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할채비 아니고 외봉돌 외바늘 아주 단순한 채비입니다
*장소는 손맛터이며 수심 1.5~2M 나옵니다
*대는 24칸이며 원줄 카본 1호줄, 목줄은 당줄 1호 5cm, 바늘 무미늘 5호 입니다
*찌 전체 길이가 100cm이며(찌톱 50cm), 부력7g, 8호 봉돌 먹습니다
*미끼는 딸기 글루텐 단품 좀 뻑뻑하게 사용했습니다
외봉돌 바닥낚시만 해온지라 이번에도 스위벨이나 좁쌀봉돌 사용안하고 어찌 할수 없을까 해서 검색하다 나온 대로
일단 찌다리에 편납을 감아 그냥 물위에 던졌을때 찌몸통 윗부분이 5mm정도 보이게 했습니다.
찌맞춤시 원줄에 찌를 연결하고 1호 봉돌(1.5g)을 연결하니 캐미 아래 1목이 노출되더군요.
이 상태에서 2목 내놓고 낚시를 해봤습니다.
과연 몸통까지 올려줄수있을까? 만약 몸통까지 올렸을때 챔질하면 잡을수 있을까? 스스로 궁금해하며 8시간 정도 해봤는데
몸통찍고 낚는데 성공한게 8시간 동안 3마리 입니다 (몸통 거의 보일락 말락할때만 챔질을 했습니다)
찌톱이 50cm라서 35~40cm 까지는 잘 올리는데 그 이상은 잘 못올리더라구요
낚시터에 자주 오시는 분께서 여기서, 그 채비에, 이 수심에(제 자리 1.5M), 몸통 3번에 낚는데 걸렸으면 성공한거다.
나중에 스위벨 해봐라 그럼 약간은 더 좋을거다 말씀하시더군요.
정말 좀 더 욕심을 낸다면(8시간 동안 찌 거의 완전히 올리고 3마리에서 두배인 6마리 정도의 욕심) 분할뿐이 방법이 없을까요?
1호 봉돌을, 1호가 안되는 봉돌 + 스위벨로 가면 정말 더 좋아질까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삼분납이나아랫봉돌더가볍게해보세요
약간의 개선점을 알려드리께요...
찌다리에 편납을 감고 캐미달고 몸통과 찌탑이 만나는 위치까지 조절해서 편납을 가감하세요..
글구 바늘쪽에 있는 원봉돌을 가감해서 캐미 고무에서 캐미 중간정도 맞추신 후 낚시 할때는 한목 내어놓고 나낚시 하시면 중후한 찌찌맛을 봅니다..
단 잔챙이가 없으면 좋고요...예전에 손맛터에서 제가 사용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 은 좁쌀봉돌의 원리를 이용한 군☆일☆학 짜의 원리입니다. 또같은 원리로 본봉돌만 달아서 몸통만보이게 하시고, 좁쌀봉돌을 가감해서 캐미 중간보이게 좁쌀을 가감하면 되는데 문제는 여기서 문제가 있지요...그 작은 좁쌀을 어찌 가감할까요? 해서 군계의 찌는 모두 2B정도의 좁쌀을 기준으로 해서 찌탑에 맞게 제작된듯...제생삭.. 하지만 좁쌀과 본 봉돌을 이용하면 찌입수시 이쁘지가 않아요....찌맛은 입수 그리고 올라올때의 그 맛이 동시에 있는것인데 .그래서 전 좁쌀과 본봉돌 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님처럼 찌다리에 편납 감고...정말 입수도 천천히...올라올때도 이물감 별루 없이 숨넘어가게 천천히...
한여름밤 캐미의 그 맛은..과히..
좁쌀과 본봉돌 사용하시려면 어떤찌를 사용해도 됩니다..단 ㅂ본 봉돌을 몸통아 보이게 가감한 후 좁쌀의 무게로 찌탑이 감당하도록...하시면 됩니다..좁쌀의 가감문제를 해결(?)한 찌가 그 유명한 찌죠...상업적으로도 성공한것이구요...또한 그 보다 예민한 방식은 입수와 출수가 이쁜 방식은 바로 사슬이고요..
두서없이 적었네요...특정 방식이 맞다 안맞다가 아니라는걸 오해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또한 좁쌀 방식 약간 무겁게 하는것이 더 이ㅃ게올라옵니다...498하세요..
다리에 편납을 아주 조금 더 붙여 본봉돌을 1.5g에서 0.7~1g 정도로 줄여보겠습니다^^