.
붕어도 종족 번식할 시간을 !
안잡히면 소주나 한잔하시고 느것하게 하세요.
머 안잡히면 어떻소 !
그런 후 편납으로 영점찌맞춤을 하지요.
수심이 깊은곳은 편납을 제거 후 사용하구요,
유속이 있는 수로에서는 편납을 추가로 약간 달아서 사용하니 좋더군요.
찌맞춤이야 정답이 없지요.
그냥 참고만 하세요. 저만의 사용법 입니다.^^;;
3가지 채비를 준비했습니다...
우선은 고정찌고무와 찌 봉돌을 연결하고 찌맞춤으로
3대의 낚시대중
1대는 캐미하단 2대째는 수평맞춤 3대째는 스르륵 채비로 구성을 하였고.
주말에 테스트를 해볼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